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국이상국전집 제36권 / 묘지(墓誌)ㆍ뇌서(誄書); 채순희

중서시랑 평장사 태자소사(中書侍郞平章事太子少師) 채공(蔡公)의 뇌사


대저 대장부가 세상에 태어나서 벼슬이 재상에 이르렀다가, 70세에 벼슬을 사양하고 정신을 수양하여 천연의 수명을 능히 누린 다음, 죽음을 잘한 자는 고금을 통해 구해 봐도 많지 않은데, 우리 소사(少師) 채공은 그것을 향유하였다.

공은 휘가 순희(順禧)인데, 관향이 광주(光州)이다. 부친은 휘가 모(某)인데 벼슬이 모관(某官)에 이르렀다. 공은 의종 때 내정(內廷)에 관적을 두었고, 명종이 선위할 때까지도 오히려 임금의 측근에서 떠나지 않았다.

성상이 일찍이 수창궁(壽昌宮)에 있을 때 적신(賊臣) 조원정(曺元正)과 석린(石麟) 등이, 불궤(不軌)를 꾀하여 밤에 담을 넘어 금중(禁中)에 들어와 난을 일으켰다. 이날 밤에 내직(內直)한 근신(近臣)들은 난이 일어난 소식을 듣고는, 놀라고 두려워하여 모두 담을 넘어 도망하였는데, 공은 홀로 궁궐에 입시하여 잠시도 임금의 곁에서 떠나지 않았다. 임금이 감탄하기를,

“옛사람의 말에 ‘질풍에 굳센 풀을 알아본다.’ 하더니, 바로 그대를 이름이로다.”

하였다. 벼슬은 다섯 조정을 통하여 중요한 자리를 거쳤고, 지금 임금의 모년(某年)에 이르러 중서시랑 평장사 태자소사(中書侍郞平章事太子少師)에 올랐더니, 사직하고 물러와서 거문고와 술로써 몇 해 동안을 한가히 노닐다가 세상을 떠났으매, 이른바 애영(哀榮)과 종시(終始)가 조금도 부족함이 없이 모두 갖추어졌으니, 이는 대장부라 칭할 만한 분이다.

천성이 너그러워 대중을 포용하였으매 일찍이 성내는 기색을 볼 수 없었으니, 비록 옛날 방석에 술을 토한 아전을 용서하고국을 쏟은 종을 용서하던 자라도 어찌 이에서 더했겠는가? 그러나 조원정ㆍ석린의 난에서 ‘난에 임하여 두려워하지 않는 굳센 절개’를 보여준 일이 있으니, 이 어찌 ‘인자(仁者)는 반드시 용맹이 있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부음이 전하자, 임금은 애도하여 정사 듣는 일을 폐하고, 유사에게 명하여 명기(明器)와 노부(鹵簿)를 갖추게 하였다. 모산(某山)에 장사지내자, 시호를 모공(某公)이라 내리고 거듭 소신에게 명하여 사실을 모아서 뇌사를 짓게 하였다. 뇌사는 다음과 같다.

왕좌(王佐)의 재주라 먼저 큰 책임을 맡을 인물로 점쳤더니, 강직한 우리 공이여 책임을 짐이 진실로 특이하셨다. 조원정ㆍ석린이 난을 꾸며 밤에 금문(禁門)을 치니, 내신(內臣)들은 마치 쥐처럼 담을 넘어 모두 도망하였는데, 공은 홀로 입시하여 신색이 변하지 않았으니, 후조(後凋)의 절개는 날씨가 추운 뒤에야 알겠다. 절개를 지킴이 이와 같으니 마땅히 귀하고 영화하리라. 과연 다섯 임금의 정승이 되어 명망이 태형(台衡)에 높았도다. 급류(急流)처럼 용감하게 벼슬에서 물러나니, 이름이 온전하고 덕이 높았다. 하늘이 돌보지 않으사 나라의 들보가 부러졌다. 임금이 매우 슬퍼하여 죽은 자에게 주는 예가 구비하였다. 누가 그 아름다움을 찬양할 것인가. 소신이 뇌사를 짓는도다.

[주-D001] 불궤(不軌) : 

여기서는 모반을 가리킨다.

[주-D002] 방석에……용서하고 : 

한 선제(漢宣帝) 때 병길(邴吉)이 정승으로 있을 당시에, 그의 마차를 술에 취한 관속이 타고 가다가 토하여 방석을 더럽혔다. 그 이유로 관속을 해직시키려 하니, 병길이 “그는 정승의 방석 하나를 더럽힌 데 불과한 일이니, 해직시킬 일이 못 된다.” 하고 허락하지 않았다. 《漢書 卷70 邴吉傳》

[주-D003] 국을……용서하던 :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 유관(劉寬)은 성질이 매우 너그러워 좀처럼 화를 내지 않았다. 그 부인이 그가 얼마나 너그러운가를 시험하고자 하여 그가 조회에 들어가려고 관복(官服)을 차려 입었을 적에 종을 시켜서 관복에 국을 엎질렀으나, 다만 “네 손이 데지나 않았느냐?”고 했을 뿐 다른 말은 없었다 한다. 《後漢書 卷25 劉寬傳》

[주-D004] 인자(仁者)는……있다 : 

이 말은 《중용(中庸)》에 보인다.

[주-D005] 후조(後彫)의……알겠다 : 

난을 겪어야 절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는 뜻. 《논어》자한(子罕)에 “날씨가 추운 뒤에야 송백은 시들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하였다.

[주-D006] 태형(台衡) : 

정승을 가리킨다. 하늘의 삼태성(三台星)은 인간의 정승을 맡은 별이라 하고, 정승은 세상을 저울질하는 권한이 있다고 해서 이렇게 비유한 것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