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아들은 호남(湖南) 사람에게 장가보내고, 딸은 영남(嶺南) 사람에게 시집보내라"

선비 숙부인 고씨의 세계와 행적〔先妣淑夫人高氏世系行蹟〕 - 목재집 제8권 / 행장(行狀) :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선비(先妣)의 성은 고씨(高氏)로 그 선대는 제주(濟州) 고씨에서 나왔다. 고려 말에 이르러 장택(長澤)을 관향으로 하사받았기 때문에 장흥(長興) 고씨가 되었는데, 지금의 광산(光山) 고씨이다. 나라의 기초를 닦고 업적을 쇄신한 일은 역사에 실려 있으며, 대대로 집안을 빛낸 일은 보첩(譜牒)에 수록되어 있다.

5대조 자검(自儉)은 증 참의(贈參議)이며, 비(妣)는 남양 홍씨(南陽洪氏) 도헌(都憲) 자아(自阿)의 딸이다. 도헌공이 영남 도사(嶺南都事)가 되었을 때 우리 문광공(文匡公)이 시를 주었는데, 양친(兩親)의 안부를 시에 가탁(假託)한 것이다.


고조부 운(雲)은 형조 정랑이고, 기묘사류(己卯士流)였으며, 증 예조 참판(贈禮曹參判)이다. 비(妣)는 광주 이씨(光州李氏) 제학(提學) 선제(先齊)의 증손녀이다. 증조부 휘 맹영(孟英)은 사간원 대사간이고, 증 좌의정(贈左議政)이다. 비(妣)는 남평 서씨(南平徐氏) 진사(進士) 걸(傑)의 딸이다.
조부 휘 경명(敬命)은 공조 참의(工曹參議) 지제교(知製敎) 겸 초토사(兼招討使)이고, 증 의정부 좌찬성(贈議政府左贊成) 겸 홍문관 대제학(兼弘文館大提學)이며, 시호는 문열공(文烈公)이다. 비(妣)는 울산 김씨(蔚山金氏) 부제학(副提學) 백균(百匀)의 딸이다.
고(考) 휘 종후(從厚)는 임피 현령(臨陂縣令)이고, 증 이조 참판(贈吏曹參判)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이다. 비(妣)는 철성 이씨(鐵城李氏) 충의(忠義) 복원(復元)의 딸이자 부원군(府院君) 원(原)의 후손이며, 부제학(副提學) 박승임(朴承任)의 외손녀이다.


선비(先妣)는 만력(萬曆) 계미년(1583, 선조16) 11월 무신일(戊申日)에 태어났는데, 문열공과 태어난 날이 같기에 문열공이 기특해하며 사랑했다. 임진년(1592, 선조25)에 문열공이 전쟁에서 죽자 참판공은 의병을 일으켜 원한을 갚으려 했다.
당시 이부인은 안동에 있었는데, 이 소식을 듣고 선비(先妣)를 박씨 집에 머무르게 했다. 계사년(1593, 선조26) 봄에 두 어린 아이를 데리고 낮에는 숨고 밤에 달리는데, 여러 번 위태로움을 겪은 뒤에야 광주(光州)에 이를 수 있었다.
참판공은 군중(軍中)으로 나간 지 겨우 며칠밖에 되지 않았기에 의리상 가솔들과 얼굴을 대면할 수 없었다. 두 아들을 데려오게 해서 만나보고 작별인사하기를 “두 아들은 호남(湖南) 사람에게 장가보내고, 딸은 영남(嶺南) 사람에게 시집보내라.”라고 하면서 결국 떠났다. 진주성(晉州城)이 함락되어 그곳에서 죽자, 이부인은 유명(遺命)을 따랐다.


갑진년(1604, 선조37)에 선비가 선군에게 시집오니, 선군은 문광공(文匡公)의 현손이다. 선비는 시부모를 섬기면서 시부모를 매우 기쁘게 했고, 초상을 당해서는 슬픔을 다하였고, 제사를 지낼 때는 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을 섬기면서 부드럽고 상냥하며 공경하고 순종하여 남편의 뜻을 어기는 모습을 얼굴에 드러내지 않았고, 자기만 안일하고 편안하려는 뜻을 마음에 두지 않았다. 친척들에게 화목하였고, 비복(婢僕)들에게 자애로웠다.


집이 가난하여 옷가지와 음식이 넉넉하지 못했지만 집안일 처리가 매우 여유로웠으며, 선군이 벼슬하는 데 같이 있어도 정숙하면서 자신을 지킬 뿐이었다. 안음(安陰) 고을살이에서 돌아온 뒤로 읍인(邑人)들이 선군의 맑은 덕을 사모하여 많은 전별금을 주려고 했지만 선비께서 모두 사양했다. 일찍이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데 힘을 다하지 못함을 애통하게 여겼으니, 왜화(倭貨)나 기이한 장신구를 물리치고 가까이 하지 않았다.


숭정(崇禎) 임신년(1632, 인조10)에 선군(先君)께서 주청사 서장관(奏請使書狀官)이 되어 가묘(家廟)에 하직 인사를 드렸다. 한 달이 지나 선비께서 문득 개연(慨然)히 말씀하시길, “남편이 만 리 길을 배를 타고 떠났으니, 살아서 서로 만남을 기필(期必)할 수 있으랴.”라고 하며 즉시 행장(行裝)을 꾸려 서울로 달려가 작별 인사를 하고 돌아왔다.
이로부터 근심과 연민이 병이 되어 이듬해 계유년 4월 4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다음 달에 선군이 돌아왔다. 갑술년(1634, 인조12) 1월에 안동부 남쪽 10리에 장례 지냈으며, 숙부인(淑夫人)에 추증되었다. 갑신년(1644, 인조22) 4월에 상주(尙州) 의곡(蟻谷) 을향지원(乙向之原)으로 이장했다.


선비는 일찍이 2남 1녀를 낳았지만 모두 어릴 때 죽고, 뒤에 2녀 2남을 낳았다. 딸은 김벽(金璧)과 김섭(金燮)에게 시집갔다. 장남 여렴(汝濂)은 선비가 돌아가신 뒤에 죽었다. 차남은 여하(汝河)이며, 내외손은 10여인이다.
선비의 평소 아녀자로서의 모범과 아름다운 행실은 마땅히 여기에 그치지 않겠지만, 내가 어려서 잘 알지 못하기에 선군에게 들은 것을 근거로 해 오른쪽처럼 대략 기록한다. 특별히 외가 고씨(高氏)를 상세히 기록함은 후손들로 하여금 내외로 쌓인 선비의 덕이 그 유래가 있음을 알게 하기 위해서이다. 슬픈 마음 하늘과 같아 다할 길 없으니, 오호 통재라.


[주-D001] 도헌공이 …… 것이다 : 
문광공(文匡公)은 홍귀달(洪貴達, 1438~1504)을 가리킨다. 홍귀달이 홍자아에게 보낸 시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함창 서편 푸른 산모퉁이에, 세 칸 낡은 건물이 바로 우리집이로다. 집 안에는 두 어버이 모두 백발이시니, 오늘의 안부는 정히 어떠하신지.〔咸昌西面碧山阿 老屋三間是我家 堂上兩親皆白髮 卽今安否定如何〕” 《虛白亭集 卷1 寄慶尙道都事洪君自阿》

*홍여하는 영남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 외증조부가 임진왜란 때 의병장 제봉 고경명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