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귀락와 서문〔歸樂窩序〕

귀락와 서문〔歸樂窩序〕
 
우리 유가(儒家)의 법문(法門)에서는 풀어 놓은 마음을 거두는 것을 지극한 비결로 삼았고, 외전(外傳 《장자(莊子)》)에는 “어려서 고향을 떠났다가 돌아올 줄 모른다.”를 슬퍼할 만한 일로 삼았다. 대개 마음을 풀어 놓고 거두지 않는 것을 ‘상(喪)’이라고 하고, 풀어 놓은 마음을 거두어 돌아오게 하는 것을 ‘귀(歸)’라고 한다. 그러므로 사람이 슬퍼할 만한 일은 마음을 풀어 놓는 것보다 심한 것이 없고, 즐거워할 만한 일은 풀어 놓은 마음을 돌아오게 하는 것보다 큰 것이 없다.
마음이 만약 자신에게 돌아온다면, 천지 사이의 만물이 그 마음을 동요시킬 수 없다. 위로 이기씨(伊祈氏 요 임금)는 천하를 소유하였지만 관여하지 않았으며, 우순(虞舜 순 임금)은 진의(袗衣)를 입고서 두 여자를 아내로 맞이하는 것을 본래 소유한 듯이 하였다. 아래로 사성(思聖 자사(子思))은 부귀한 곳에 처해서는 부귀한 대로 행하였으며, 추 부자(鄒夫子 맹자)는 경상(卿相)이라는 직책을 주더라도 마음에 동요가 없었으니, 이 모두가 마음을 자신에게 돌아오게 했던 위대한 인물들의 경우이다.
이를테면 자방(子房 장량(張良))이 유악(帷幄)에서도 적송자(赤松子)를 흠모한 것, 공명(孔明 제갈량(諸葛亮))이 장상(將相)의 직위에 있으면서도 〈양보음(梁甫吟)〉을 노래한 것, 배중립(裵中立 배도(裴度))이 전쟁터에 나가서는 장수요, 조정에 들어서는 재상의 지위에 있었지만 그 마음만은 녹야(綠野)에 있었다고 한 것, 곽 영공(郭令公 곽자의(郭子儀))이 24차례나 고과(考課)를 주관하였지만 그 마음을 늘 벼슬하지 않는 선비처럼 한 것이 그렇다. 그 즐거울 만한 일 가운데 무엇이 이보다 크겠는가.
마음이 만약 자신에게 돌아오지 않는다면 부귀한 곳에 가서는 교만해지고 명리(名利)에 가서는 방일해지니, 내 8척의 작은 육신을 가지고 그 큰 것을 견딜 수 없을 것이다. 항상 발돋움을 해 보려고 하지만 서 있을 수 없고, 항상 넘어가고자 하지만 걸을 수도 없어 천지간에 두려워 몸 둘 바를 모르고 해와 달이 떠올라도 긴 밤처럼 어둡게 느끼니, 이 어찌 매우 슬퍼할 만한 일이 아니겠는가. 슬프기만 하고 즐겁지 않으니 어떻게 평생을 살 수 있겠는가.
승지(承旨) 유광천(柳匡天)은 일찍부터 벼슬길에 올라 승정원에서 많은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마침내 ‘귀락(歸樂)’으로써 자신의 집에 편액을 걸었으니 아, 이것이 진정 마음이 돌아왔다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천명을 즐기는데 다시 무엇을 의심하랴.〔樂夫天命復奚疑〕”라는 글귀로 끝을 맺고 있으니, 유광천은 과연 천명을 즐기는 사람인가. 애오라지 이 글을 지어 물어본다.

존재 위백규 <존재집> 권21

吾儒法門,以收放心爲摯訣,《外傳》以“弱喪不知歸”爲可哀。蓋放而不收則爲喪,收而反之則爲歸。是以人之可哀,莫甚於放,可樂莫大於歸。

心苟歸矣,天地間萬物,不能動其心。上焉則伊祈氏有天下而不與,虞舜被袗衣二女婐而若固有之;下焉則思聖素富貴而行富貴,鄒夫子加卿相而不動心,此皆心歸之大者也。乃若子房則赤松於帷幄,孔明則《梁甫》於將相,裴中立出將入相,而其心則綠野也;郭令公二十四考,而其心則布衣也。其爲可樂,孰大於是?

心苟不歸,則之富貴而驕之,之名利而溢之,挾吾八尺之軀,不勝其大。恒企而不得立,常跨而不能步,跼蹐於天地,長夜於日月,斯豈非可哀之甚者乎?哀而不樂,何以生百年爲哉?

柳匡天承旨早騰雲路,羽儀銀臺,而乃以“歸樂”扁其窩。噫!是眞所謂心歸者歟?晉徵士《歸去來辭》,結之以“樂夫天命復奚疑”,柳子其果樂天者歟?聊爲之說而問之。


[주D-001]어려서 …… 모른다 : 어려서 집을 떠나 오래도록 타향에서 편안하게 살다 보니 마침내 고향에 돌아갈 줄도 모르게 된 경우를 말한다. 《장자》 〈제물론(齊物論)〉에 “죽음을 싫어하는 것 역시 어려서 집을 떠나 돌아갈 줄을 모르는 것이 아니라고 어떻게 단언할 수 있으랴.〔予惡乎 知惡死之非弱喪而不知歸者邪〕”라고 하였다.
[주D-002]이기씨(伊祈氏)는 …… 않았으며 :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나온다.
[주D-003]우순(虞舜)은 …… 하였다 : 《맹자》 〈진심 하(盡心下)〉에 나온다.
[주D-004]사성(思聖)은 …… 행하였으며 :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4장에 “부귀에 처해서는 부귀대로 행하며, 빈천에 처해서는 빈천대로 행하며, 이적(夷狄)에 처해서는 이적대로 행하며, 환난에 처해서는 환난대로 행했다.”라고 하였다.
[주D-005]추 부자(鄒夫子)는 …… 없었으니 : 《맹자》 〈공손추 상(公孫丑上)〉에 나온다.
[주D-006]자방(子房)이 …… 것 : 《사기》 권55 〈유후세가(留侯世家)〉에 한 고조(漢高祖)가 공신을 봉할 때 “장막 속에서 작전 계획을 세워 천리 밖의 승리를 결정지은 것은 자방의 공이다.”라고 한 말이 있다. 고조 만년에 장량은 인간 세상의 일을 버리고 적송자를 따라 노닐었다고 한다.
[주D-007]공명(孔明)이 …… 것 : 〈양보음〉은 촉한(蜀漢)의 승상 제갈량이 출사하기 전 남양(南陽)에서 몸소 농사지을 때 매일 새벽과 저녁에 무릎을 감싸 안은 채 길게 불렀던 노래로, 천하에 뜻을 품은 선비가 울울한 심정을 토로함을 뜻한다. 〈포슬음(抱膝吟)〉이라고도 한다. 《三國志 卷35 諸葛亮傳》
[주D-008]배중립(裴中立)이 …… 것 : 배도는 자가 중립(中立)으로, 중국 당(唐)나라 때의 재상이다. 시인 백낙천(白樂天)과 자기의 별장인 녹야당(綠野堂)에서 함께 풍류를 즐긴 인물이다. 《新唐書 卷173 裴度列傳》
[주D-009]곽 영공(郭令公)이 …… 것 : 곽자의가 중서령(中書令)을 오래 역임하여 24차례에 걸쳐 관리들의 고과를 주관하였다. 《舊唐書 卷120 郭子儀列傳》
[주D-010]유광천(柳匡天) : 1732~?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군필(君弼)이고 호는 귀락와(歸樂窩)이다. 1759년(영조35) 별시(別試)에 병과 6위로 합격하였고 관직에 올라 사간원 헌납과 사간원 장령을 거쳐 승지에 이르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