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덕령-충효동정려비각(조선국증좌찬성충장공김덕령증정경부인흥양이씨충효지리)


광주시 북구 충효샘길 7(충효동)

1789년

충장공 김덕령 충효리비(忠孝里碑)는 <광주읍지>에 따르면 주(州)의 동쪽 30리에 있다.

광주 석저면(石底面)의 고비(古碑名)로 朝鮮國 贈左贊成 忠壯公 金德齡 贈貞敬夫人 興陽李氏 忠孝之里

충효동 정려비忠孝洞旌閭碑는 김덕령金德齡(1567-1596)과 그의 가족의 충효와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건립 연대는 1789년(정조 13)이다. 1985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비문은 비신의 전면과 후면에 기록되어 있다. 비신의 전면에는 조선국증좌찬성충장朝鮮國贈左贊成忠壯/공김덕령증정경부인公金德齡贈貞敬夫人/흥양이씨충효지리興陽李氏忠孝之里라는 제명이 세로 세 줄로 크게 적혀 있다. 제명의 서자는 미상이다.

 비신 후면에는 김덕령의 업적 및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錦山戰鬪에서 전사한 김덕령의 형 김덕홍金德弘(1558-1592)과 아우인 김덕보金德晋(1571-1627)의 충효를 기리는 내용이 담겨 있다. 비문에 따르면, 정조正祖(재위: 1776-1800)가 직접 김덕령의 고향 마을을 충효리忠孝里라고 이름 짓고 비를 세워 표시하게 하였다고 한다.

 비문은 서유린徐有隣(1738-1802)이 글을 짓, 서용보徐龍輔(1757-1824)가 글씨를 썼다. 서체는 해서이며, 각자는 미상이다.

 비는 개석과 비신, 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석의 재질은 응회암이고, 비신의 재질은 석회암이며, 하대석의 재질은 화강암이다. 개석은 팔작지붕 형태이다. 내림마루와 추녀마루의 형태가 잘 남아 있으며 추녀의 끝이 들려 있다. 비신의 상태는 전체적으로 양호하지만, 곳곳에 낙서를 비롯해 인위적인 긁힘이 보인다. 하대석은 직육면체 형태로 아무런 무늬가 없으며, 상태는 양호하다.

 서유린(徐有鄰)의 기()에 다음과 같이 써 있다.

"옛날에 충용장군 김덕령이 초야로부터 일어나 의병을 일으켜 흉한 왜구를 막아냈다. 위엄과 명성이 일본에까지 진동했으나 불행하게도 기이한 재앙에 걸려 죽었다. 이에 앞서 그의 형 덕홍도 금산전투에서 순절하였고 부인 이씨 또한 왜적을 만나 순절하였다. 이처럼 충효가 한 집안에 모였으나 지하의 원혼을 펴지 못하고 아름다운 빛이 표창되지 못하여 군자(君子)가 이를 슬퍼했다. 

현종때 비로소 공의 원통함을 씻어 병조참의(兵曹參議)를 증하고 숙종 때 벼슬을 올려 병조판서(兵曹判書)를 증하고, 의열(義烈)의 편액을 하사했다. 정조 무신(戊申, 1788)에 다시 벼슬을 올려 좌찬성(左贊成)을 증하고 충장(忠壯)의 시호를 하사하였다. 그리고 이씨에게는 정경부인(貞敬夫人)을 증하고 덕홍(德弘)에게는 지평(持平)을 추증하였다. 이어 공의 고향 마을을 충효리(忠孝里)라 이름하여 비석을 세워 표하게 하고 신(臣) 유린(有鄰)에게 명하여 비석 뒷면에 그 음기(陰記)를 짓게 하였다.
공의 아우 덕보(德普) 또한 지행(志行)으로써 집의(執義)를 증하여 형제 인이 모두 의열사(義烈祠)에 향(享)하였는데 이와같이 국가에서 김씨의 집안에 치우치듯이 위로와 도움을 준 것은 진실로 충장공(忠壯公) 때문이다. 방금 성주(聖主)의 교화(敎化)가 널리 드러나 어둡고 숨겨진 곳을 반드시 비추어 잘못된 것을 바르게 하고 억울한 일을 제대로 펴는데 있어 공이 가장 으뜸가는 혜택을 받아 큰 비석에 특별히 새긴 비문이 단청(丹靑)처럼 찬란하여 한 때의 억울함이 백세(百世)의 훗날에 펴지게 되었으니 공에게 있어 무슨 유감이 있으라.
따라서 하늘이 공을 탄생시킨 것은 충용(忠勇)을 우주의 사이에 고취시키기 위한 것일 것이다. 어찌 공의 집안만의 다행한 일이랴. 그러나 충(忠)이라는 것은 반드시 효(孝)에 근본하는 것으로서 공의 집안에서의 효도가 바로 국가를 위한 충성이 되었던 것이다. 하물며 형이 앞에서 죽고 아내가 뒤에서 죽어 한 집안의 열렬(烈烈)함이 진실로 한 나라의 충성이 되었으니 이 또한 효도를 미루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마을에 세운 정문(旌門)을 충렬(忠烈)이라 하지 아니하고 충효(忠孝)라 한 것은 성상(聖上)의 깊은 뜻이 있어서인 것이다. 후일에 이 정려문(旌閭門)을 향하여 머리를 숙이고 이 비문을 읽는 사람은 마땅히 먼저 효도에 힙을 써야할 것이다. 삼가 기록하여 오는 후인들에게 고하는 바이다."

충효비각은 1792년에 처음 세워졌는데 정면은 3칸이고 옆면은 1칸이고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비문>

故忠勇將軍金公德齡起自草野倡義旅遏兇寇威聲震於日域不幸中奇禍以死其兄德弘先死於錦山之戰夫人李氏又遭倭殉節死忠烈萃於一家而幽冤未伸懿光不彰君子悲之顯廟始雪公冤贈兵曹參議肅廟加贈兵曹判書賜祠額曰義烈當宁戊申又加贈左成賜諡忠壯李氏贈貞敬夫人德弘亦贈持平仍名公故居曰忠孝里碑以表之命臣有隣記其陰臣承命踧踖退自惟念國家有事天必生濟難之才以待之然媢克之不罥而成功者鮮矣況公之不幸哉世之冤公者恒比之岳武穆武穆猶有隁城捷爾公則自擧義之始己爲用事者沮撓齎志蓄鋒百不一施而卒以橫累死使公得爲武穆死則幸矣嗟乎天之生之適足以遺志士之痛耶然列聖之湔滌褒顯殆無餘憾而節惠也旌表也又皆出特恩忠臣遭遇之盛奚間於生死哉公之弟德普又以志行贈執義兄弟三人並享于義烈祠國家之慰藉若偏金氏寔惟忠勇之故也方今聖化普彰幽隱畢照枉直屈伸公實居最而豊碑特書炳若丹靑一時之屈伸於百世在公何慽焉然則天之生公所以皷忠勇於寰宇也豈獨公家幸哉然忠者必本於孝公之孝於家正所以忠於國也況兄死於前妻死於後一家之烈擅爲一國之重是亦孝之推也宅里之旌不曰忠烈而曰忠孝者聖意有以也後之式是閭而讀是碑者盍先勉於孝哉謹書之以告來許

弘文提學徐有隣撰 奎章閣直閣徐龍輔 上之十三年己酉三月日立

*수정 : 2023.07.17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