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목(光州牧)에 있는 은언궁방답(恩彦宮房畓) 50결은 충청도로 이송

호남계록(湖南啓錄)○고종(高宗) / 고종(高宗) 22년(1885)

12월 초7일


전라도 관찰사 겸 순찰사 신 윤(尹)은 삼가 상고(相考)의 일을 아룁니다. 을유년(乙酉年, 1885, 고종22) 연분(年分) 재실(災實 재해를 입은 것과 곡식이 충실한 것)을 전례대로 마련하여 성책(成冊)하고 수정하여 2건을 호조(戶曹)에 올려 보냅니다. 본도(本道)의 각종 재총(災摠)은 1만 6천 64결(結) 23부(負)로, 재실(災實)을 구별하는 것은 관계되는 바가 매우 중요하므로 신이 직접 재부(災簿)를 잡고 수령에게 엄히 신칙하여 일일이 고르게 분표(分俵 나누어 줌)하였습니다.

갑신년(甲申年, 1884, 고종21)에 수계(修啓)한 실총(實摠)은 20만 9천 8백 37결 23부 4속(束)이고, 가입(加入)한 것은 갑신년 재(災) 1만 7천 2백 84결 56부와 임오년(壬午年, 1882, 고종19) 권경기(勸耕起) 2결 2속이며, 전주부(全州府)에 있는 용동궁(龍洞宮 왕대비 소용의 재원을 관리하는 궁방(宮房)) 답(畓) 1백 결, 육상궁답(毓祥宮畓) 55결, 정방전(鄭房田) 70결, 장흥부(長興府)에 있는 정방답(鄭房畓) 1백 30결, 육상궁 전(田) 66결 답(畓) 1백 11결 80부, 용동궁 전(田) 1백 20결 답(畓) 50결, 옥구현(沃溝縣)에 있는 용동궁 답 50결, 육상궁 답 75결 41부 9속, 정방답 10결 30부 2속, 어의궁(於義宮 대비 소용의 재원을 관리하는 궁방(宮房)) 답(畓) 40결, 함열현(咸悅縣)에 있는 선희궁(宣禧宮 조선 영조(英祖)의 후궁 영빈 이씨(暎嬪李氏)의 사당) 전(田) 41결 답(畓) 9결은 경기로 이송(移送)하고, 광주목(光州牧)에 있는 은언궁방답(恩彦宮房畓) 50결은 충청도로 이송하여, 합(合) 원총(元摠)이 22만 8천 1백 2결 31부 7속인데, 이 안에서 허획재(許劃災) 1만 6천 64결 23부 및 나주(羅州) 등 10개 고을의 무망감세조(無亡減稅條) 3천 결, 영광(靈光)의 무망감세조 7백 결을 계산하여 제하니 실총(實摠)이 20만 8천 3백 38결 8부 7속입니다. 계미년(癸未年, 1883, 고종20) 권경기(勸耕起) 1결 66부 9속, 갑신년 권경기 1결 53부 8속, 을유년 권경기 1결 75부 2속은 정식에 따라 3년이 지난 뒤에 응당 출세(出稅)할 것입니다.

올해 재명(災名)은 미이앙(未移秧 모내기를 못함) 및 병술년에 첨록(添錄)한 구재(舊災) 외에 소융(消融), 풍손(風損), 구미몽탈(舊未蒙頉) 등인데 이를 기록하는 것은 또한 번거롭고 외람되니 모두 전혀 낫을 걸 수 없는 것〔全不掛鎌〕이라는 이유로 전재(全災 전답이 전부 재해를 당해 면세됨)라고 기록하였습니다. 이제 구복사(舊覆沙) 7천 5백 37결 79부는 금년의 재탈(災頉)이 내년에는 도로 실결이 되는 것이 본래 사목(事目 공사(公事)에 대해 구체적으로 규정한 시행 세칙)이므로 당년(當年)의 재결로 행하겠습니다. 각 관방(官房)과 각 아문(衙門)에 돌아가며 주는 무토 면세결(無土免稅結)은 읍보(邑報)에 따라 옮겨 가고 옮겨 와 모두 원래의 성책(成冊)에 바로잡았습니다. 연유를 삼가 갖추어 계문(啓聞)합니다.

광서 11년 12월 초7일


[주-D001] 연분(年分) : 

그해 농사의 풍흉에 따라 해마다 토지를 상상(上上)ㆍ상중(上中)ㆍ상하(上下), 중상(中上)ㆍ중중(中中)ㆍ중하(中下), 하상(下上)ㆍ하중(下中)ㆍ하하(下下)의 아홉 등급으로 나누어 등급에 해당하는 세액을 부과한 제도. 조선 세종 28년(1446)부터 실시하였다. 연분구등(年分九等)이라고도 함.

[주-D002] 무토 면세결(無土免稅結) : 

궁방전(宮房田)의 절수전결(折受田結)에 대한 조세 면제의 한 가지. 무토(無土)는 여러 궁방(宮房)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토(庄土)의 하나로, 실제 전지(田地)의 소유권을 절급(折給)하여 주는 것이 아니라 수세권(收稅權)만을 내어 주는 전지이다. 유토(有土)의 대칭으로 유토는 전지 소유권을 장토(庄土)로 내어주는 것이다. 궁방전의 면세에는 유토면세(有土免稅)와 무토면세(無土免稅)의 구별이 있는데, 호조(戶曹)에서 실결(實結)을 획급(劃給)하되 기한을 3년에 준하여 도내 각 고을에 윤차(輪次)로 정하는 것을 무토면세라 함.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