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손재집》 발문〔遜齋集跋〕 [이민보(李敏輔)]

《손재집》 발문〔遜齋集跋〕 [이민보(李敏輔)]


호남(湖南)의 학문은 하서(河西)와 고봉(高峯)에게서 말미암아 백여 년이 되었는데, 고(故) 징사(徵士) 손재(遜齋) 박공(朴公, 박광일朴光一 : ?~?)이 일어났다. 공은 우헌공(寓軒公)의 아들로 나이 겨우 약관의 나이에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의 호(號)) 노선생을 사사(師事)하여 오가며 질문을 하니, 벌써 영특하기가 남달랐고, 만년에 이르러서는 더욱 깊고 은미한 이치를 탐색하고 연구하여 정밀하게 사유하고 자세히 논하였다.


저술이 모두 이십 편으로, 성명(性命)의 오묘함과 괘상(卦象)의 이치에서부터 의문(儀文)과 도수(度數)의 세밀함에 이르기까지, 그 견해가 분명하였기 때문에 말이 물샐틈없는데, 대부분 질박(質朴)하여 문식(文飾)을 가함이 없고, 광범위하면서도 연원이 있었다. 요컨대 경(經)과 예(禮)의 본지(本旨)를 천명하고자 함이었으니, 문사(文辭)는 애초부터 달가워하지 않았다.


답문(答問)이나 소(疏)ㆍ변(辨) 등은 또한 장중하면서도 바르고 넉넉하면서도 무성해서, 사문(斯文)의 흥망(興亡)과 크게 관련이 있었기에, 당시 동문(同門)의 제공(諸公)들도 마음으로 허락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호남의 선비들도 우르르 그를 따르면서 노선생의 도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편파적인 말에 현혹되지 않았으니, 공(公)의 공(功)이 많았도다. 오호라! 비록 하서와 고봉의 뒤를 이은 한 사람이라고 말해도 어찌 지나치다 하겠는가?


공의 손자 하진(夏鎭)이 공께서 남긴 글을 장차 인쇄하고자 하면서, 다듬고 손보는 역할을 내게 맡겼다. 삼가 9편으로 거칠게나마 정하고 나서, 외람되이 그 아래에다 한마디 말을 붙인다.


“문(文)의 전승(傳乘)은 적을수록 더욱 오래 전해지는 법이지만, 공(公)에 관해 전할 만한 실상(實相)은 또한 문(文)에 있지 않도다. 공의 글이 귀한 까닭은 공허한 말[虛言]이 아니기 때문이다.”



연안(延安) 이민보(李敏輔)는 삼가 쓰다.


[주-D001] 하서(河西)와 고봉(高峯) : 
하서는 김인후(金麟厚, 1510~1560)의 호이다.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ㆍ담재(湛齋),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이황(李滉) 등과 교우가 두터웠으며, 제자로 정철(鄭澈), 변성온(卞成溫), 기효간(奇孝諫), 조희문(趙希文), 오건(吳健) 등이 있다. 1796년(정조20)에 문묘에 배향되었으며, 장성(長城)의 필암서원(筆巖書院)과 옥과(玉果)의 영귀서원(詠歸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하서집》ㆍ《주역관상편(周易觀象篇)》ㆍ《서명사천도(西銘事天圖)》ㆍ《백련초해(百聯抄解)》 등이 있다. 고봉은 기대승(奇大升, 1527~1572)의 호이다.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명언(明彦), 호는 고봉ㆍ존재(存齋),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저서에 《고봉집(高峯集)》 등이 있다.
[주-D002] 징사(徵士) : 
학문과 도학이 높아, 조정의 천거로 부름을 받은 선비를 가리키는 말이다.
[주-D003] 우헌공(寓軒公) : 
박상현(朴尙玄, 1629~1693)을 가리킨다. 자는 경초(景初), 호는 우헌, 본관은 순천(順天)이며, 전라도 광주(光州)에서 학문에만 전념한 학자이다. 아들 박광일(朴光一)을 송시열에게 보내 학문을 배우게 하였고, 그의 문집인 《우헌집(寓軒集)》에 송시열과 주고받은 편지가 여러 편 있으며, 송시열은 그를 모년지기(暮年知己)로 허여하였다고 한다. 《韓國文集叢刊解題 4輯 寓軒集, 遜齋集》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