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54
게시물 검색 폼
  • 충장사 / 忠壯祠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 1023(북구 송강로13)김덕령(金德齡) 박광옥(朴光玉) 오두인(吳斗寅) 김덕홍(金德弘) 김덕보(金德普)를 배향한 사우1604년(선조 37) 창건1604년(선조 37) 창건 당시 명칭 「벽진서원(碧津書院)」, 박광옥(朴光玉)을 제향1678년(숙종 4) 지방사람들의 발의로 김덕령(金德齡) 추향, 명칭 「의열사(義烈祠)」로 변경1680년(숙종 6) 「의열사(義烈祠)」 사액1694년(숙종 20) 오두인(吳斗寅) 배향1788년(정조 12) 김덕령의 형제 김덕홍(金德弘), 김덕보(金德普) 배향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1975년 「충장사(忠壯祠)」로 복원규모사당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내삼문 : 익호문(翼虎門)외삼문 : 충용문(忠勇門)유물관동재 :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서재 :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은륜비각(恩綸碑閣)향사인물박광옥(朴光玉, 1526~1593) 본관-음성(陰城) 자-경원(景瑗) 호-회재(懷齋)김덕령(金德齡, 1567~1596) 본관-광산(光山) 자-경수(景樹)오두인(吳斗寅, 1624~1689) 본관-해주(海州) 자-원징(元徵) 호-양곡(陽谷)김덕홍(金德弘, ?~1593) 본관-광산(光山) 김덕령(金德齡)의 형김덕보(金德普, 1571~1627) 본관-광산(光山) 자-자룡(子龍) 호-풍암(楓巖) 김덕령(金德齡)의 아우기타사항유물관 : 김덕령장군 의복(중요민속자료 재111호), 묘에서 출토된 관곽, 친필 등 전시사당 뒤쪽에 김덕령장군 묘소 및 가족묘지 조성은륜비각(恩綸碑閣) : 1842년 건립 충효동 배재마을에서 이건충효리정려비각(忠孝里旌閭碑閣) : 1789년 건립
    2020-03-05 | NO.9
  • 편방사 / 片坊祠
    주(州)의 동쪽 2리에 있다. 처음 경렬공(景烈公) 정지(鄭地), 설강(雪江) 유사(柳泗), 송설정(松雪亭) 고중영(高仲英), 증판서(贈判書) 전상의(全尙毅), 송암(松菴) 유평(柳坪)을 향사하다가 후에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 구암(龜岩) 고경조(高敬祖), 시은(市隱) 유성익(柳聖翊)을 배향하였다.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20인 이었는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광주읍지(1924)
    2020-04-17 | NO.8
  • 포충사 / 褒忠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산동 947-4(포충로767)고경명(高敬命), 고종후(高從厚), 고인후(高因厚)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안영(安瑛)을 배향한 사우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20인이다.1601년 창건1601년(선조 34) 호남 유생들이 사우건립을 청하고, 광주 제봉산(霽峯山) 아래에 사당을 건립1603년(선조 36) 박지효(朴之孝) 등 문인과 후손들이 사액을 청하는 상소올려 포충(褒忠)이란 액호 하사1616년, 1618년, 1623년 사우건물 중수1810년, 1879년, 1919년, 1927년, 1933년에 각각 중수1970∼1974년의 중수와 1978~1980년의 중건정화사업으로 현재의 건물 완성규모사당–앞면 3칸으로, 1고주 5량가의 맞배집동재와 서재–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집내삼문과 외삼문–앞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평대간향사인물주벽-고경명(高敬命, 1533∼1592):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峰)·태헌(苔軒).고종후(高從厚, 1554∼1593):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도충(道冲), 호는 준봉(隼峰), 광주 출신. 아버지는 의병장 고경명(高敬命).고인후(高因厚, 1589~1592):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선건(善健), 호는 학봉(鶴峯), 광주 출신. 아버지는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유팽로(柳彭老, 1554∼1592):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형숙(亨叔)·군수(君壽), 호는 월파(月波).안영(安瑛, ?∼1592):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원서(元瑞). 남원 출신.기타사항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1974년 5월 22일)『포충사우가 褒忠祠宇歌』(1614) 등 현판문 3매복호입안문서(復戶立案文書, 1592)고경명의 문과급제교지(1558) 등 고문서 6매고경명친필 마상격문(馬上檄文)『제봉집 霽峯集』(252매)『정기록 精氣錄』(71매) 등의 목판 493매
    2020-03-05 | NO.7
  • 학산사
    광주시 서구 서창동 1서구 서창동 불암마을 외진 곳에 있는 학산사鶴山祠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의병장이었던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을 모시는 사우이다. 경내에는 학산사와 경의당景義堂, 창렬문,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 사우는 정면 4칸의 측면 2칸으로 내실을 두고 쪽마루를 설치했다. 건립 때 경의당과 학산사의 현판은 전북 김제 출신인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1913-1999)이 썼다.경남 함안군 마륜동 출생인 김세근이 이곳에 오게 된 것은 김일손의 무오사화 때문이다. 그의 방조였던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에 실은 김일손은 영남사림파의 중심이자 사관史官으로 있었다. 사람파와 훈구파의 힘겨루기라는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참살을 당했다. 김세근의 아버지 김석경金碩慶이 연좌의 화를 피해 식솔들을 거느리고 지금의 서구 세하동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다. 세하동은 그의 이름 '세世'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제강점기 이후부터는 세細를 쓰고 있다고 한다.김세근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세동 백마산 수련곡(속칭 수련골)에서 장정 수백명을 이끌고 의병을 일으켜 담양에서 창의한 추성회맹秋城會盟에 참가했다. 김덕령 큰형 김덕홍, 유팽노, 안영 등과 더불어 고경명의 대열에 합세하여 영동과 황간에서 적을 무찌르는 전과를 올렸다.그러나 전장에서 병을 얻어 귀향 요병 중 스승인 호서의병장 중봉重峰 조헌趙憲의 부름을 받고 병든 몸으로 다시 출정해 전주에서 군영을 정돈하고 있었다. 적군이 금산으로 침입한다는 소식을 듣고 급히 금산으로 가서 부장部將으로 싸우던 중 와평臥坪에서 고경명과 같이 순절하였다. 뒤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녹훈되고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부인 한씨도 “지아비는 충忠에 죽고 지어미는 열烈에 죽으니 이는 곧 사람된 당연한 도리리라”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며 그를 따랐다. 선조는 1605년 김세근 의병장에게 병조참판, 부인 한씨에게는 정부인을 내렸다.그의 묘가 서구 서창동 불암마을에 남아 있다. 광주 지역의 유림들이 사우 창열단彰烈壇을 건립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김세근의 충의정신을 기리고 그의 넋을 추모하기 위하여 1958년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학산사를 건립하면서 창열문으로 바뀌었다. 광주향교의 『광주지』(1964)에는 학산사 동문간에 만취영당晩翠影堂이 있어 만취 김용희(金容希, 1860~1927)를 제향했다 한다.
    2018-05-24 | NO.6
  • 화담사
    서구 화운로156번길 17-8(화정동)화담사花潭祠는 하동 정씨 사당이다. 문절공 정수충鄭守忠(1401∼1469)에 대한 집을 지어 영정을 모시라는 왕의 교시가 내려졌고, 1478년 보성군수를 지낸 정화鄭和(1434∼1505)가 군분으로 이사, 영정을 봉안하는 영당을 만들면서 출발한다. 화담사를 중심으로 하동 정씨 집성촌이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그로부터 300여년이 지난 뒤 1776년(영조52) 화담사 사우 건축을 발의했다. 1868년(고종5)에 있었던 서원철폐령 때 위기를 맞았으나 지붕을 덮어 은폐, 보존함으로써 훼철을 피할 수 있었다. 제례만을 중단했다가 1905년 광주향교의 발의로 복설復設된 유서 깊은 공간이다. 조선시대 때는 서원 역할까지 수행했다. 이곳에서는 사립학교처럼 20명 정도의 학생들을 가르쳤다 한다. 조선 중기 문신인 묵은공 정희鄭熙(?∼1348) 선생을 중앙에 모시고, 좌우에 그의 아들 문경공 정초鄭招(?∼1434).손자 문절공 정수충과 약포공 정오도鄭吾道(1647∼1736), 충장공 민제장閔濟章(?∼1728)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처음에는 사경과 예법에 뛰어나고 청렴결백한 정수충의 영정을 모신 영당이었다. 1784년에 그의 위패를 함께 모시면서 사당의 격을 갖추게 됐다. 1796년에는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운 민제장을, 1809년에는 정몽주의 제자로 충절을 지킨 그의 할아버지인 정희와 세종 때 학문 및 예술, 과학, 기술 등에 업적을 남기고 청렴했던 그의 둘째큰아버지인 정초의 위패를 함께 모셨다. 그 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다가 1905년 다시 제를 올리기 시작했다. 1906년 송시열의 제자로 충효가 뛰어났던 정오도의 위패를 추가하고, 정희의 위패를 중앙에 두어 지금의 틀을 갖추게 됐다.제사를 올리는 공간인 화담사는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옆면에서 보았을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며, 앞쪽에는 넓은 마루가 있다. 건물 앞쪽으로는 내삼문인 양양문洋洋門이 있고, 계단을 내려가면 중간에 학문을 연구하는 공간인 동재廳之齋와 서재悅乎齋가 있어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양식을 갖추고 있다.정희(鄭熙) 아들 정초(鄭招) 손자 정수충(鄭守忠) 정오도(鄭五道) 민제장(閔濟章)을 배향한 사우1735년(영조 11) 창건1796년에 광주향교 유회소의 발의 민제장(閔濟章) 배향1809년(순조 6) 정희(鄭熙) 배향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1905년 복설1907년 정오도(鄭五道) 추배1910년 정초(鄭招) 추배사당 : 앞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내삼문 : 양양문(洋洋門)동재 : 청지재(廳之齋)는 앞면 4칸, 옆면 1칸, 맞배지붕서재 : 열호재(悅乎齋)는 앞면 4칸, 옆면 1칸, 맞배지붕외인문(外仁門)향사인물민제장(閔濟章, ?∼1729) 본관-여흥(驪興) 자-회백(晦伯) 호-삼금당(三錦堂)정희(鄭熙, ?~?) 본관-하동(河東)정오도(鄭吾道, 1625~1736) 본관-하동(河東) 자-일관(一貫) 호-약포(藥圃)정초(鄭招, ?~1434) 본관-하동(河東) 자-열지(悅之) 정희(鄭熙)의 아들정수충(鄭守忠, 1401~1469) 본관-하동(河東) 자-경부(敬夫) 정희(鄭熙)의 손자광주광역시 기념물 제18호(1993년 3월 20일)
    2018-05-24 | NO.5
  • 화암사 / 花巖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 가산마을(삼도가산안길 8)김우생(金佑生) 김문기(金文起)를 제향하는 사우 1807년(순조7) 창건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1908년 현 위치에 다시 건립사당 : 정면 3칸, 측면1칸, 단층 맞배지붕향사인물 김우생(金佑生, 1372~1457) 본관-상산(商山) 자-문숙(文叔) 호-양산(陽山)김문기(金文起, 1399~1456) 본관-김해(金海) 자-여공(汝恭) 호-백촌(白村) 
    2020-03-05 | NO.4
  • 화엄사花嚴祠
    화엄사花嚴祠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조선 초기의 문신 김우생과 김문기를 배향한 사당이다.
    2020-05-16 | NO.3
  • 황산사(黃山祠)
    황산사(黃山祠)는 광주시 남구 원산동에 송설정공(松雪亭公) 고영중(髙瑩中), 고경조(髙敬祖), 고성후(髙成厚) 등을 배향하고 있다. 제일(祭日) : 음(陰) 3월 3일1725년 경열사 초건. 1868년 훼철. 1957년 황산사로 재건. 황산사는 원산동 만산마을에 있다. , 건립 경위를 보면 영조원년(1725)에 유림들이 고중영, 고경조 유풍을 추모하여 광주에 경열사를 짓고 제사를 지내오다가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광복후 1957년 현재의 위치에 사우를 중건하여 황산사라 부르게 되었으며 1960년부터 제사를 지내고 있다. 건물의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공기와 맛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황산사에서 배향되고 있는 인물은 조선 중종 때 절신으로 이름난 송설정 고중영, 청백리 고경조, 임란공신 고성후 3부자와 함께 임난공신 청계 위덕의를 제향하고 있다.  고중영은 중종 35년(1540)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 갔다가 모함으로 진도로 귀향갔으며, 그의 아들 고경조는 155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61년 문과에 급제하여 경주목사에 이르렀다. 고성후는 경조의 아들로서 1583년 전중어사를 지냈으며 1592년 금마군수에 임명되어 권율의 휘하에서 진주싸움에 참가하였다. 이원 위덕의는 1573년 사마시에 합격 임진왜란 때 주부를 제수하여 형조좌랑에 임명되었으며, 진원현감을 지내다가 광해군 5년(1613)에 별세하였다.
    2018-10-21 | NO.2
  • 학산사(鶴山祠)
    학산사(鶴山祠)는 서구 서창동 불암마을에 있는 의병장 김세근(金世斤)을 모신 사당이다.1958년 지역 유림들이 뜻을 모아 김세근의 충의정신을 기리고 그의 넋을 추모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경내에는 사우인 학산사와 경의당,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으며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향사 인물 김세근은 자 중빈(重賓), 호 삽봉(揷峰)으로 1577년(선조 10)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종부시주부 직에 있으면서 외침에 대비한 양병설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창, 관내 세동 백마산 수련곡(속칭 수원골)에서 의병을 일으켜 영동과 황간에서 적을 무찔렀으며, 금산 와평들에서 왜적과 접전하던 끝에 장수 고경명과 함께 순절하였다. 뒤에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경의당景義堂은 2018년 광주광역시 서구 향토문화유산 제1호로 지정된 건물이다.
    2018-06-01 | NO.1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