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엄(鄭淹, 1528 ~ 1580)

정엄(鄭淹, 1528 ~ 1580), 자는 문중(文中), 호는 양촌(陽村)
생원 장원, 진사, 명종13년(1558년) 명경(明經) 문과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한림호당(選 翰林湖堂),
검열(檢閱), 사인전랑(舍人銓郞), 삼사아장(三司亞長),
동부승지(同副承旨), 수찬(俄陞修撰),
1571 여산부사(礪山府使), 1573 남원부사(南原府使), 1574년 나주목사(羅州牧使), 3읍 거사비(三邑去思碑)
증대사헌 양관제학(贈大司憲 兩館提學)
효성이 출중하여 정려을 명하였다. 「삼강록」에 실렸다
김평묵이 묘갈문을 쓰고, 성재 류중교가 묘지를 짓고, 회당 윤응선이 묘표를 썼다. 후종손 규종이 정려중수기를 지었다
以孝命旌閭 金平默撰碣銘 事見 「三綱錄」 省齋柳重敎撰墓誌 晦堂 尹應善撰墓表 後從孫圭宗撰旌閭重修記


* 정엄(鄭淹, 1528-1580) : 南道 인물(109) 한국매일


정엄(1528-1580)은 조선중기의 문신, 자는 문중(文中), 호는 양촌(楊村), 본관은 광주(光州), 팔도관찰사 조계(棗溪) 만종(萬鍾)의 아들이다. 남구 양림동 출신으로 1552년(명종 7)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558년(명종 13)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로 임명되어, 호당에 들어가 학문을 닦았다.
1562년(명종 17)에 사간원 정언에 임명되어 동부승지 허엽을 파직케 하고, 이듬해에 예조정랑, 병조 좌랑, 사간원 정언을 거쳐 1564년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어, 개성부 유생들이 음사를 소각한 일로 청금(靑衿)들이 죄 없이 구류되어 방면하도록 주청하여 방면케 하였다.
1566년(명종 21)에 병조 정랑거처 사간원 헌납이 되어 "대간의 직은 책임이 가볍지 않아서 서정(庶政)의 잘잘못을 일에 따라 모두 말해야 하는 것인데, 신들은 모두 무상한 사람들로 중한 지위에 있으면서 자리만 지키고 녹만 먹을 뿐 직책을 다하지 못하여, 옥당의 비난을 입고 있으니 하루도 더 있을 수가 없습니다. 신들을 체직하기를 청하였다. "답하기를, "별로 잘못한 것이 없으니 사퇴하지 말라."하였다.
1569년(선조 2)에 사헌부 장령과 홍문관 수찬을 거쳐, 외직으로 여산군수에 임명되어 강직한 목민관으로 전라감사의 추천이 있었다. 1571년(선조 4)에 사헌부 장령으로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홍문관 교리를 거쳐 종시부 첨정 지제교로 명종실록 편찬에 편수관으로 참여하였다.
뒤에 남원부사가 되어 따뜻하게 민중들을 돌보고 자상하게 행정을 하되, 문서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모두를 친히 살펴 집행하고, 민원을 막는 폐단이 없으므로, 백성들이 매우 좋게 여겼다는 전라감사의 보고가 있었고, 전라 순무 어사(全羅巡撫御史) 신응시(辛應時)의 서장(書狀)에, "남원(南原)은 사람이 많고 땅이 넓어서 예전부터 다스리기 어렵다고 하는데, 부사(府使) 정엄(鄭淹)은 목소리와 낯빛을 사납게 하지 않아도 아전이 두려워하고 백성이 따라서 부임한 지 오래지 않아 온 경내가 편안합니다. 몇 해 동안 유임시키고 경관(京官)으로 차출하지 말기를 바라니, 어리석고 천한 백성이 사체(事體)를 모르는 것이기는 하나 그 성심으로 사랑하고 기뻐하는 것을 이것으로 알 수 있습니다." 하였다.
1574년(선조 7)에 모친 봉양을 위하여 나주목사가 되어 선정을 베풀면서 어머님의 병을 자신의 아픔보다 더 아파하며 정성껏 간병하였으나 돌아가시자 그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장사를 치른 뒤 죽었다는 갸륵한 효성에 나라에서 모두의 귀감으로 삼고자 1611년(광해 3)에 사헌부 대사헌에 증직하고, 효자정려를 명하여 양림동에 정려를 세웠다. 이 정려는 퇴락 되어 1975년 후손들이 석조(石造)로 다시 세웠다.
이 정려비각에는 주인의 심부름을 사람 이상 잘하였던 충견상(忠犬像)이 있다. 양촌 공이 개의 목에 문서와 전대를 걸어 주며 말하면 밥을 사 먹고, 만약 밥값을 너무 많이 가져가면 떠나지 않는 등 상상을 초월할 만큼 영리한 개였다. 어느 해 급한 일이 있어 임신 2개월로 산기가 있는 이 개를 한양으로 심부름 보냈다.
한양을 갔다 오다가 전주 근교에 새끼 9마리를 낳고 한 마리씩 물어 나르다 마지막 새끼를 물고 오다 지쳐 죽고 말았다. 양촌이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석공을 시켜 견상(犬像)을 조각해 집 뜰에 두고 추모했다 한다. 양촌 공이 죽자 그의 후손들은 양촌 공의 정려각을 세우고, 그 견상을 정려각 앞에 세워 양촌 공과 그 개를 기렸다는 것이다.
「사람 몹쓸 것은 개만도 못하다」는 비유도 있는 것처럼 여기에 실린 전설은 어쩌면 인간보다 더 나은 개의 충성심과 의리를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좋은 교훈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