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문선 제127권 / 묘지(墓誌); 송당 선생 김공 묘지명(김광식)

동문선 제127권 / 묘지(墓誌)

송당 선생 김공 묘지명 병서 (松堂先生金公墓誌銘 幷序)


이색(李穡)


지정(至正) 신사년에 내 나이 14세에 성균시에 응시했다. 고시장에 나아가 뜰 가운데 선생을 바라보니 포(袍)와 홀(笏)을 갖추고 단정히 앉아 있는데, 엄숙한 모습이 마치 태산교악(泰山喬嶽)과도 같아서 여러 선비들이 숨소리를 죽이고 감히 떠들지 못하였다. 문생이 되어서는 왕래하면서 가르침을 들으니 따뜻한 말씨와 부드러운 낯빛으로 국법을 설명해 밝히고, 인재를 부지런히 권면하고 또 거듭 말하면서 나라의 풍속이 날로 쇠퇴하여 가고 있다고 개탄하였다. 집에서는 살림살이를 다스리지 않고 좌우에 거문고와 서적이 있어 담담하다. 동산 산마루에 솔을 재배하고 서재 남쪽 못 가운데 연꽃을 심었으며, 해마다 뜰에 모란이 활짝 피면 술과 음식을 갖추어 문생들을 불러놓고 대부인(大夫人)께 헌수(獻壽)하니, 그 형제와 자손들이 항상 화기애애하여 효제(孝悌)의 지극함은 신명까지 통하였다. 대부인이 91세의 장수를 누렸으니, 아, 참으로 성대한 일이 아닌가. 병신년 3월에 대부인이 병환으로 돌아가니, 황고(皇考) 문정공(文正公)의 묘소 아래에 장사 지내고, 그 곁에서 살면서 복제(服制)를 마쳤다. 선생은 본래 병으로 걷기가 어려웠으나 아침저녁으로 전(奠) 올릴 때에 반드시 몸소 쓸고 닦기를 잠시도 그만둔 적이 없었다. 우리나라 풍속에 부모의 분묘를 지킬 때에, 흔히 종을 대신시키고 사사로이 노복의 부역을 면제해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선생은 차마 어버이에게 섭섭하게 할 수 없다고 하여 몸소 이를 행하였으니, 이는 근래 재상 중에 일찍이 없던 일이다. 선생의 성은 김씨요, 이름은 광식(光軾)이고, 자(字)는 자여(子輿)이며, 호는 송당거사(松堂居士)이니, 광주(光州) 사람인 사공(司空) 김길(金吉)의 후손이다. 사공이 고려의 태조를 도와서 공로가 있었고, 그 후예에 이름은 광서(匡瑞)요, 벼슬이 중랑장(中郞將)인 사람이 있었다. 중랑장이 휘(諱) 위(偉)를 낳았는데 벼슬은 삼사사(三司使)였으며, 삼사사가 휘 경량(鏡亮)을 낳았는데 대장군이며, 대장군이 감찰어사 휘 수원(須元)을 낳았는데, 처음에 삼별초(三別抄)가 순수히 귀순하지 않고 반심(叛心)을 품고 바다 섬 속으로 들어갔었는데, 어사공이 영광(靈光)의 원으로 있다가 이들에게 죽었다. 어사공이 국자좨주(國子祭酒) 휘 고영중(高瑩中)의 손자 모관(某官)을 지낸 휘 몽경(夢卿)의 딸과 결혼하였는데, 고씨는 나이 1백 2세가 되도록 살았다. 예전에 고씨의 꿈에 밝은 별이 품안에 들어오는 것을 보았는데, 쾌헌 선생(快軒先生) 문정공(文正公) 휘 태현(台鉉)을 낳았다. 문정공은 4대의 왕조의 원로로 일국의 중대사를 결정짓는 고문적인 존재로 정승에 이르고 치사(致仕)하였다. 일찍이 국초 이래의 문장을 모아 《해동문감(海東文鑑)》이라 이름하여 간행한 적이 있고, 성균시를 관장하고 다시 지공거가 되어 공이 선발한 선비에 유명한 사람이 많았으니, 죽계(竹溪)의 안근재(安謹齋)와 최졸옹(崔拙翁)은 그 중에서도 더욱 뛰어난 분이었다. 먼저 행수낭장(行首郞將) 김의(金義)의 딸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이름이 광식(光軾)이요, 벼슬은 선부 의랑(選部議郞)에 이르렀고, 계실(繼室)은 태조의 아들 효은(孝隱)의 후손인 시랑(侍郞) 정단(丁旦)의 딸로서 3남 2녀를 낳았는데, 장남 광철(光轍)은 급제하여 벼슬이 밀직사에 이르렀고, 다음이 선생이요, 다음은 광로(光輅) 급제하였다. 맏딸은 정당문학 안목(安牧)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밀양군(密陽君) 박윤문(朴允文)에게 시집갔다. 공의 삼형제가 이미 과거에 올라 대부인이 나라에서 주는 녹으로 그 몸을 마쳤다. 박씨의 아들 4명과 안씨의 손자 3명이 또 모두 과거에 오르니, 당시 사람들이 부러워하였다.

공은 지원(至元) 갑자년 정월 갑자일에 출생하자, 이미 신장이 2척(尺)이 넘어 부모가 기특하게 여겨 몹시 사랑하였다. 관례 후 황경(皇慶) 계축년에 과거에 급제하니, 좌주(座主) 일재선생(一齋先生) 권정승(權政丞)이 예법을 아는 것을 사랑하여 후히 대하고 성균학관(成均學官)에 보직하였다. 지순(至順) 경오년에 충혜왕을 따라 원나라 서울로 갔는데, 그 공로로 사복시 승(司僕寺丞)에 제수되었다가 다시 도관 정랑(都官正郞)으로 옮겼다. 그 뒤 지원(至元) 기묘년에 충혜왕이 조적(曹頔)에 의해 거의 폐위될 뻔했다가 다행히 이겼으나, 그의 일당이 원나라 권력층에 많이 붙어서 기필코 자신들의 음모를 성취시키려고 하였다. 왕이 북경으로 갈 때에 공이 말하기를, “우리 임금님이 위태로우실 것이니 나만 어찌 차마 여기서 혼자 면하겠느냐.” 하고 수종해 갔다가 천자의 성명(聖明)하심에 힘입어 다시 작위를 회복하고 돌아오니, 때는 경진년 가을 7월이었다. 군부총랑(軍簿摠郞)으로 참전선사(參銓選事)가 되고, 성균 좨주(成均祭酒)ㆍ삼사 좌윤(三司左尹)ㆍ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 관직을 여러 번 전전하였으나, 모두 관직(館職)과 지제교를 겸임하였다. 다음해 가을에 성균시(成均試)를 주관하여 지금의 지밀직사사 성사달(成士達) 등 99명을 선발하니, 당시에 선비를 많이 얻었다고 일컬었다. 충혜왕이 평소에 공의 엄중함을 꺼렸고, 좌우의 사람들도 대부분 꺼렸는데, 다만 구실로 삼을 것이 없었다가 드디어 말하기를, “김공은 조용히 있는 것을 좋아하고 벼슬길에 나오는 것은 그의 본래의 뜻이 아니다.” 하니, 임금이 차차 이 말을 믿게 되어 드디어 공의 직임을 갈아버리니, 여러 소인들이 더욱 기세를 폈다. 계미년 겨울에 악양의 화[岳陽之禍 충선왕이 귀양간 것]가 일어나고, 갑신년에 충목왕(忠穆王)이 왕위에 서면서 공을 기용하여 우부대언(右副代言)으로 삼고 다시 지신사(知申事)로 옮기니, 권력을 잡은 대신이 자기에게 아부하지 않는 것을 미워하여 임금에게 아뢰어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제수하였다. 얼마 안 되어 임금이 이를 후회하고 밀직부사 제조전선사(密直副使提調銓選事)에 임명하였다가 곧 지사(知司)로 승진되었다. 기축년에 충정왕(忠定王)이 왕위에 오르자 서연(書筵)을 열어 공을 스승으로 삼으니, 공이 굳게 사양하였고, 첨의(僉議)로 들어가서 평리(評理)가 되고, 광정대부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사 상호군이 되어, 이어 제조전선사(提調銓選事)를 겸하고 있다가 바로 삼사우사(三司右使)로 고쳐 주니, 들어가 임금에게 아뢰기를, “문인에 대한 선발은 이조에서 관장하고 무신에 대한 선발은 병조(兵曹)에서 관장하는데, 정방(政房)에서 총괄하는 것은 권신(權臣)으로부터 비롯한 것이니 아름다운 법이 아닙니다. 전하께서는 신의 말씀을 들어 주시어 옛 제도대로 하시는 것이 편리할 것입니다.” 하니, 그대로 따랐다. 그러나 반드시 공정해야 한다고 하며 공에게 명하여 전리판서(典理判書)를 겸임하게 하였다. 신묘년 10월에 현릉(玄陵)이 왕위에 오르자, 공은 두문불출하고 대부인을 봉양하면서 아침저녁으로 예절을 다하였다. 대부인이 돌아가시자 여묘(廬墓)를 마칠 때에 이르러서는 시중(侍中) 홍양파(洪陽坡)선생이 당대 이름 있는 경과 재상들과 같이 찾아가서 그 노고를 위로하자, 공은 말하기를, “내가 나이 63세로 처음 여기 와서 살 때에는 항상 하루아침으로 어머니보다 먼저 죽어 종족의 수치나 되지 않을까 두려워했더니,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은 나의 고비(考妣 돌아가신 부모)의 덕이다.” 하고 말을 마치자 눈물이 흘러 내렸다. 위문갔던 사람도 모두 눈물을 흘리면서 탄복하였다. 여묘를 마치고 돌아와서는 집 북쪽 모퉁이에 판위(版位)를 마련해 놓고, 행사할 때마다 곡읍(哭泣)을 그치지 않았다. 숙병으로 인하여 문밖을 나가지 않으니, 현릉(玄陵)이 그 명성을 듣고 사자를 보내어 공에게 유시하기를, “공과 더불어 말하고자 생각해 온 지 오래되었소. 과인으로 하여금 한 번 만나볼 수 있게 해 주지 아니하겠는가.” 하였다. 공이 황공하여 자식과 조카에게 부축하게 하여 조정에 들어가니, 임금이 이르기를, “연령과 안색은 그다지 쇠하지 않았는데도 병이 있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하고, 한참 동안 탄식하고 애석해하였다. 그리고는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공이 사는 마을에 영창방(靈昌坊) 효자리(孝子里)라고 정문(旌門)을 세워 표시하고, 또 그 마을의 몇 호(戶)의 부세를 면제해 주어 공을 받들게 하였다. 신축년 겨울 11월에 홍건적을 피하여 고창현(高昌縣)에 이르러, 그곳에 머물러 살던 중 계묘년 3월에 경미한 병증을 느꼈으나 행동과 언어가 조금도 변함이 없더니, 14일에 날이 저문 후에 부인에게 말하기를, “내가 올해 나이가 70이니 죽은들 다시 무슨 여한이 있겠소. 남자가 부인 앞에 숨을 거두지 않는 것이 옛 예이니, 여러 여종과 더불어 물러가 있으시오.” 하고, 또 경계하기를, “음성을 높이거나 급한 말로서 나를 동요시키지 말라.” 하더니, 조금 있다가 숨이 끊어지니 평소 수양의 깊이를 알 수 있다. 아들과 사위들이 영구를 받들고 서울로 돌아와서 모월 모일에 덕수(德水)에 있는 선영 아래에 안장하였다.

공은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시호 양간공(良簡公) 김승택(金承澤)의 딸을 아내로 맞아 자녀 둘을 낳았는데, 아들의 이름은 흥조(興祖)로 성격이 쾌활하며 큰 뜻이 있었고, 벼슬이 중현대부 군기감(中顯大夫軍器監)에 이르렀으며, 수원(水原)ㆍ해주(海州)의 부사(府使)를 역임하여 치적이 매우 현저하였으나, 취성(鷲城 신돈)의 손에 죽어 사람들이 지금까지 이를 불쌍히 여기고 있다. 딸은 봉선대부 내부부령(奉善大夫內府副令) 박문수(朴門壽)에게 출가하였으니, 신라의 시조 혁거세(赫居世)의 후손이다. 손자는 남녀 몇이 있으니, 군기는 감찰대부 신중전(申仲全)의 딸과 결혼하여 딸 하나를 낳았는데, 낭장 송의번(宋義番)에게 출가하였다. 내부(內府)는 2남을 낳았는데 장남 총(樷)은 학문을 좋아하고 뜻이 고상하였으며, 전(前) 봉선대부 좌우위 보승호군(奉善大夫左右衛保勝護軍)이었고, 다음 포(苞)는 진사시에 합격하고 전의녹사(典儀錄事)를 역임하였다. 외증손 몇이 있는데 모두 어리다. 호군(護軍)이 공의 행장으로 한산(韓山) 이색(李穡)에게 묘비명을 청하며 말하기를, “자네가 마땅히 명을 지어야 하네.” 하니, 이에 받아 가지고 서술하는 바이다. 아, 선생의 덕행과 정사가 이처럼 현저하니, 자손이 많아야 마땅하거늘 군기감의 후손이 없으니 이는 하늘이 정하지 않은 것이요, 또 이것이 하늘의 좋아하고 미워함이 사람과 다른 바이다. 아, 슬프도다. 하지만 다행한 일은 박씨가 있다는 것이다. 선비가 공을 세워 그 외조부를 드러내는 자가 역사서에 끊이지 않았으니, 박씨는 힘쓰고 또 힘쓰라. 다음과 같이 명을 쓴다.


동쪽 언덕 / 惟東有岡

푸른 저 솔숲은 / 有松蒼蒼

군자의 저택이요 / 君子之宅

못물 가득히 차고 / 池水之盈

연꽃 향기 맑음은 / 蓮香之淸

군자의 덕이로다 / 君子之德

나아가 임금을 섬길 적엔 / 出以事君

정사가 있고 문채가 있어 / 有政有文

우리의 왕국을 바로잡았고 / 正我王國

들어와 어버이를 모실 적엔 / 入以事親

늙을수록 더욱 참되어 / 愈老愈眞

백성의 풍속을 변화시켰네 / 化我民俗

선생의 높은 풍모 / 先生之風

널리 해동을 덮어 / 被于海東

길이길이 법받을 것이로다 / 永世攸則

내 이 명을 지음은 / 我作斯銘

선생을 사적으로 좋아함이 아니요 / 匪私先生

사필의 곧음이로다 / 史筆之直


*광주(光州) 사람인 사공(司空) 김길(金吉)의 후손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