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謚狀[趙甯夏] -석산유고(石山遺稿) 附錄

謚狀[趙甯夏] -

石山遺稿 附錄

이승보(李承輔, 1814~1881)의 자는 치강(致剛), 호는 석산(石山), 이성오(李星五), 김익용(金益容), 한경원(韓敬源) 등과 교유했다. 의정부좌참찬, 비변사유사, 경연관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我國家儲休衍慶。螽羽麟趾之盛。罔俾周專美。支分派別。至數十世。而名公碩輔。磊落間出。近故右贊成李公亦其一也。公系出我太宗大王第一男讓寧大君諱禔(양녕대군 이제)。讓寧旣冊世子。朝皇京承帝奬。而仍自晦讓于德。贈謚剛靖。又賜額家廟曰至德。世錄其祀孫焉。十二傳而爲公高祖諱靖胤通德郞。少治明經。應會講考官。將置之第。公自覺誤讀。言法不當得第。考官以未及聞而欲曲全之。公正色曰。士之登科。爲事君之入門。豈可自欺而進身乎。遂自書不而退。人皆驚歎。知其爲古士夫也。曾祖諱趾光(이지광, 양녕대군 13대 종손)牧使。歷典十一邑。輒稱神明。正廟嘗召鄕吏問官政得失。吏以公績對。上動容謂左右曰。令三百州守令皆如是。予何憂民事哉。命陞叙被淸白選。贈吏曹參判。祖諱遠揆郡守。監鴻山縣有惠政。及移韓山也。民曰賢侯不可失也。擁而還。代者至乃得去。贈吏曹判書。考諱海善縣監。贈左贊成。三世之貤。以公貴也。妣贈貞敬夫人高靈申氏。郡守顯祿女。以純廟甲戌十二月二十三日生公。公諱承輔字致剛。自幼溫粹端重。不妄嬉戱。甫踰十歲。陪往母夫人於淸州外氏第。從塾師受業。師時出看稻。公必帶卷相隨。展讀於田畝間。長益琢磨。詞翰俱贍。旁及工令。日有課程。雖簞瓢屢空。而同業者不見其有飢倦之色。憲廟乙巳。中庭試乙科。方唱名。上望見公風範曰。奇哉此他日宰相器也。遣近臣宣侑讓寧廟。例擬假注書。公以副受點。是後擬末副常然。其年七月。有政院日記四千餘冊改粧看蕫之役。特敎久任公。至九月遞。公以新進受知之深已如此。分隷槐院。丙午親政。又以假注書陞六爲典籍。仍拜持平,正言。戊申除弘文館校理。差纂輯廳繕寫郞。出典湖左試。甄拔文學。務恢至公。有以關節不售嗛公者。將搆劾之。上別歧廉訪得其實。敎曰。此人寧有是也。時論遂寢。還除掌令。選講製文臣。己酉除司成。抄薦繡衣者再。未行差撰集郞。繼拜應敎,西學敎授。差迎接都監都廳實錄編修官。哲廟庚戌。爲御營從事官,文臣兼宣傳官,奉常正,司諫。辛亥除執義。壬子冬。以前望拜同副承旨。進階通政。俄陞右副。除刑曹參議。甲寅陞左副承旨。旋陞右至左。間兼尙方內局副提調。乙卯華城幸行。以戶房承旨陪駕。歷臨南廟。有戶禮換房之命。奠酌禮畢。又特命禮房加資。進嘉善階。盖奠廟時禮房加資。自公刱有。而後以爲例。自是至丁巳。連除副捴管,兵曹刑曹參判,承文院提調,同中樞,同春秋,同義禁,抄啓特進官。戊午拜永興府使。淸愼慈詳。一以家法爲政。重修太祖御射亭。箇還。府民立石頌德。庚申除漢城府右尹。陞左尹。壬戌除同經筵。今上元年甲子。拜吏曹參判,典設司提調。差宗親府有司堂上。尋除弘文館副提學。批辭䟽若曰。今此特授。實有起感而然。轉司憲府大司憲,都承旨。常帶宗正卿。未幾拜開城留守。兼差政府堂上。乙丑因璿源譜書寫勞陞嘉義。除奎章閣直提學。兼校書館副提調。差營建都監提調,檢校副提學。公時在管理而得兼館閣。罕例也。世皆榮之。丙寅仁政門朝參。以大臣奏擢公資憲。除工曹判書,知經筵,知春秋,知義禁,同知成均,平市署提調。皇勑還差伴送使。使還書進紫薇堂上樑文。丁卯授都捴管,承文公事提調。六月除冬至正使。未及出疆。九月以前任開留事登繡論命竄。配聞慶縣。公旣孤立無援。而數年之間。踐歷華要。不悅者或惎伺吹覔。且朝家方以營建。督辦州郡官私助納。文簿浩穰。易爲疑眩。此所以有繡論中一二臚列也。上雅重公。察其無他。然亦重違繡論。以特旨命勘。而公目以世守淸約。及此滓汚。爲沒身恨。戊辰蒙宥。拜漢城判尹。差政府堂上。己巳差進講官。除右參贊,景慕宮典醫監兩提調。拜禮曹判書。書進丕闡堂上樑文。璿源殿酌獻及東陵親祭時用贊禮勞加正憲。冬以正使赴燕。庚午復命。差五禮便考校正堂上。除內醫提調。辛未拜吏曹判書。行京察。䟽振淹滯。物議咸允。是夏上親臨大宗會。又命公贊禮。超進崇政。除判義禁,工曹判書,弘文館提學。壬申以上號都監堂上加崇祿。時移摸太祖,世祖,元宗御眞於泰元殿。差公監蕫堂上。拜藝文提學,禮曹判書。旣移摸奉安于全州慶基殿。公又陪進還朝。差宣惠堂上。除奎章閣提學。癸酉拜議政府右贊成。差貢市堂上,經筵日講官。充監蕫閣臣。編補內閣日省錄。甲戌除武衛所提調。惠堂之兼管武衛公爲始。乙亥迎告訃勑。差問安宰臣。拜判義禁。六月上命禁府直捧伏閤䟽首四罪人結案。公與僚堂聯䟽。有曰罪人結案。不設鞠坐。只以禁堂酌處。古無其例。今何可刱行乎。非但大違典憲。亦欠審克。批令斯速擧行。繼下口傳嚴敎。公執不可。又聯䟽。批以角勝愛護。是日自平明至未時。掖隷奉飭敎來促擧行。凡十四次。雷霆震前。鈇鉞隨後。府中大小惶遽無人色。公亦情踪罔措。席藁私次。連以無委官不得開坐防禀。仍上三䟽。語益切無批。旋命金吾堂來待。及登筵。面諭嚴旨。諸堂幷據法陳達如䟽意。得承四囚捧招以入之敎。諸堂始詣府開坐。卽命捧招傳敎還入。四囚以處軒改書下。公又與僚堂䟽言結案直捧。猶不敢行。况未結案而徑施一律乎。批有未安之敎。且令在院承旨以嚴飭通諭。多有不堪承聞者。公以䟽以禀。委婉懇惻。飭諭至七次。防達亦十餘次矣。上意稍解。傳曰。有所斟量。四囚幷减死島置。大聖人辭旨慘舒迫緩。自有權度。而使草野狂妄。得囿於欽恤好生之仁者。寔公終始爭執之力也。旣而前掌令申泰觀,李東榮輩相繼䟽論公營救私黨。沮格成命。擬以不敬之律。上以人言荐至。終難寬恕。竄公珍山郡。丙子二月。命放歸田里。公歸始興楸舍。琴書自適。無復當世意。丁丑正月。蒙放還第。戊寅冬。蕩滌叙用。除都捴管,漢城判尹。公䟽引乞解不允。因促敎出肅。己卯又拜內醫提調,兩館提學,判義禁。庚辰正月八日。感微疾考終于正寢。享年六十有七。是夕紅氣掩映如虹霓亘屋脊上。訃聞。輟朝賜賻祭如例。始葬于安山鳥南乙坐原。是年四月。以壙有水患。移奉于始興康迪洞之先塋下負甲原。配贈貞敬夫人豐山洪氏。參判旭浩曾孫。學生景謨女。有淑德懿行。生以癸酉。卒以丁巳。墓亦緬祔。育一男根秀。文科前承旨。根秀一男幼。嗚呼。卷阿之詩曰藹藹王多吉士。維君子使媚于天子。吉者豈弟淳明之稱也。媚者信順嘉悅之謂也。士而思吉。吉而思媚。則君臣之際。治世之象。從可見矣。以公之平生而論公之世。不其庶幾歟。始直周廬。爲喉院諸僚所邀。倩書啓辭。哲廟使司謁下詢曰。入直捴管今來在政院乎。予見其筆而知其人。公未甞以一藝名。而聖意特出於奬勸之不已也。其監蕫摸眞。上亦時親臨。許公以便服進前周旋。三時輒賜饌。每陪講筵。反復陳勉。上傾心嘉納。註釋之外。多所諮訪。史官値公登對。以記注支離爲憚。一日上令公奉抱世子戱。敎曰。世子與講官同宗也。又同甲也。上盖家人視公。而公益感激自勵。歷事三朝。位躋公孤。而田園不廣占。居第不增置。服食無華麗之品。几案無雕餙之觀。當官奉職。小心綜詳。不督責而事集。掌金糓四載。抑私裁冗。捧納必精。頒給必時。廳隷貢屬。至今懷惠。癸酉西倉回祿。公逐日赴衙。鳩工度財。親爲措畫。翬革一新。而經用不絀。宣惠衙門及底愼堂扁額。皆公手筆。至於晩年。金吾一着。隻手批鱗於天威嚴厲之下。奮不顧身。確不撓憲。世然後又知公匪惟處己之謙接物之和。而其剛於內守。固亦有大過人者也。公少而孤。哀毁盡禮。愼終不以貧窶有憾。奉叔父同室。躬執菽水。晨興必謁廟。退而省叔父。侍立終朝。至貴顯不少懈。友于寡妹。資給甚備。同堂諸侄孤貧者。撫恤提誨。克底成立。雖遐鄕踈族。眷眷有一室之義。歲趁槐黃。草屨相銜。而必曰於我乎館。御下亦畧細過念舊勞。曲有恩義。及公沒之日。自同朝士友。下至里巷輿儓。咸咨嗟涕洟。以爲此世不復有如公者。嗚呼。是豈無所以而然哉。甯夏於公夙有世好。年雖後進。而獲忝同升。甞奉使中朝。偕公往還。接雅襟覵盛美。自謂不後於人。今因承宣君謬托。不敢以不文辭。謹綴公事功言行之槩。以俟夫太常氏取攷焉。
崇政大夫行龍驤衛上護軍趙甯夏謹撰。

이지광(李趾光), 1734∼1800 
양녕대군派, 자(字)는 자응(子應), 호(號)는 행와(行窩),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정윤(靖胤).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종정경 이조(吏曹)참판(參判) 겸(兼)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副摠管) 행(行) 통훈대부(通訓大夫) 충주(忠州)목사(牧使) 겸(兼) 충주진영(忠州鎭營)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에 올랐다.
이지광(李趾光)에 얽힌 야사
사당(祠堂) 앞의 나무를 베고 발복(發福)하다.
이지광(李趾光)은 양녕대군(讓寧大君)의 十三대 종손(宗孫)으로 영조(英祖) 시대의 인물이다. 남대문 밖의 관왕묘(關王廟‥南廟) 건너편 언덕에 살았는데, 가세가 심히 가난하여 생계를 이어갈 계책이 없어 천역(賤役)이라도 나가야 할 형편이었다. 하루는 탁발(托鉢)을 하는 걸승(乞僧)이 밥을 구걸하므로 李공은 스님을 방으로 들어오게 하여 어려운 사정을 이야기하고 멀건 죽(粥) 한 그릇을 나누어 먹었는데, 날이 이미 저물어 차가운 방에서 하룻밤을 함께 유숙하였다.
그 스님은 아침에 떠날 때, 신세진 것을 감사하면서 이르기를 "내가 공의 기색을 보니 늘 굶주려 처량한 듯합니다. 내가 하나의 계책으로 공을 구하고자 하는데 공께서 내 말을 믿고 따를 수 있겠는지요" 라고 말하므로 李공은 "빈궁(貧窮)과 현달(顯達)은 다 주어진 명(命)인데 그대가 무슨 계책으로 나를 구제할 수 있겠는가" 라고 대답하니, 스님은 "그렇지 않습니다. 일을 꾀하는 것은 사람이나 일이 이루어짐은 하늘에 달려있다(謀事在人 成事在天) 고 하였으니, 어찌 뜻을 상실하여 꾀하지 않을 수 있으리요. 집 뒤에 있는 단청(丹靑)을 한 집은 누구의 사당입니까" 라고 물으므로 李공은 양녕대군(讓寧大君)의 사당이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스님은 "그렇다면 내일 사당 주위의 나무를 모두 베어버리시오 그렇게 하면 몇 일 안에 가히 발복(發福)하게 될 것입니다" 라고 말을 마치고는 떠나갔다. 李공은 마음속으로 이상하게 여기고 스님의 말대로 사당 주위의 나무를 모두 베어버렸다. 몇 일이 지난 뒤에 영조(英祖)대왕께서 헌릉(獻陵‥太宗陵)에 행차하셨다가 돌아오시는 길에 남산 아래에 있는 관왕묘에 들리셨다. 어연(御輦)에서 내리시어 건너편을 바라보니 산기슭에 퇴락한 고묘(古廟)가 덩그렇게 드러나 보이므로 좌우의 신하에게 "저 사당은 뉘 집 사당인고" 라고 하문하셨다. 모시고 있던 승지(承旨)가 "이는 양녕대군을 모신 지덕사(至德祠)이옵니다" 라고 아뢰니, "사손(祀孫)이 있는가" 라고 다시 하문하시어 승지는 다시 "듣기로는 사손이 지극히 가난하고 궁색하여 천역(賤役)이라도 나가야 할 형편이라고 합니다" 라고 아뢰었다.
영조께서는 사손을 입시(入侍)시키라고 명하시고 환궁(還宮)하셨다. 다음날 李공은 폐포파건(弊袍破巾)의 차림으로 왕 앞에 나아가 엎드리니, 영조께서는 그 남루함을 측은하게 여기시고 "네가 대군의 몇 세(世)손인가" 라고 물으시니, 李공은 "十三세손입니다" 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영조대왕은 "만약 대군의 양위(讓位)가 없었다면 나의 자리는 곧 너의 자리이다" 라고 말씀하시고 즉시 녹용(錄用)할 것을 명하여 남부도사(南部都事)를 제수하였으며, 이어서 승지를 보내어 대군의 사당에 제사를 올리게 하였다.
그리고 호조(戶曹)에 명하여 사당을 중수(重修)하게 하고 또 전곡(錢穀)을 넉넉하게 보내 주도록 하였다. 李공은 사은(謝恩)을 하고 물러 나온 후, 남부도사로 부임하였으나 얼마 안되어 고을 수령(守令)으로 발탁되어 벼슬이 목사(牧使)에 이르렀으며, 고을을 잘 다스려 선치(善治)한 목민관으로 이름을 남겼다. 李공의 증손 승보(承輔)는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판서에 이르렀고 고손 근수(根秀) 역시 문과에 올라 판서에 이르러 대대로 부귀를 누렸다. 죽(粥) 한 그릇을 나누어 준 덕(德)이 이처럼 두터운 보답으로 돌아왔으니,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