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천동사 / 泉洞祠 이민서

주(州)의 서쪽 40리 나주 경계에 있다. 두 고을이 합설하여 유애사(遺愛祠)를 만들었는데 문간공(文簡公) 이민서(李敏敍), 병산(屛山) 이관명(李觀命), 한포재(寒圃齋) 이건명(李健命), 삼산(三山) 이병상(李秉常), 송호(松湖) 유언호(兪彦鎬)를 향사(享祀)한다.
장의(掌議) 1인, 색장(色掌) 1인 원생(院生) 25인이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 광주읍지(1924)


이건명(李健命, 1663~1722)의 부친 이민서를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는데, 나중에 이건명을 배향하였다. 《燃藜室記述 別集 卷4 書院》

이건명의 본관은 전주,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ㆍ재월재(霽月齋)이며, 시호는 충민이다.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의 손자이자 이조 판서 이민서(李敏敍)의 아들이다. 노론 사대신 중의 한 사람이다.
1686년(숙종12)에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수찬ㆍ응교ㆍ우승지ㆍ대사간ㆍ이조 판서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43)에 그의 종형 이이명(李頤命)이 숙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 문제로 숙종과 단독 면대하였던 정유독대(丁酉獨對) 직후, 특별히 우의정에 발탁되어 훗날 영조가 될 연잉군(延礽君)의 보호를 부탁받았다.
이어 경종 즉위 후 좌의정에 승진하여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노론의 영수로서 연잉군의 왕세제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반대파인 소론의 미움을 받았다. 1722년(경종2)에 노론이 모역한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전라도 흥양(興陽)의 나로도(羅老島)에 유배되었다가, 그해 8월 19일에 유배지에서 목이 베여 죽임을 당하였다.
1725년(영조1) 노론정권하에서 신원되어 시호가 내려졌으며,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의 서하사(西河祠)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한포재집(寒圃齋集)》 등이 있다.
이건명이 천동사에 배향할 때 김원행이 지은 제문이 《미호집》 본권에 〈천동사이충민공배향제문(泉洞祠李忠愍公配享祭文)〉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지명이 민우수(閔遇洙)의 《정암집(貞菴集)》 권11에 〈우의정충민이공묘지명(右議政忠愍李公墓誌銘)〉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표가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집(陶谷集) 권20에 〈의정부좌의정한포이공묘표(議政府左議政寒圃李公墓表)〉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泉洞祠李忠愍公兩丁祝文 천동사의 이 충민공에 대한 양정 축문

사림의 종사(宗師)이고 / 士林之宗
사직의 공신(功臣)이로다 / 社稷之功
순수한 충정과 크나큰 절개는 / 精忠大節
백세토록 존숭할 바로세 / 百世攸崇

' 미호집 제20권 / 고문(告文) 미호 김원행 선생

[주-D001] 천동사(泉洞祠) : 광주(光州)에 있는 사우(祠宇)로서, 이건명(李健命)의 부친 이민서(李敏敍)를 제향하기 위해 세워졌는데, 나중에 이건명을 배향하였다. 《燃藜室記述 別集 卷4 書院》

[주-D002] 이 충민공(李忠愍公) : 이건명(李健命, 1663~1722)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중강(仲剛), 호는 한포재(寒圃齋)ㆍ재월재(霽月齋)이며, 시호는 충민이다. 영의정 이경여(李敬輿)의 손자이자 이조 판서 이민서(李敏敍)의 아들이다. 노론 사대신 중의 한 사람이다. 1686년(숙종12)에 춘당대 문과에 을과로 급제, 수찬ㆍ응교ㆍ우승지ㆍ대사간ㆍ이조 판서ㆍ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43)에 그의 종형 이이명(李頤命)이 숙종의 뒤를 이을 후계자 문제로 숙종과 단독 면대하였던 정유독대(丁酉獨對) 직후, 특별히 우의정에 발탁되어 훗날 영조가 될 연잉군(延礽君)의 보호를 부탁받았다. 이어 경종 즉위 후 좌의정에 승진하여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ㆍ조태채(趙泰采)와 함께 노론의 영수로서 연잉군의 왕세제 책봉에 진력하였으나, 이로 인하여 반대파인 소론의 미움을 받았다. 1722년(경종2)에 노론이 모역한다는 목호룡(睦虎龍)의 고변으로 전라도 흥양(興陽)의 나로도(羅老島)에 유배되었다가, 그해 8월 19일에 유배지에서 목이 베여 죽임을 당하였다. 1725년(영조1) 노론정권하에서 신원되어 시호가 내려졌으며,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 흥덕(興德)의 동산서원(東山書院), 나주의 서하사(西河祠) 등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한포재집(寒圃齋集)》 등이 있다. 이건명이 천동사에 배향할 때 미호가 지은 제문이 《미호집》 본권에 〈천동사이충민공배향제문(泉洞祠李忠愍公配享祭文)〉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지명이 민우수(閔遇洙)의 《정암집(貞菴集)》 권11에 〈우의정충민이공묘지명(右議政忠愍李公墓誌銘)〉이란 제목으로, 그의 묘표가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집(陶谷集) 권20에 〈의정부좌의정한포이공묘표(議政府左議政寒圃李公墓表)〉란 제목으로 실려 있다.

[주-D003] 양정 축문(兩丁祝文) : 사우(祠宇)에는 일반적으로 매년 봄가을, 즉 2월 첫 정일(丁日)과 8월 첫 정일에 향사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축문을 말한다.



* 미호집([渼湖集)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인 김원행(金元行:1702~1772)의 시문집.

20권 10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연대와 편자는 알 수 없으나, 저자 생존시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권1·2에는 시·상서·서계·의(議), 권3~12에는 서(書), 권13에는 서(序)·기·제발, 권14·15에는 잡저·혼서·찬·명·묘지명, 권16~20에는 신도비명·비명·묘갈명·행장·제문·고문·애사·전(傳)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는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이간(李柬)·이재(李縡)의 학통을 계승했다. 따라서 당시 성리학계의 2대 조류인 호론·낙론 논쟁에서 한원진의 호론을 반대하고, 이간의 낙론을 지지했다.

서(書)에서 그의 학문의 핵심인 예론과 성리학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김시관(金時觀)과의 성리설에 관한 논변, 유척기(兪拓基)와의 예설에 관한 왕복논변, 송명흠(宋明欽)과의 예설·인성·사론 등에 관한 논변, 임성주와의 의리에 관한 논변, 유언민과의 제례·귀신에 관한 문답, 현직명(玄直明)과의 성리학·제례에 관한 문답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권10에 수록된 실학자 홍대용(洪大容)과의 경서의의 및 성리에 관한 논변은 실학의 경학사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잡저의 〈독서차록 讀書箚錄〉·〈중용문답 中庸問答〉·〈미호경의 渼湖經義〉·〈미상록 渼上錄〉·〈미상기문록 渼上記聞錄〉 등은 중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기술해놓은 것으로 중용 위주의 경학적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중용 위주의 경학적 취향은 자연스럽게 예학 연구로 연결되었으며, 그의 예학은 김장생·장현광에 필적했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성리학설사 연구에 자료가 된다. 규장각·장서각·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김원행은 조선 영조 때의 주자학자로 당시 호론과 낙론의 대립 속에서 낙론을 지지한 대표적 학자였다.


본관은 안동. 자는 백춘(伯春), 호는 미호(渼湖)·운루(雲樓). 아버지는 제겸(濟謙)이며, 당숙인 숭겸(崇謙)에게 입양되어 창협(昌協)의 손자가 되었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19년(숙종 45)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본가의 할아버지 창집(昌集), 생부 제겸, 친형인 성행(省行)·탄행(坦行)이 죽임을 당하자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했다.

1725년(영조 1) 창집 등 집안 사람들이 신원(伸寃)된 뒤에도 벼슬에 뜻을 버리고 시골에서 학문연구에 몰두했다. 1740년 이후 수차례 벼슬에 임명되고 1759년에는 왕세손을 교육할 적임자로 영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았다. 그후 산림으로 있으면서 박윤원(朴胤源)·오윤상(吳允常)·홍대용(洪大容) 등 많은 학자를 길러냈다. 당시 주자학계는 2대 조류인 낙론과 호론이 대립하고 있어서 이간(李柬)이 이재와 함께 낙론의 중심이 되고, 한원진(韓元震)이 호론의 중심이었다.

그는 낙론을 지지한 학자로서 김창협의 학설을 이어받아, 심(心)을 이(理)라고도 하지 않고 기(氣)라고도 하지 않으며, 이와 기의 중간에 처하여 이기를 겸하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여겨, 주리와 주기의 절충적인 입장을 취했다. 저서에 〈미호집〉 20권 10책이 있다. 시호는 문경이다.


*2023.9.25.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