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717
게시물 검색 폼
  • 光牧寄書惠扇。以詩謝之。- 김만중(金萬重, 1637~1692)
    光牧寄書惠扇。以詩謝之。西浦集 권1 / 五言古詩 김만중(金萬重, 1637~1692)別離如俯仰。時物忽變易。紅英已掃地。綠陰紛盈矚。關關求友鳥。止我庭際木。因之憶遠人。日夕亂心曲。年凶撫摩勞。務劇調攝妨。南州雖信美。不如歸故鄕。其二客從南海至。遺我一書札。開緘讀未竟。已覺涼颷發。溪藤有秀色。湘竹有苦節。持之比故人。慰此心如渴。*김만중(金萬重, 1637~1692)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중숙(重叔), 호는 서포(西浦)이다.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구운몽(九雲夢)」의 저자이다. 이은상(李殷相)이 장인이다.
    2023-07-13 | NO.702
  • 光牧竹陰令公觀漁景陽坊築有詩。次韻。조희일(1575~1638) 광주목사
    光牧竹陰令公觀漁景陽坊築有詩。次韻。조희일(1575~1638) 광주목사 경양방죽에서 고기잡이를 하며 쓴 시에 차운하다霽湖集 권8 / 七言律詩양경우(梁慶遇, 1568~1629)錦樹經霜葉脫枝。城西此會恨差遲。村居無事政多暇。太守出遊民不知。水闊跳魚鱗鬣壯。天寒病鶴翅翎垂。生憎畫角無情極。不許華軺住少時。* 이 시는 <죽음집> 권7에 실린 '景陽堰上 押呼 示梁長城'의 시에 화답한 것이다.
    2023-07-13 | NO.701
  • 別光牧令公
    別光牧令公西歸遺藁 권4 (韓山 李起浡 沛然 著) / 七言律詩同時同甲又同朝。一見能令萬念消。只是中間殊出處。誰敎方寸動喧囂。流光荏䒣居人恨。落日蒼茫去路遙。別後猶餘魂夢在。肯愁山水隔迢迢。서귀유고(西歸遺藁), 이기발(李起浡, 1602~1662)의 자는 패연(沛然), 호는 서귀(西歸), 무심자(無心子)김준업(金峻業), 조평(趙平)의 문인. 윤계(尹棨), 정태화(鄭太和), 황위(黃暐) 등과 교유
    2023-07-28 | NO.700
  • 南圃先生集 권15 / 南郊日記[下], 壬寅
    南圃先生集 권15 / 南郊日記[下], 壬寅남포선생집(南圃先生集)壬寅正月二十六日庚子。同人九五少陽。近日無事。靜坐收斂之暇。閑閱宋史。至光寧之間。奸鬼用事。指道學爲僞。寓目不堪????欝。見之若今日事。不覺累百年前事。掩卷咄嗟。二十七日辛丑。同人上九少陽。余嘗以爲人心之妙。本與天合。但透一重私己。上達天理。人間萬事。可以總貫。此而不得其成。雖歷覽萬古。竟無益於吾事。是以余未暇及於讀史。近者齋居之暇。閱遍宋史。肅然若身處本朝。上應君父。下班宰列。內辦庶務。外禦邊事。自不覺其心神定肅。外體端嚴。惰怠之氣。不起於心身。而几案堂室。儼然若朝廷。於吾爲學。所補大矣。此可爲讀史法故記之。二十八日壬寅。臨初九大陰。東風時起。多有雨勢。靜坐潛心。時或念及已往年月。微愆大過。不一而足。追思不覺有愧于天。自此庶可挺然立志。毅然發憤。消除舊習。日有新得。未死之前。得爲寡過之人歟。先正有言曰無身過易。無心過難。又曰有身過。人得而責之。有心過。神得而非之。此語當終身誦之可也。三十日甲辰。臨六三少陽。終日靜處。午後起而看梅于東臯。故吟一絶。聞道東山已放梅。一筇閒步穿莓苔。無人識得尋芳興。滿袖淸香獨自回。春雨新晴。雅意如此。二月十四日戊午。節九五少陽。文八柱來贈三寅刀。寅年月日所鑄冶。或曰經三寅日鑄冶者也。今年正月初四日戊寅十六日庚寅二十八日壬寅。經此三日而成此刀云。然則以壬寅年壬寅月壬寅日成之。而中經戊寅庚寅。戊爲中央正色。庚爲西方正金。壬爲北方慄烈之氣。而五箇寅爲猛虎之神。合其氣鍾于此刀。其爲神物宜矣。其將爲主翁之用乎。十九日癸亥。中孚六四。寒食之節。大風雨氣候。至今日開霽。和氣藹然。萬象逞露。原梅半落。庭草初生。觀物察理。反己省心。有新得之趣。無舊染之萌。士人有來講心經者。端拱靜讀。益覺深味。使我長存似此氣象。存主不失。其進豈可量哉。而身多疾病。外貌不莊。心本懦弱。內志不固。治日少而亂日多。敬惺寡而昏惰勝。使天理之發。一薜居州。而外物之誘。衆於宋人。可勝痛哉。心之所發。隨筆而記。以備警箴。但恐斂筆掩卷之後。此念已消而他念又生。愼之愼之。是日花堤平人來謁。言本縣籍飢民設粥飼之。其數以千計。口旣煩多而所喫之粥稀而小。官吏又因緣作奸。和水於粥飼之。人皆黃病而死者日一二人。他縣之流民。飼之又不如縣人。路傍之殍相望云。聞之慘矣。仍記日者余與光牧言。言及飢民之餓殍相藉。光牧答曰此輩雖在豐年。不能樂業耕織。無所事爲。生無益於世。死無損於國。余曰才不才。各言其子。彼雖殘民。自其父母者見之。愛恤之情。何間於賢愚哉。至今思之。爲牧民之官。其言如此。俗吏之見。每出如此。可謂哀此煢獨也。二十五日己巳。歸妹九四少陽。聞光州宋垕參生進兩科。朴致道參進士。致道故進士忠挺之子。忠挺之父富給爲盜所殺。忠挺知盜在同閭。三年後忠挺使其僕貿細布于盜家。見其署乃其父手標也。又使他僕潛從盜而市衣於肆。乃其父衣也。忠挺潛往州官。泣言其故。急捕盜屬而刑之。盜乃服之。大戮其類。忠挺痛父非命。取其父出息資財文券焚之。終身不赴科試。杜門罕出。鄕里見其面者鮮矣。其爲父報讎。三年伺察。從頌盡道。至於如此。焚券廢科。杜絶榮利。痛不能救其父於亂賊之中。終身引罪。閉門囚跡。其篤於誠孝。可尙也已。其子致道少年登庠而其才也。人將期於遠大。或者忠挺孝行之報應歟。聞各邑飢民設粥之所。死人相積。本邑尤甚。死者日不下四五人。官街巷路。積屍相藉。慘不忍見云。聞之酷矣。二十九日癸酉。暌九二少陽。縣吏奉吏曹關文來謁。考其關辭。以本月初九日政。收敍臣萬英除童蒙敎官。責以及期行公云云。天恩所曁。惶感無地。三月初二日乙亥。暌九四少陽。自念余以畎畝愚陋。獲竊祿秩。于今三朝。平生蹤跡。隔絶朝市。而除拜誤恩。猥蒙累次。雖守愚安分。不敢冐進。每念及此。不覺惶愧。庶或仍此警惕。夙夜兢戰。讀書省愆。鞭辟頹惰。未死之前。或有變化陋質。進步尺寸。一以報累朝盛恩之萬一。一以復天賦本然之良性。倘無愧於得名爲人之道耶。仍記于此。以爲銘心鏤骨之戒。初四日丁丑。暌上九少陽。靜坐終日。有味乎無味之中。仍成一絶。有主靜方虛一之句。初七日庚辰。履九三。北風終日。黃塵四塞。午任冕來見。聞尤庵宋公拜兵判。同春堂宋公拜都憲。二公遭遇孝廟。位極顯隆。今上當宁。杜門不赴命者今四年矣。未知今蒙大除拜。果不俟駕耶否。以余見之。方此之時。天心未豫。饑饉荐臻。野積餓殍。人心解離。朝綱陵替。大臣連喪。瓦解土崩之勢。朝暮且迫。若余之畎畝賤愚。不覺中夜起嘆。有瞻烏爰止之痛。况二公蒙先王之殊遇。位已極於台鼎。尙能安眠於蔀屋之下耶否。言之至此。自不知仰樑長吁。仍記于此。初八日。履六四。日氣如昨而北風昏塵益甚。心氣不平。閉戶凝坐。完養神心。夕聞邑中設粥所。一日死者七人。隣村民有兩妻者。以染病死。兩妻出走。村犬爭咬其尸。而族人亦不收。又有兩子母死于道傍。羣犬爭咬。而其子不顧云。人心之慘至此耶。痛痛。盖以死亡將迫。父子夫妻。亦不相保故也。古亦有如是事否痛痛。二十二日乙未。大畜上九。聞南公九萬以賑恤御使往嶺南。上引見。命以採訪人才之意。九萬退而上疏言。臣曾薦金萬英于朝。自上無採用之意。今臣雖採訪人才。竟何補於國哉。上特下旨銓曹。命斯速付職。故有敎官之除。而吏曹參議兪公棨亦有論薦云矣。五月初五日丁丑。姤初六。五月在辟卦爲姤。今端午又爲姤之初六。天時卦氣。自相符合如此。天道流行。安可誣也。一陰初萌之始。古人之設戒也至矣。冰雪融寒之慘。未嘗不萌於夏半陰始之初。則大而國家君子小人進退消長之幾。微而吾心天理人慾公私邪正之判。無不????合。其端甚微而難見。其長漫天而極地。可不懼哉。今日妙冥難測之中。一陰肅然之氣。已兆於衆陽之下矣。反而求之吾心。人所不知。己所獨知之地。未知幾姤而幾復也。舜之所謂惟精工夫。可用力於此際矣。嘿對天時。用識于此以自省云。十九日辛卯。鼎九三大陰。朝宗家行練祭。余以氣未平不能參祭。朝開戶視之。蒼松滿壑。綠樹循除。不勝感古之懷。盖我高祖進士公甥侄朴思庵。作相於宣廟朝。乞暇還鄕。參省于外先墓山。進士公榮之。作齋所于此地。仍名曰興慶寺。丁酉之亂。寺毁于兵火。我王父公構小屋于基東北。名之以碧松堂。歲久而毁。此室則余與諸族人謀建者也。仍念兒時陪先父兄諸丈。往來參省于先墓。仍就宿此地。完然昨日事。而已作三十年舊跡矣。俯仰思惟。難以爲懷也。二十七日戊辰。訟九四少陰。夕文三古自靈巖來拜。卽余外眷戚弟也。問曰戚兄曾作通文抵康津靑蓮祠宇。喩以李惺菴壽仁配享於本祠云然耶否。曰然。曰靈巖士人多以有惺菴不足配於本祠。勸而配之亦過矣。口舌喧傳。聞者附和。戚兄其無以解其誚乎。曰固矣。明月夜光。以暗投人。人莫不按劒何哉。曾所罕見。猝然遇之。心駭目動。不覺怒魄。乃人之情也。今李公深居竆谷。人罕其面。雖或與人接者。言笑動靜同於人。飮食起居同於人。見之者心忽之於平日。今聞余大言。莫不驚怪。亦常情也。今俗人之心。以爲儒者之形貌顔色。飮食事爲。必頓別於衆人。及見之。與別人同則曰。彼亦凡人。非儒者也。此孟子之所以不得已而發堯舜與人同之之語也。彼李公晩悟志學。杜門求志之人也。其事爲言動。固無驚俗動世之事業。則俗人今日之此言。不亦宜乎。曰儒者不能不同於人哉。曰深求隱僻之理。然後可以驚俗人之心。過爲詭異之行。然後可以動世人之耳。此二者儒家之諱言者也。是以君子之言。同於衆人。而所同之中。自有不同者。君子之行。同於衆人。而所同之中。亦有不同者。其所同者。人人之所可見。其不同者則豈凡耳目之所可瞻聆者也。旣不能及知則其毁之也。非故毁之也。八月十三日癸丑。遯初六。天氣明爽。堂室蕭然。獨坐牀上。或臥看古書。口吟一絶。有碧淨秋天霽之句。九月初十日庚辰。漸六四。看易圖說。感成一絶曰。易外無天地。羲文畫影形。須從天地裏。點檢畫中名。盖大易之道。流行於天地之間。一草一木一禽一獸。遠之古今。近之瞬息。無一物一時之非易。則易之全體。寓於天地。而彼羲之畫文之辭。特畫出影形而已。上智不待畫與辭而固可默識在天之易矣。中智以下之士。亦可因其辭而知畫。考其畫而知天矣。十月初八日戊午。萃六二大陽。錦城柳簟來見。孝子公信之子。於吾外眷八寸也。公信少喪父母。及長六年追服。終身居于墓下。晨昏省墓。寒暑不廢。墓前俯伏處。草爲之不生。太守李汝翊聞其孝而往見之。封其門外孤松。名曰孝子松。後朝廷聞其行。旌表其門。二十九日己巳。觀九五少陰。使奴將黃豆四斗買木于市。不得買而來。今年春夏間。積莩成邱。一匹之木。直米二升。易豆四升。而人猶恐不及買。數月之後。得農稍稔。一匹之木。直租八九斗。易豆五六斗。一尾之魚。其直數斗。市場之間。酒肉狼藉。閭巷之曲。歌舞成羣。人情之好糜費而易怠安。一至此耶。今農雖曰稍稔。積年逋欠。公私之債。一時懲督。而大同法又行於此時。各司積年未捧之貢。程董又急。民之所食所餘者幾何。而民心愚闇。昏不知戒。國事民心。似無可爲者。悵然而記。十一月十一日辛巳。復六三。冬至日也。晨起參拜于家廟。風雪慘烈。終日閉關而坐。以養微陽。有一陽來復是天根之句。十二月初七日丙午。噬嗑六三大陰。午里胥來督還糓甚切。且以山城運米,京大同納米,官司納柴等役。董刻甚至矣。盖以三年大侵。久未收官糓。以今年小稔。積年逋欠一時懲督。而他郡移賑及山城運米大同重賦。層疊刻捧。今農雖曰稍登。而流徙之民。尙未安集。飢困之毒。尙未蘇健。而今年綿種之農。又極不實。飢餘之民。軆無完衣者。郡縣之獄充塞矣。加以括充閑丁之令。朝暮星急。一族侵漁之禍。擾塡閭里。愁嘆之色號泣之聲。道路相望。人人相謂曰恨不死於年前之飢而逢此百罹也。嗚呼。民事至此。國將奈何。而無一人建白施恩者。至有蠲減之命雖下於聖敎。而懲輸極毒於州縣。可勝嘆哉。徒懷柒室嫠婦之嘆。而咄咄於蓬蓽之下。謂之何哉。三十日己巳。賁六二大陰。終日齊居。以送舊歲。是歲也春夏大饑。積殍成邱。農雖稍稔。賦斂極苛。閭里之間。卒歲無資。盖夏間州縣積尸相藉。流民㒹徙者。塡塞道路。而守令不以實報于監司。監司徒信守令之口。亦不以實聞于朝廷。是以官債之償。大同之設。括丁之急。水火督董。延及于一族。隣里郡縣之獄囚者如市。官司之庭。杖血淋漓。不忍言矣。一年將暮。默念余一年身心上事。著之于日用事爲者。雖無大過。思慮之微。進學之工。氣質之染。舊習之陋。未有能廓然變化之效。靜坐一室。點檢已往之事。不覺仰愧俯怍。持筆于此。以爲明年恐懼修省之本云。余於書冊面紙或空行處。
    2023-07-28 | NO.699
  • 南遷錄[上] 광주목사 이성좌의 기록이 있다.
    玉吾齋集 권17 / 南遷錄[上] 송상기(宋相琦, 1657~1723)의 자는 옥여(玉汝), 호는 옥오재(玉吾齋)이다.壬寅正月十三日。到仙巖。光牧李聖佐出來叙話。朴諮議光一之孫。持書來見。夕宿羅州。本倅兪命健。營將韓聖欽。務安倅宋弟宅相。從姪必炳來見。*다른 기록이 있다.1682년 南遷錄 중 광주~지례~예천 여행 기록 김성구(金聲久,1641~1707)壬戌(1682) 正月初一日。夕宿于南平梧林驛壬戌正月初一日。夕宿于南平梧林驛。初二日。宿于光州衙軒。牧伯李箕徵。乃舊相識也。初三日。冒雪作行。到昌平三支川羅上舍以龜家。雪已盈尺。不得行。仍留宿。羅乃余同榜舊要也。初四日。夕宿于南原房洞。初五日冒雪作行。宿于南原府。府伯趙渭叟持酒來話。乃靜庵先生後孫也。初六日朝到雲峯。主倅李萬枝來見。卽㫌義前倅也。夕宿于咸陽蹄閒驛。初七日朝炊于咸陽。巨坪士人姜致世,命世及其子姪諸人出見。宿于安陰衙軒。主倅辛必馨也。初八日。冒雪作行。宿于居昌。初九日宿于知禮長谷驛。初十日朝炊于知禮邑。主倅呂翼齊出見。歷吊金察訪德濟于龜尾村。夕宿于金泉驛。十一日。曉發夕宿于尙州靑里外從兄家。十二日。朝炊于尙州東門外。鎔兒自廣灘來。鍵兒亦自家來迎。喜不可言。夕宿于廣灘。十三日。宿于檜洞從兄家。十四日留檜洞。十五日。曉發夕宿于醴泉。主倅任堂出見。十六日。曉發初昏到乾井寓所。時以家中痘患。嚴君來寓此村故也。
    2023-07-13 | NO.698
  • 吟示光牧崔應久 (二首。名鐵堅。完山人) 최철견(崔鐵堅)
    吟示光牧崔應久 최응구최철견(崔鐵堅, 1548~1618)의 자는 응구(應久), 호는 몽은(夢隱)이다.  1593~1595년 광주목사로 있었다. 저서로는 『몽은집(夢隱集)』이 있다.사촌집(沙村集) 권1 / 七言絶句장경세(張經世, 1547~1615)의 자는 겸선(兼善), 호는 사촌(沙村)이다. 정문부(鄭文孚), 유몽인(柳夢寅), 권필(權韠) 등과 교유했다.一簾微雨山城暗。萬樹飛花野逕迷。怊悵闌干空獨立。笑看風外柳枝低。北望空沾周顗淚。南來獨上仲宣樓。慈親又隔千山外。客裏悲懷轉更悠。二.사촌집(沙村集) 권2 / 七言絶句南州巡遍何多日。鏡裏頻驚白髮生。鈴閣獨專循吏號。吟鞭還愧幕官名。江湖春晩風迎柳。村塢花飄雪滿城。若得使君留一語。儒家奚啻萬侯榮。
    2023-07-17 | NO.697
  • 奉和光牧令公挽鄭相公 (協) 五言律十首 : 정협(鄭協, 1561~1611)
    奉和光牧令公挽鄭相公 (協) 五言律十首정협(鄭協, 1561~1611)의 자는 화백(和伯)귤옥집(橘屋集) 橘屋拙稿上 / 五言律詩 (六言附)윤광계(尹光啓, 1559~1619)의 자는 경열(景說), 호는 귤옥(橘屋), 서포일인(西浦逸人), 오의자(五宜子)이다. 조헌(趙憲)의 문인. 백진남(白振南), 박동열(朴東說), 정봉(鄭韸) 등과 교유했다.憶曾乙酉歲。蓮榜偶然同。玉殿名先達。金閨籍早通。長途猶未極。大限奈俄窮。此日江湖淚。無因溯下風。湖海沉淪久。蕭然一病翁。自非公度量。誰念我衰慵。天意還無定。人生固有終。從今朝著上。那復望夔龍。忠孝平生志。資親又事君。俄然乘造化。却是厭囂紛。曾冠蓮花榜。爭推玉佩文。浮雲今入望。何處有孤墳。五十光陰疾。脩蛇壑裏趍。恩榮都顯秩。零落戒幽途。自我叨中聖。知公記下愚。江湖歸八載。親舊目前踈。曾緣兄弟義。軒騎猥臨關。豈意今重壤。飜思舊盛顔。流光眞一瞥。哀淚自雙潸。從此金門曙。無由響珮環。天祿曾讎字。珍厨自九閽。乘軒俱有寵。投閣豈爲寃。異味排銀案。香醪湛王盆。如今成往事。寂寞共誰論。早歲登龍榜。扶搖九萬程。慇懃承笑語。魁岸想儀形。忽忽從前事。依依此日情。悲來歌伐木。無路聽丁丁。崇禮門邊宅。人稱鄭相家。平生皆德量。餘事是才華。科第聯雙榜。經書閱五車。淸看持檝賦。燦爛赤城霞。曾看詞賦壯。還似怒鯨奔。下逮諸家語。旁通百氏言。莊騷應遞氣。班馬亦驚魂。雲夢寬如許。胷懷八九呑。雅望崇朝著。深仁急老孀。凄凉楊子宅。寥落陸家庄。鑑去仍爲慟。樑摧不是祥。剪鬚曾賜藥。無復近龍床。
    2023-07-18 | NO.696
  • 寄從弟光牧晦卿 (光爀)
    寄從弟光牧晦卿 (光爀)竹所集 권2 / 詩吹斷塤箎淚自垂。獨將衰白落天涯。團圓骨肉曾非料。咫尺光羅又一奇。人力豈容成邂逅。聖恩疑許慰孤覊。莫言君病相隨少。猶勝瓊雷萬里思。죽소집(竹所集), 김광욱(金光煜, 1580~1656)의 자는 회이(晦而), 호는 죽소(竹所)
    2023-07-18 | NO.695
  • 戱步瓊韻。簡晦兄梅窓雪庭。四首-양와집(養窩集) 책3 / 詩
    戱步瓊韻。簡晦兄梅窓雪庭。四首養窩集 책3 / 詩이세귀(李世龜, 1646~1700)의 자는 수옹(壽翁), 호는 양와(養窩), 둔재(屯齋)이다. 박장원(朴長遠)의 문인. 박선(朴銑), 최석정(崔錫鼎), 이세필(李世弼), 이정천(李挺天) 등과 교유했다.梅窓消息問東君。雪壓茅齋絶世氛。堪笑西湖饞處士。瓊花千斛與誰分。踈籬矮屋小窓虛。分占風光牧老餘。雪裡詠歸村逕細。氷湖十里畫難如。朝來大雪殿窮冬。片片瓊花着檜松。一抹龍門埋不盡。寒空玉立兩三峰。凍着山陰雪後舟。三盃濁酒洗塵愁。醉後歸來瓊樹裡。飛花亂撲五雲裘。
    2023-07-31 | NO.694
  •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서거정
    戲送一菴遊湖南訪光州牧使  - 사가시집 제14권 / 시류(詩類) :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일암(一菴)이 호남(湖南)을 유람하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방문(訪問)하기로 한 데 대하여 장난삼아 읊어서 보내다.        들으니 호남을 스스로 가련히 여긴다는데 / 聞說湖南也自憐스님 행차가 정히 좋은 가을에 당했네그려 / 師行政趁好秋天가사는 새벽의 웅강 달빛 아래 젖을 게고 / 袈裟曉濕熊江月석장은 아침의 작령 연기 속에 날리겠네 / 杖錫朝飛鵲嶺煙천녀의 꽃 흩는 모임엔 몇 번이나 갈런고 / 幾赴雨花天女會사군이 베푸는 주연엔 응당 참여할 테지 / 應參開酒使君筵뜬구름 같은 행장이 더욱 사랑스러워라 / 浮雲行李尤堪愛소매 속에 얻은 시가 만 편에 가깝네그려 / 袖裏求詩近萬篇사방 유람차 발 부르튼 그대가 가련하여라 / 繭足四方爾可憐홀로 옹계의 하늘만 지킨 내가 부끄럽구려 / 慙予獨守甕鷄天동화문의 거마는 뿌연 먼지 속에 침침한데 / 東華車馬迷紅土남국의 누대들은 푸른 연기 속에 잠겼으리 / 南國樓臺間翠煙어느 곳에서 원학이 깃든 절을 찾을런고 / 何處相尋猿鶴寺때로는 더러 운우의 자리도 참여할 테지 / 有時或踏雲雨筵광주 자사가 만일 나의 소식을 묻거들랑 / 光州剌史如相問술 미치광이로 시가 백 편이라고 말해주소 / 道我酒狂詩百篇[주-D001] 석장(錫杖)은 …… 날리겠네 : 옛날에 고승 은봉(隱峰)이 오대산(五臺山)을 유람하고 회서(淮西)로 나가서는 석장을 던져 공중을 날아서 갔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승려들이 정처 없이 이리저리 행각하는 것을 말한다.[주-D002] 천녀(天女)의 …… 갈런고 : 《유마경(維摩經)》의 관중생품(觀衆生品)에 의하면, 중인도(中印度) 비사리성(毘舍離城)의 장자(長者)인 유마힐(維摩詰)이 여러 보살(菩薩)과 사리불(舍利佛) 등 대제자(大弟子)들을 위하여 설법할 적에 마침 천녀가 여러 사람들의 몸에 천화(天花)를 흩어 내렸는데, 이때 이미 일체(一切)의 분별상(分別想)을 단절한 보살에게는 이 천화가 달라붙지 않았으나, 아직 분별상을 단절하지 못한 대제자 등의 옷에는 이 천화가 달라붙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천녀의 꽃 흩는 모임이란 곧 고승의 법회를 가리킨다.[주-D003] 홀로 …… 부끄럽구려 : 옹계(甕雞)는 ‘항아리 속의 초파리〔甕裏醢雞〕’라는 말의 약칭으로, 견식이 아주 좁은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 전자방(田子方)에 의하면, 공자(孔子)가 일찍이 노담(老聃)을 만나보고 나와서 안회(顔回)에게 이르기를 “나는 도에 대해서 마치 항아리 속의 초파리 같았구나. 부자께서 그 항아리의 덮개를 열어주지 않았더라면 나는 천지의 위대한 참된 모습을 모를 뻔하였구나.〔丘之於道也 其猶醢雞與 微夫子之發吾覆也 吾不知天地之大全也〕”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주-D004] 동화문(東華門)의 …… 침침한데 : 동화문은 백관이 입조할 때에 출입하던 문명(門名)인데, 소식(蘇軾)의 박박주(薄薄酒) 시에 “서호의 풍월이 동화문의 뿌연 먼지만 못하다.〔西湖風月 不如東華軟紅土〕”라는 전인(前人)의 희어(戱語)를 인용하여 “은거하여 뜻을 구함엔 의리만을 따를 뿐, 동화문의 먼지나 북창의 바람은 아예 계교치 않는다네.〔隱居求志義之從 本不計較東華塵土北窓風〕”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동화문의 뿌연 먼지 속에 분주 다사한 관직 생활을 의미한다.[주-D005] 어느 …… 찾을런고 : 원학(猿鶴)이 깃든다는 것은, 남제(南齊) 때의 문인 공치규(孔稚圭)가 일찍이 변절한 은사 주옹(周顒)을 두고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혜초 장막이 텅 비어 밤의 학은 원망하고, 산인이 떠나매 새벽 원숭이는 놀라도다.〔蕙帳空兮夜鶴怨 山人去兮曉猿驚〕”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은사가 머무는 깊은 산중을 가리킨다.[주-D006] 때로는 …… 테지 : 운우(雲雨)의 자리란, 전국 시대 초 회왕(楚懷王)이 일찍이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여인이 와서 말하기를 “저는 무산(巫山)의 여자로서 고당(高唐)의 나그네가 되었는데, 임금님이 여기에 계신다는 소문을 듣고 왔으니, 원컨대 침석(枕席)을 같이 해주소서.”라고 하므로, 과연 그와 같이 하룻밤을 잤더니, 그 이튿날 아침에 그 여인이 떠나면서 말하기를 “저는 무산의 양지쪽 높은 언덕에 사는데, 매일 아침이면 아침 구름이 되고 저녁이면 내리는 비가 됩니다.〔旦爲朝雲 暮爲行雨〕”라고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주로 남녀 간의 정사(情事)에 관한 일을 의미하는데, 여기서는 단지 화려한 주연을 가리킨 것이다.서거정이 바둑을 잘 둔다 소문이 나자 어느 날 당대 고승 一菴禪師(일암선사)가 찾아와 바둑을 두기를 청하였다. 사가가 일암선사를 흔연히 맞아들여 대국을 해보니 기력이 막상막하 호적수여서 그 후로 두 사람은 상대방을 초청하기도 하고 혹은 찾아가기도 하여 아주 절친한 바둑친구가 되었다. <四佳詩集(사가시집)>을 보면 일암선사와 바둑을 두는 광경을 그린 여러 수의 詩가 있다.   僧一菴來請談棋(승일암래청담기) 일암선사가 찾아와 바둑 한 판을 請하다   僧來長喚欲談棋(승래장환욕담기) 스님이 찾아와 바둑을 두자 졸라대기에慵拂棋奩故遲遲(용불기렴고지지) 일부러 느릿느릿 바둑 奩의 먼지를 털었네.當局不迷從古小(당국물미종고소) 바둑을 두게 되면 넋이 빠지지 않는 者가 예부터 적었으니輸嬴勝敗竟何爲(수영승패경하위) 이기면 어떻고 지면 어떻다는 말인가?   아마도 이날 서거정은 일암선사와 바둑을 겨루어 진 듯 보인다. 2023.6.16. 수정
    2022-03-16 | NO.693
  • 挽房上舍克己三十韻 (名好仁)
    挽房上舍克己三十韻 (名好仁)사촌집(沙村集) 권2 / 五言排律장경세(張經世, 1547~1615)의 자는 겸선(兼善), 호는 사촌(沙村)이다. 정문부(鄭文孚), 유몽인(柳夢寅), 권필(權韠) 등과 교유했다.痛哭西山老。如何遽至斯。死生元是命。禍福固難知。想像交遊事。那堪涕泗垂。靑年成莫逆。白首不差池。玉石雖難幷。蓬麻自有資。服君心質直。愧我學支離。知己幸相遇。傾心常自披。有時連枕席。中夜話襟期。眞實誰能過。淸淳是我師。食貧甘澹泊。爲學絶新奇。早折雙蓮柄。何慳一桂枝。灰心名利地。專力本原基。孝義鄕穪罕。賢才世所疑。居憂極哀戚。接物去毛皮。命數嗟奇薄。平生歎苦危。喪明仍作崇。寬念別無爲。罔極身心痛。惟將學力持。載飛鴒翼急。行斷鴈聲悲。寂寞身將老。孤危影與隨。晩移光牧寄。遠與故鄕違。書信難頻得。音容况可希。相思三百里。阻面一年遅。每祝期頤壽。安知奄忽萎。前年一別日。卽是永辭時。公得稀岭去。應無憾恨遺。無端埋孝友。有淚下漣洏。慘惔斜陽暮。凄凉古屋欹。人間難再覿。泉裏庶相追。夢罷殘更夜。樑空落月輝。盖棺嗟已矣。長慟更何辭。[주-D001] 岭 : 齡
    2023-07-18 | NO.692
  • 挽權丈義之 思燦○三首○幷小序- 訥窩文集卷之四 / 詩
    挽權丈義之 思燦○三首○幷小序- 權思璨(1753~1819)의 본관은 안동, 자는 의지(義之)訥窩文集 권4 / 詩嗚呼。公之世自霜嵒先生上而下。名碩相望。儒素以傳。大厥聲施。而有若虛齋公則吾祖嚴灘公之所嘗遊從。託以心期。劘以道義。見諸書疏吟哢者。不翅夥然。以是而得其志槩行義。尤有加詳焉。公實嗣其嫡則家學之有原末槩可知。而加以天分高朗。才氣卓落。涵游探討。功力兼到。而孝友其本也。少業功令。稍稍有名譽。而初解覆屈。畢竟蹭蹬。則飜然曰。是惡足介吾志也。遂鏟跡於林樊。寓意於江湖。從吾好焉。每選勝擢興。邀親戚速朋儕。頹然坐蒼顔白髮。而發言遣辭。披示肝膈。揚扢古今。令人有傾聽而歆動者。雖如我頓頑。亦嘗竊識而嘆嗟者屢矣。以言乎誼則自先世而篤矣。且鄰比而摯矣。故猶敢曰知公者莫我如也。言之及此。不覺涕淚之無從。而繼之以噎鬱也。當代論儒雅。如公有幾人。粹容瞻玉露。快議倒輪囷。鵬志靑年邁。鷗盟白髮新。山陰俄返棹。巷哭滿江濱。
    2023-08-02 | NO.691
  • 次光牧朴寒泉韻 광주목사 박한천 운
    石樓遺稿 권2 / 詩次光牧朴寒泉韻 六首尺地相思杳斗箕。曉窓香萼是君姿。從前得喪渾無賴。到此平生各自知。鉛筆眩花燒燭短。女墻吹角閉門遲。關心白髮千莖雪。只爲明時肯爲私。虛名從古等南箕。脂粉那容着醜姿。任把淸尊多日醉。非關浮世少人知。新陽至後寒來緊。小雪飛時月上遲。十九轉違筋力退。白頭何術報恩私。只保幽閑足箒箕。那從西子借娟姿。天時荏苒空無盡。世事蒼茫摠不知。千里客愁看髮變。一冬書信到家遲。芳心暗向南枝早。爲問陽和亦有私。富貴那將較穎箕。山林應笑廟廊姿。寧從費客猶無術。欲問君平倘可知。殘臘殿寒梅意早。薄雲籠月曙光遲。時危剩有忘身地。敢把區區欲自私。來亦何妨去不妨。去來堪笑每悤忙。只緣局外無機事。贏得尊前作戰場。交道肺肝輸晩契。世情輕薄屬殘陽。淸時枳棘元非所。謾把治聲徹未央。人將歲老亦無妨。世事隨人鼎鼎忙。衰病未堪驅策地。才名曾藉少年場。新春舊臘催殘律。▣▣閑愁屬夕陽。蕭寺雪燈猶有債。可能相約宿中央。元韻 二首文章餘事是裘箕。丹鳳爭看瑞世姿。絶曲豈容啁哳和。孤忠自結聖明知。澄淸姦贓嚴霜早。滌煦瘡痍愛日遲。聾病許丞堪拜起。督郵無乃▣▣私。元宗自考也何妨。錯了都因事事忙。縣道封章嫌出位。郡齋尊酒或逢場。衰容入鏡霜添鬢。寒律吹灰月建陽。縮地無由陪笑語。竹風攪雪夜難央。박경신 (朴慶新, 1560~1626)은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중길(仲吉), 호는 한천(寒泉)·삼곡(三谷). 박겸문(朴兼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환(朴煥)이고, 아버지는 군수 박사공(朴思恭)이며 어머니는 윤징(尹澄)의 딸이다. 장령 박경선(朴慶先)의 아우다.광해군 때 광주목사(光州牧使)·양주목사·판결사 등을 지내고, 1618년(광해군 10) 경상도관찰사, 1622년 공홍도(公洪道:  충청도)의 관찰사가 되었다. 판결사로 있을 때는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한 폐모론에 동조하였다.박경신 
    2023-07-06 | NO.690
  • 次光牧洪子晦 (處亮) 寄示韻- 홍처량 광주목사에게 시를 주다
    次光牧洪子晦 (處亮) 寄示韻東里集 권1 / 詩이은상(李殷相, 1617~1678)差池燕雁惜分飛。消息纔憑驛使歸。客舍柳堪橋上折。故園梅憶雨餘肥。論交漸覺新知少。抱病偏憐舊貌非。秪爲君恩深似海。靑袍未換芰荷衣。*홍처량(洪處亮, 1607~1683), 1654년부터 보덕·사간·동부승지·광주목사(光州牧使) 등을 거쳐, 그 뒤 승지·대사성·대사간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북정집(北汀集)』이 있고, 시호는 정정(貞靖)이다.*이은상은 서포 김만중(1637~1692)의 장인이다.
    2023-07-13 | NO.689
  • 次林冲擧 鶴- 임충거는 임붕(林鵬) 광주목사이다.
    次林冲擧 鶴龍巖集 권1/ 시謾寄無窮托此身。還將物色醉根塵。神專刻鵠靑陽晩。技罷屠龍白髮新。石澗琮琤賡白雪。蘿巖芬馥奏陽春。山前荷蕢休經過。千古何人會得眞。임붕(林鵬) 또는 귀래정공(歸來亭公)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충거(沖擧), 아호는 귀래당(歸來堂)이다. 명종 때 승문원정자를 지낸 임복의 아버지이고, 선조 때 정랑을 지내고 시인으로 유명한 임제의 할아버지이다. 벼슬은 예조판서까지 지냈다.
    2023-07-13 | NO.688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