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산동 향약》 서문〔鰲山洞鄕約序〕 -손재집

《오산동 향약》 서문〔鰲山洞鄕約序〕 -손재집 제8권 / 서(序)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옛날에는 향약(鄕約)을 모두 한 나라에 시행하였기 때문에 폭넓게 시행되고 멀리까지 파급되었으니, 국가에서 백성을 교화하여 풍속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도 이것으로 말미암았다. 후대로 내려와 말세가 되면서 교화가 쇠퇴하고 풍속이 무너지자 남전(藍田)에 남긴 법이 쓸쓸히 사라졌으니, 옛날의 이른바 ‘풍속이 깨끗하고 아름다워서 위에서 편안하고 아래에서 순종한다’는 것을 오늘날 다시 볼 수 없으니, 아, 슬퍼할 만하다.


지금 마을의 부로(父老)들이 서로 상의하여 향약의 법(法)을 정하는데, 다만 우리 광주(光州)는 면적이 커서 하루아침에 일제히 옛것을 회복할 수 없으니, 그렇다면 우선 우리 오산동(鰲山洞)에만 시행하여 주변의 본보기가 되게 하는 것도 간혹 시의(時宜)를 따르는 한 방도가 될 것이다. 이에 나에게 향약의 조항을 수정하여 보완하라고 부탁하니, 내가 감히 《여씨향약(呂氏鄕約)》과 율곡(栗谷) 선생이 가감한 향약을 참고해서 수정하였다.


대개 그 규모의 큰 틀은 《여씨향약》을 본받았고, 절목(節目)과 조례(條例)는 율곡 선생이 가감한 향약을 대부분 취하였지만, 또한 내가 가감한 부분도 없지 않다. 이는 번잡한 부분은 간략히 하고 소략한 부분은 자세히 만들며, 시대와 맞지 않는 것은 없애고 오늘날에도 적합한 것은 남겨 두어 마침내 고쳐서 한때의 법을 만든 것이다. 주제넘은 행동에 죄를 피할 수 없음을 잘 알지만, 우리 주부자(朱夫子 주희(朱熹))는 진실로 《여씨향약》을 가감할 적에 단지 고금의 마땅한 것을 헤아려 그 중도를 얻게 하였을 뿐이었고, 율곡 선생이 가감한 향약도 대체로 이런 뜻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오늘날 가감한 것이 중도를 얻었다고 내가 감히 말할 수는 없지만, 선을 권장하고 악을 징계해서 풍속을 아름답게 만드는 방도에 있어서는 아마도 큰 하자는 없을 듯하다.


[주-D001] 남전(藍田)에 남긴 법 : 
‘남전’은 중국 섬서성(陝西省)의 고을 이름이다. 송(宋)나라 때 남전에 살던 여대충(呂大忠), 여대방(呂大防), 여대균(呂大鈞), 여대림(呂大臨) 등 형제 네 사람이 고을 사람들과 서로 지키기로 약속한 자치 규범으로, “덕과 업을 서로 권하고[德業相勸], 과실을 서로 바로잡아 주고[過失相規], 예의 바른 풍속으로 서로 사귀고[禮俗相交], 근심스럽고 어려울 때 서로 구휼한다[患難相卹].”라는 등 네 조목인데, 후세 향약의 기준이 되었다. 《小學 卷6 善行》 본문에 보이는 《여씨향약》은 이를 가리킨 것이다.
[주-D002] 주부자(朱夫子)는 …… 않았다 : 
향약의 발단은 송대(宋代)의 〈남전여씨향약〉으로부터 비롯되었고, 주희(朱熹)에 의해 〈증손여씨향약(增損呂氏鄕約)〉이 제정되어 향약을 보급하는 계기가 되었다. 주희의 〈증손여씨향약〉은 조선조에 들어와서 통치이데올로기였던 성명의리지학(性命義理之學)의 실천 모형이 되었다. 1571년(선조4) 이이(李珥)는 〈여씨향약〉 및 〈예안향약〉을 근거로 〈서원향약(西原鄕約)〉과 이를 자신이 수정 증보하여 1577년에 〈해주향약(海州鄕約)〉을 재편성하였다. 《유성선, 율곡 향약에 나타난 사회사상 연구, 철학탐구 제18집, 중앙대 중앙철학연구소, 2005, 9쪽》 우리나라에는 주자의 향약이 고려 말 이래 성리학의 수용과 더불어 전래되었다. 그러나 이것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한 것은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어 가던 조선 시대 16세기 이후였다. 또한 이 시기에는 각 향촌사회에서 재지사족들이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여 중앙 정계에서 사림파를 형성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즉, 향약에 대한 관심은 성리학에 대한 이해의 심화와 그 주체인 재지사족층이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사림세력을 형성하는 16세기에 이르러서 본격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진영, 향약, 퇴계가 꿈꾼 이상사회, 안동학연구 제12집, 한국국학진흥원, 2013, 58쪽》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