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54
게시물 검색 폼
  • 용동사(지) / 龍洞祠(地)
    용동사(지) / 龍洞祠(地)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기진(奇進) 기의헌(奇義獻) 임정용(林挺龍) 기언정(奇彦鼎)을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향사인물 기진(奇進, 1487~1555) 본관-행주(幸州) 자-자순(子順) 호-물재(勿齋)기의헌(奇義獻, 1587~1653) 본관-행주(幸州) 자-사직(士直) 호-기은(棄隱)임정용(林挺龍, ?~?)기언정(奇彦鼎, 1716~1797) 본관-행주(幸州) 자-국진(國鎭) 호-나와(懶窩)
    2020-03-04 | NO.24
  • 용진정사 / 湧珍精舍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동 산3-2(본량동서로 180-68)오준선(吳駿先)의 영정을 모신 사우1939년 창건사당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향사인물 : 오준선(吳駿先, 1851~1931) 호-후석(後石)기타사항: 광주광역시문화재자료 제7호(1985년 2월 25일)
    2020-03-04 | NO.23
  • 운암사 / 雲岩祠
    주(州)의 서쪽 15리에 있는데 해광(海狂) 송제민(宋齊民), 창랑(滄浪) 고경리(高敬履), 화암(花岩) 송타(宋柁), 석주(石州) 권필(權鞸), 별제(別提) 신필(申鞸), 도계(道溪) 신한상(申漢相)을 향사(享祀)한다.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15인이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광주읍지(1924)
    2020-04-20 | NO.22
  • 운암서원 / 雲岩書院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235-(무등로 1040)운암서원(雲巖書院)은 원래 해광 선생이 자란 광주시 북구 운암동 자락 황계리에 세워졌으나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됐다가 1994년 지금의 광주시 북구 무등로(화암동)에 재건됐다. 사당에는 해광 선생과 사위 석주 권필, 아들 타의 영정과 신위가 있다. 서원입구 홍살문을 지나 내부에는 운암서원유허비와 해광 선생지천이 새겨진 묘비가 있다. 운암서원은 내외삼문, 장판각, 묘정비, 영모재 등이 있다.송제민(宋齊民), 고경리(高敬履), 송타(宋柁), 권필(權韠), 신필(申鞸), 신한주(申漢柱)을 배향한 서원1706년 창건1706년(숙종 32)에 도내 유림의 청원으로 해광 송제민(海狂 宋齊民)을 배향1709년(숙종 35) 창랑 고경리(滄浪 高敬履), 화암 송타(花岩 宋柁), 석주 권필(石州 權韠) 등 추배그 뒤 정우 신필(靜友 申鞸), 도계 신한주(道溪 申漢柱) 등 추배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 그 위치에 운암서원유허비 세움최근 영모재가 있던 자리에 운암서원을 새로 짓고 그 내부에 영모재와 운암서원유허비를 들여놓음향사인물송제민(宋齊民, 1549∼1602): 본관은 신평(新平), 자는 사역(士役)·이인(以仁), 호는 해광(海狂).고경리(高敬履, 1559∼1609):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척(而惕), 호는 창랑(滄浪).송타(宋柁, 1567~1597): 송제민(宋齊民)의 아들. 자는 시정(時正), 호는 화암(花菴), 본관은 홍주(洪州).권필(權韠, 1569~1612):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장(汝章), 호는 석주(石洲), 정철(鄭澈)의 문인.신필(申鞸, 생몰년미상): 호는 정우(靜友).신한주(申漢柱, 1696~1778): 호는 도계(道溪).
    2020-03-04 | NO.21
  • 원산사(지) / 圓山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선거이(宣居怡)를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사원철페령으로 훼철향사인물: 선거이(宣居怡, 1550~1598) 본관-보성(寶城) 자-사신(思愼) 호-친친재(親親齋)
    2020-03-04 | NO.20
  • 월봉서원 / 月峯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452(광곡길 133)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조선 전기 기대승을 추모하기 위해 1578년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로 호남정신문화의 산실로 일컫고 있다. 기대승(奇大升), 박상(朴祥), 박순(朴淳),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등 조선 명신들을 배향하고 있다.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기대승(奇大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광산군 비아면 산월리에 망천사(望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46년(인조 24)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고, 1654년(효종 5)에 ‘월봉(月峯)’이라고 사액되었다.1671년에 송시열(宋時烈) 등의 건의로 인근의 덕산사(德山祠)에 모셔져 있던 박상(朴祥)과 박순(朴淳)을 이향(移享)하였으며, 1683년(숙종 9)에 김장생(金長生), 1769년(영조 45)에 김집(金集)을 추가배향하였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사우(祠宇)를 비롯하여 충신당(忠信堂)·존성재(存省齋)·명성재(明誠齋)·유영루(遊泳樓)·내삼문(內三門) 등이 있었다.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30인이다.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그 뒤 전라남도유림에 의하여 1941년 5칸의 빙월당(氷月堂)이 건립되었다. 빙월당(氷月堂)은 월봉서원의 주강당으로 동편 전사청 마당 안 깊숙이 자리한다. 빙월당은 광주광역시기념물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빙월(氷月)은 고봉의 투명하고 깨끗한 성품을 표현한 빙심세월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조가 하사했다고 전한다. 묵묵히 서 있는 건물은 월봉서원이라 쓰인 현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빙월당, 충의당이라 쓰인 현판이 있다. 특히 오른쪽 방 빈당익가락(貧當益可樂)이라 쓰인 편액이 눈길을 끈다. 이는 가난할수록 즐거움이 더한다는 뜻으로 퇴계 이황이 보낸 편지 중 한 구절이라고 한다. 1972년에 4칸의 고직사(庫直舍), 1978년에 외삼문(外三門)과 3칸의 장판각(藏板閣), 1980년에 사우(祠宇), 1981년에 내삼문이 건립되었다.‘장판각(藏板閣)’은 월봉서원 내 자료를 보관하는 부속 건물이다. 장판각에는 《고봉집(高峯集)》 등 문집 11권의 목판 474판이 보관되어 있다. 이곳에는 충신당, 명성재, 존성재, 유영루 등의 현판이 보관되어 있다. 재산으로는 전답 3만6000평과 임야 87정보 등이 있다.연혁1578년(선조 11) 지방사림들의 발의로 고마봉(叩馬峰) 아래 낙암(樂庵)에 서원건립1598년 임진왜란의 피해로 망월봉(望月峰) 밑 동천(桐川)으로 이건1646년(인조 24) 현재 위치로 이전1654년(효종 5) 월봉(月峰)이란 사액 내려짐1671년(현종 12) 눌재(訥齋) 박상(朴祥)과 사암(思庵) 박순(朴淳) 추배 결정1673년(숙종 9)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을 추배, 모두 총 5위(位)를 배향1868년 서원 훼철후 유지(遺址)만을 보존1938년 빙월당(氷月堂) 건립1980년 사우(祠宇) 건립규모祠堂(사당)–정면3칸, 측면2칸반의 팔작집강당(氷月堂)–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집藏板閣(장판각)–빙월당 우측에 있는 원래부터 있던 장판각(정면, 측면 모두 1칸 규모의 맞배집), 좌측에 있는 새로 만든 장판각(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집) 2동內三門(내삼문)–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 솟을삼문外三門(외삼문)–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 솟을삼문향사인물주벽-기대승(奇大升, 1527∼1572):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高峯).박상(朴祥, 1474∼1530):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창세(昌世), 호는 눌재(訥齋).박순(朴淳, 1523∼1589):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菴).김장생(金長生, 1548~1631):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희원(希元), 호는 사계(沙溪).김집(金集, 1574~1656): 자는 사강(士剛), 호는 신독재(愼獨齋), 본관은 광산(光山).향사일 : 3월, 9월 상정일(上丁日)기타사항 고봉문집목판(高峰文集木版) -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1992.03.16.지정)빙월당(氷月堂)에 -광주광역시기념물 제9호(1979.8.3지정)
    2020-03-04 | NO.19
  • 유애서원 / 遺愛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흑석동 260(용아로 460)이신의(李愼儀)를 배향한 서원1754년 창건연혁1754년(영조 30)에 이신의(李愼儀)의 학덕(學德)과 충절(忠節)을 추모하기 위하여 호남의 유림(儒林)들이 건립(建立)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폐지령(廢止令)으로 훼철(毁撤)1901년(고종 38) 서적과 거문고 유품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해서 금서재(琴書齋) 지음1919년 봄 경장각을 짓기 위하여 18년이 된 금서재(琴書齋) 철거1919년 옛 사우(祠宇)가 있던 자리에 경장각(敬章閣)을 건립(建立)2000년 경장각(敬章閣) 후면에 단청 사우(祠宇)를 마련, 이신의(李愼儀) 배향2005년 6월 20일 유애서원(遺愛書院)으로 성균관(成均館)에 등록향사인물 : 주벽-이신의(李愼儀, 1551~1627): 자는 경칙(景則), 호는 석탄(石灘), 시호는 문정(文貞).
    2020-03-04 | NO.18
  • 의열사 / 義烈祠
    광산김씨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을 주벽으로 지평공 김덕홍(金德弘), 풍암공 김덕보(金德普) 3형제를 등을 배향한 사액서원이다. 지평공은 성혼(成渾)의 문인으로 임란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하였다. 충장공은 역적 이몽학(李夢鶴)과 내통했다는 간신배의 무고를 당해 (1596년) 29세로 춘산화연곡(春山火燃曲)을 남기고 옥중에서 원사했다. 1661년 신원되고 1678년 의열사에 배향되었다. 풍암공은 학문이 높고 효행이 있어 형들과 같이 의열사에 배향되었다. 이곳은 광산김씨 문중에서는 광주시 서구 금호동 산 31번지(만호마을)라고 밝히고 있으나 현재는 찾을 수 없다. ---------광주읍지(1924)에 따르면 주(州)의 서쪽 25리에 있다. 처음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을 향사(享祀)하다가 숙종 무오(戊午,1678)에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을 합사(合祀)하여 의열(義烈)이라 사액(賜額)하였다.갑술(甲戌,1694)에 충정공(忠貞公) 오두인(吳斗寅)을 배향(配享)하였으며 영조 무신(戊申, 1728)에 다시 증지평(贈持平) 김덕홍(金德弘)과 증집의(贈執義) 김덕보(金德普)를 배향(配享)하였다. 장의(掌議)  2인, 원생(院生) 20인 이었다.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하였다.이 때문에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의 영정을 운리(雲里)의 본손재실(本孫齋室)로 이안(移安)하였다가, 그의 자손들이 다시 별도의 사우를 지어 그 이름을 운리영당(雲裏影堂)이라 하였다.   1604년(선조 39) 창건1604년(선조 39) 당부면 벽진촌에 '벽진서원'으로 건립1621(광해군 13) '의열'이라 사액1694(숙종 20) 오두인(吳斗寅) 추배1728년(영조 4) 김덕홍(金德弘) 김덕보(金德譜) 추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86년 복원사우 :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향사인물 박광옥(朴光玉, 1526-1593) 본관-음성(陰城) 자-경원(景瑗) 호-회재(懷齋)오두인(吳斗寅, 1624-1689) 본관-해주(海州) 자-원징(元徵) 호-양곡(陽谷)김덕령(金德齡. 1567~1596) 본관-광산(光山) 자-경수(景樹)김덕홍(金德弘, ?~?) 본관-광산(光山) 김덕령의 형김덕보(金德譜, 1571~1627) 본관-광산(光山) 자-자룡(子龍) 호-풍암(楓巖) 김덕령의 동생
    2020-03-05 | NO.17
  • 임계서원 / 臨溪書院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 54(각화대로 87번길)김극일(金克一), 김일손(金馹孫), 김대유(金大有)을 배향한 서원1985년 창건1985년 7월 자계서원(紫溪書院)을 본따 호남에 거주하는 후손 들이 삼현선생(三賢先祖)의 신위를 모시고자 건립1986년 9월에 준공규모삼현사우(三賢祠宇)-제각 37.20 ㎡임계서원(臨溪書院)-강당 52.62 ㎡여재문(如 在 門)-내삼문 12.24 ㎡경앙문(景仰門)-외삼문 9.18 ㎡향사인물김극일(金克一, 생몰년미상):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용협(用協), 호는 모암(慕庵).김일손(金馹孫, 1464~1498):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소미산인(少微山人).김대유(金大有, 1479~1551,):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천우(天祐), 호는 삼족당(三足堂). 김극일(金克一)의 증손.향사일: 3월 25일, 9월 15일기타사항: 임계서원 묘정비문(臨溪書院 廟廷碑文:譯文)
    2020-03-05 | NO.16
  • 장렬사 / 壯烈祠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837-1번지(면앙로 170번길)장렬공(壯烈公) 김유신(金庾信),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망헌(望軒) 김광립(金光立)을 배향한 사우1849년 창건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연혁 1849년(헌종 15)에 김해김씨(金海金氏) 문중에서 광주 우산동에 건립, 김일손(金馹孫)·김광립(金光立)을 추가배향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1906년에 복원시 현재의 위치로 이건, 원래자리에는 유허비 세움1977년에 다시 중수, 김일손과 김광립의 위패는 두암사(斗巖祠)에 옮기고 김유신만 배향1978년에는 화랑원을 건립규모 :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다포집향사인물 김유신(金庾信, 595~673): 본관은 김해(金海), 가야국의 시조 김수로왕의 12대손 신라의 삼국통일 전쟁 과정의 중추적 구실을 함.
    2020-03-05 | NO.15
  • 절효사 / 節孝祠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67(일곡로 41번길 41-8)노준공(盧俊恭) 노희서(盧希瑞)를 배향하는 사우1398년(태조 7) 창건1398년(태조 7) 건립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86년 복원규모 : 사우, 일신재(日新齋)향사인물 노준공(盧俊恭, 1340~1397) 본관-광산(光山)노희서(盧希瑞, 1558~1592) 본관-광산(光山)
    2020-03-05 | NO.14
  • 지산재(구, 지산사) / 芝山齋(舊, 芝山祠)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715-1(남구 지산재길51)지산재(芝山齋)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신주를 모신 지산사(芝山祠)의 강당이다.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경내에는 강당인 지산재와 내외삼문ㆍ영당이 있는데, 그 중 지산재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지산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중앙 3칸은 마룻바닥이고 양퇴칸은 방을 놓아 일반 민가같은 인상을 준다. 편액(扁額) 글씨는 고당(顧堂) 김규태(金奎泰)가 썼으며, 건물 왼쪽 빈터에 1985년에 세운 유허비(遺墟碑)가 있다. 1737년(영조13)에 영당(影堂)을 세워 영정(影幀)을 모시다가 1846년(헌종12)에 지산사를 세웠다.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헐려 없어졌던 것을 1922년에 다시 세웠다. 처음에는 최치원을 중심으로 최운한(崔雲漢,1444년~1499), 최형한(崔亨漢,1460?~1504), 정오도(鄭吾道,1641~1732)네 분을 모셨으나, 고쳐 세우면서 최치원만을 모시게 되었다. 1791년(영조 13) 창건1737년(영조 13) 양과동에 영당(影堂)을 건립1846년(헌종 12) 지산사(芝山祠)라 이름하고 최치원을 비롯해 최운한(崔雲漢)·최형한(崔亨漢)·정오도(鄭五道)를 배향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1922년 강당을 건립, 지산재(芝山齋)라 이름을 바꾸고 최치원만 배향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사당 : 정면 4칸, 측면 2칸, 단층 맞배지붕향사인물 : 최치원(崔致遠, 857~?) 본관-경주(慶州) 자-고운(孤雲)·해운(海雲)향사일: 음력 9월 9일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1979년 8월 3일)* 2023.6.22. 수정
    2020-03-05 | NO.13
  • 진천사(지) / 眞泉祠(址)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는데 문숙공(文肅公) 박석명(朴錫命), 칠졸재(漆拙齋) 박창우(朴昌禹), 석촌(石村) 박충정(朴忠挺),시암(時庵) 박영림(朴榮林),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금암(黔岩) 박치도(朴致道),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 소은(素隱) 박중회(朴重繪), 담락재(湛樂齋) 민사하(閔師夏)를 향사(享祀)한다.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20인이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 광주읍지(1924)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동 가작마을박광일(朴光一)을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향사인물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본관-평양(平壤) 자-사원(士元) 호-손재(遜齋)현재 진천사유허비(眞泉祠遺墟碑)만 존재
    2020-03-05 | NO.12
  • 천동사 / 泉洞祠 이민서
    주(州)의 서쪽 40리 나주 경계에 있다. 두 고을이 합설하여 유애사(遺愛祠)를 만들었는데 문간공(文簡公) 이민서(李敏敍), 병산(屛山) 이관명(李觀命), 한포재(寒圃齋) 이건명(李健命), 삼산(三山) 이병상(李秉常), 송호(松湖) 유언호(兪彦鎬)를 향사(享祀)한다.장의(掌議) 1인, 색장(色掌) 1인 원생(院生) 25인이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광주읍지(1924)이건명(李健命, 1663~1722)의 부친 이민서를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는데, 나중에 이건명을 배향하였다. 《燃藜室記述 別集 卷4 書院》이건명의 본관은 전주,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ㆍ재월재(霽月齋)이며, 시호는 충민이다.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의 손자이자 이조 판서 이민서(李敏敍)의 아들이다. 노론 사대신 중의 한 사람이다. 1686년(숙종12)에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수찬ㆍ응교ㆍ우승지ㆍ대사간ㆍ이조 판서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43)에 그의 종형 이이명(李頤命)이 숙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 문제로 숙종과 단독 면대하였던 정유독대(丁酉獨對) 직후, 특별히 우의정에 발탁되어 훗날 영조가 될 연잉군(延礽君)의 보호를 부탁받았다.이어 경종 즉위 후 좌의정에 승진하여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노론의 영수로서 연잉군의 왕세제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반대파인 소론의 미움을 받았다. 1722년(경종2)에 노론이 모역한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전라도 흥양(興陽)의 나로도(羅老島)에 유배되었다가, 그해 8월 19일에 유배지에서 목이 베여 죽임을 당하였다. 1725년(영조1) 노론정권하에서 신원되어 시호가 내려졌으며,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의 서하사(西河祠)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한포재집(寒圃齋集)》 등이 있다.이건명이 천동사에 배향할 때 김원행이 지은 제문이 《미호집》 본권에 〈천동사이충민공배향제문(泉洞祠李忠愍公配享祭文)〉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지명이 민우수(閔遇洙)의 《정암집(貞菴集)》 권11에 〈우의정충민이공묘지명(右議政忠愍李公墓誌銘)〉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표가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집(陶谷集) 권20에 〈의정부좌의정한포이공묘표(議政府左議政寒圃李公墓表)〉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泉洞祠李忠愍公兩丁祝文 천동사의 이 충민공에 대한 양정 축문사림의 종사(宗師)이고 / 士林之宗사직의 공신(功臣)이로다 / 社稷之功순수한 충정과 크나큰 절개는 / 精忠大節백세토록 존숭할 바로세 / 百世攸崇' 미호집 제20권 / 고문(告文) 미호 김원행 선생[주-D001] 천동사(泉洞祠) : 광주(光州)에 있는 사우(祠宇)로서, 이건명(李健命)의 부친 이민서(李敏敍)를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는데, 나중에 이건명을 배향하였다. 《燃藜室記述 別集 卷4 書院》[주-D002] 이 충민공(李忠愍公) : 이건명(李健命, 1663~1722)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ㆍ재월재(霽月齋)이며, 시호는 충민이다.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의 손자이자 이조 판서 이민서(李敏敍)의 아들이다. 노론 사대신 중의 한 사람이다. 1686년(숙종12)에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수찬ㆍ응교ㆍ우승지ㆍ대사간ㆍ이조 판서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43)에 그의 종형 이이명(李頤命)이 숙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 문제로 숙종과 단독 면대하였던 정유독대(丁酉獨對) 직후, 특별히 우의정에 발탁되어 훗날 영조가 될 연잉군(延礽君)의 보호를 부탁받았다. 이어 경종 즉위 후 좌의정에 승진하여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노론의 영수로서 연잉군의 왕세제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반대파인 소론의 미움을 받았다. 1722년(경종2)에 노론이 모역한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전라도 흥양(興陽)의 나로도(羅老島)에 유배되었다가, 그해 8월 19일에 유배지에서 목이 베여 죽임을 당하였다. 1725년(영조1) 노론정권하에서 신원되어 시호가 내려졌으며,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의 서하사(西河祠)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한포재집(寒圃齋集)》 등이 있다. 이건명이 천동사에 배향할 때 미호가 지은 제문이 《미호집》 본권에 〈천동사이충민공배향제문(泉洞祠李忠愍公配享祭文)〉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지명이 민우수(閔遇洙)의 《정암집(貞菴集)》 권11에 〈우의정충민이공묘지명(右議政忠愍李公墓誌銘)〉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표가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집(陶谷集) 권20에 〈의정부좌의정한포이공묘표(議政府左議政寒圃李公墓表)〉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주-D003] 양정 축문(兩丁祝文) : 사우(祠宇)에는 일반적으로 매년 봄가을, 즉 2월 첫 정일(丁日)과 8월 첫 정일에 향사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축문을 말한다.​​* 미호집([渼湖集)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김원행(金元行:1702~1772)의 시문집. 20권 10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대와 편자는 알 수 없으나, 저자 생존시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권1·2에는 시·상서·서계·의(議), 권3~12에는 서(書), 권13에는 서(序)·기·제발, 권14·15에는 잡저·혼서·찬·명·묘지명, 권16~20에는 신도비명·비명·묘갈명·행장·제문·고문·애사·전(傳)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이간(李柬)·이재(李縡)의 학통을 계승했다. 따라서 당시 성리학계의 2대 조류인 호론·낙론 논쟁에서 한원진의 호론을 반대하고, 이간의 낙론을 지지했다.서(書)에서 그의 학문의 핵심인 예론과 성리학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김시관(金時觀)과의 성리설에 관한 논변, 유척기(兪拓基)와의 예설에 관한 왕복논변, 송명흠(宋明欽)과의 예설·인성·사론 등에 관한 논변, 임성주와의 의리에 관한 논변, 유언민과의 제례·귀신에 관한 문답, 현직명(玄直明)과의 성리학·제례에 관한 문답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권10에 수록된 실학자 홍대용(洪大容)과의 경서의의 및 성리에 관한 논변은 실학의 경학사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또한 잡저의 〈독서차록 讀書箚錄〉·〈중용문답 中庸問答〉·〈미호경의 渼湖經義〉·〈미상록 渼上錄〉·〈미상기문록 渼上記聞錄〉 등은 중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놓은 것으로 중용 위주의 경학적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중용 위주의 경학적 취향은 자연스럽게 예학 연구로 연결되었으며, 그의 예학은 김장생·장현광에 필적했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성리학설사 연구에 자료가 된다. 규장각·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김원행은 조선 영조 때의 주자학자로 당시 호론과 낙론의 대립 속에서 낙론을 지지한 대표적 학자였다.본관은 안동. 자는 백춘(伯春), 호는 미호(渼湖)·운루(雲樓). 아버지는 제겸(濟謙)이며, 당숙인 숭겸(崇謙)에게 입양되어 창협(昌協)의 손자가 되었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1719년(숙종 45)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본가의 할아버지 창집(昌集), 생부 제겸, 친형인 성행(省行)·탄행(坦行)이 죽임을 당하자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했다.1725년(영조 1) 창집 등 집안 사람들이 신원(伸寃)된 뒤에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시골에서 학문연구에 몰두했다. 1740년 이후 수차례 벼슬에 임명되고 1759년에는 왕세손을 교육할 적임자로 영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후 산림으로 있으면서 박윤원(朴胤源)·오윤상(吳允常)·홍대용(洪大容) 등 많은 학자를 길러냈다. 당시 주자학계는 2대 조류인 낙론과 호론이 대립하고 있어서 이간(李柬)이 이재와 함께 낙론의 중심이 되고, 한원진(韓元震)이 호론의 중심이었다.​그는 낙론을 지지한 학자로서 김창협의 학설을 이어받아, 심(心)을 이(理)라고도 하지 않고 기(氣)라고도 하지 않으며, 이와 기의 중간에 처하여 이기를 겸하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여겨, 주리와 주기의 절충적인 입장을 취했다. 저서에 〈미호집〉 20권 10책이 있다. 시호는 문경이다. *2023.9.25. 수정
    2020-04-20 | NO.11
  • 충민사 / 忠愍祠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산133( 북구 무등로 1050)전상의(全尙毅)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우1985년 창건 1977년 장군의 묘소를 지방 문화재 기념물 제 32호로 지정1985년 충민사(忠愍祠)를 새로 건립하여 준공구모: 사당, 수의문, 정려각, 유물관향사인물: 전상의(全尙毅, 1575~1627) 본관-천안(天安)
    2020-03-05 | NO.10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