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강산제 심청가 이임례/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1998. 2. 21.)

무형문화재 강산제岡山制 예능보유자 이임례는 이병규(판소리)와 춘향가 김상용(춘향가), 생전 목포시립국악원에서 강산제 소리를 했던 김흥남을 사사했다. 전형적으로 강산제 소리를 이어받은 이임례 예능보유자는 소리의 고장으로 불리는 1941년 전남 진도 출생으로 국악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소리를 접할 수 있었다. 일찍부터 음악적인 재능을 키울 수 있었던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조선 헌종. 철종. 고종 때의 판소리 명창 박유전朴裕全(1835~1906)으로부터 비롯된 강산제 소리를 전승한 그는 이병규에게 처음 판소리를 배운 뒤 김상용에게 춘향가를, 목포시립국악원에서 강산제 소리를 하는 김흥남에게 흥보가와 심청가를 각각 배웠다. 박유전-정재근-정응민-성창순으로 이어지는 판소리 강산제(심청가)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마한 것이다. 그가 물려받은 성창순 창본 심청가는 대단히 정교한 기교가 요구되는 소리로 알려져 있다.

판소리 강산제는 전남 보성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판소리의 유파로, 서편제에 속하지만 그 기교가 뛰어나고 부침새가 정교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계면조 창법에 있어 남자가 흐느껴 우는 듯한 처절하고 숙연한 그늘진 목소리로 판소리 주인공들의 소리마디 마디에 심력을 다해 갖가지 한을 표현, 고통 받는 서민들을 대신해 희로애락을 드러내는 민중 예술로 인식되고 있다.

판소리는 소리하는 사람(.노래) 한 명과 북치는 사람 한 명, 그리고 판을 이루는 구경꾼으로 이뤄지는 무대예술을 말한다. 소리하는 사람은 소리와 대사(아니리..), 몸짓(발림)을 하며, 북을 치는 사람은 소리하는 사람의 가락에 따라 북을 쳐서 장단을 맞추며 신명난 분위기를 이끌어 간다. 판소리는 지역적 특성과 전승 계보에 따라 전라도 동북지역의 동편제東便制를 비롯해 전라도 서남 지역의 서편제西便制, 그리고 경기도와 충청도의 중고제中高制로 나뉜다. 이중 강산제는 서편제의 명창 박유전의 소리를 이어받은 것으로, 서편제의 일종을 말한다.

판소리는 원래 열두 마당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거의 사라졌고, 춘향가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의 다섯 마당만 현재 남아있다. 심청가는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하나로 심봉사의 딸 심청이 공양미에 몸이 팔려 인당수에 빠졌으나 옥황상제의 도움으로 환생해 황후가 되고,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해 효도한다는 내용이다. 심청가는 부르는 사람마다 짜임새가 다르나 보통은 초앞, 심청탄생, 심청어미 출상, 동냥을 다니는데 장승상댁, 공양미 삼백석, 범피중류, 인당수, 용궁, 심황후 자탄가, 뺑덕어미, 황성길, 부녀상봉, 뒤풀이의 순서로 짜여진다. 이임례 예능보유자는 그 소리를 제대로 물려받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84년 제10회 전주대사습놀이 일반부 장원을 차지한 뒤 1993년에는 제19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명창부에서 장원(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1989년 심청가 완창발표회를 가졌으며, 1990년 성옥문화상 예술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1994년 이임례 원작소설 휘모리를 발간했으며, 이임례 심청가 만가’ CD음반을 제작, 발표했다. 1990년 광주시립국극단 단무장을 역임했고, 1994년 전라남도립국악단 수석을 맡아 활동을 펼쳤다. 19936월 그는 전주대사습 판소리 장원을 수상할 당시 서구 관할이었던 방림2동에 주소를 두고 있었다. 아쟁연주자 이태백 씨가 그의 장남이다.

Tag #이태백# 이병규# 김상용# 김흥남# 박유전# 판소리#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