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문발-부용정 김문발 신도비

광주시 남구

부용정芙蓉亭 김문발金文發(1358~1418)은 고려말부터 조선초의 무인, 본관은 광산, 칠석동 출신이다.

문정공(文正公) 태현(台鉉)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증참판 거안(巨安)이다. 어려서부터 남다르게 총명하고 학식이 뛰어나 10여세에 제덕을 겸비하였으며, 무예에도 남다르게 뛰어나 문무를 겸전하였다. 고려말 도평의논사(都評議錄事)출신으로서 1386년(우왕12년) 전라도원수를 따라 남원, 보성 등지에서 왜구를 격퇴한 공으로 돌산만호(突山萬戶), 순천부사(順天府使)가 되었다.
조선초기 1394년(태조3년)에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김빈길(金賓吉), 만호 김윤검(金允劒)등과 함께 왜적선 세 척을 포획한 공으로 왕으로부터 활, 화살, 은기(銀器)등을 하사 받았다. 1406년(태종6년) 전라도수군단무사(全羅道水軍團撫使)로서 왜적선 한 척을 포획하였다.
이듬해에 상호군(上護軍)이 되어 이추(李推), 대호군(大護軍) 강원길(姜元吉)과 함께 요동의 피망민을 압송하여 돌려보내는 업무를 관장하였다. 1408년에 경기수군도절제사에서 충청․전라도수군도체찰추포사(水軍都體追捕使)가 되었다. 1411년에 충청전라도수군체찰추포사(忠청全羅道水軍都體追捕使)를 병으로 인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에 내려왔다.
고향에 돌아와 부용정(芙蓉亭, 칠석동소재, 문화재 자료 제13호)을 짓고, 여씨 향약과 주자의 백록동규약을 베풀어 풍속교화에 힘썼는데, 이것이 광주 향약 좌목의 유래가 되었다. 따라서 이 정자는 이 지역의 향약 시행장소로 매우 유서가 깊은 곳이다. 1412(태종12년)에 전라도수군절제사가 되었으며, 1418년에 황해도관찰사를 제수받고 부임한지 얼마 아니되어 병으로 사직하고, 그 뒤 바로 졸하였다.
조선 초기 1394년(태조 3)에 왜적의 병선 3척을 포획한 공으로 왕으로부터 하사품(활⋅화살⋅은기銀器)을 받았다. 그 뒤 순천부사順天府使가 되고, 1406년(태종 6) 전라도수군단무사全羅道水軍團撫使로서 안부도安釜島를 수색하여 왜적선 1척을 나포하였는데, 적병 40여명이 모두 바다에 투신하여 죽고 8명을 생포하여 보고하니 포상으로 궁온(宮醞 임금이 신하(臣下)나 백성(百姓)에게 내려 주는 술)을 하사받았다.
1407년(태종 7)에 상호군上護軍이 되어 명나라에서 도망쳐 온 여진인 가운데 아직 송환되지 않은 포로 유산성劉山城 등 그 가속家屬 총 4,126명을 요동으로 압송하여 넘겨주었다.1408년(태종 8) 1월 경기수군도절제사京畿水軍都節制使인 공이 충청⋅전라도수군도체찰추포사水軍都體察追捕使가 되어 경기의 병선 15척을 거느리고 체찰體察 추포追捕 업무를 수행하던 중, 1411년(태종 8) 3월에 병환으로 관직을 사양하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이즈음 공은 광주 칠석동漆石洞에 부용정芙蓉亭을 짓고, 여씨향약呂氏鄕約과 주자朱子의 백녹동규약白鹿洞規約을 따라 풍속교화에 힘썼으며 공의 뒤를 이어 필문蓽門 이선제李先齊 시원始元 부자父子와 대사성大司成 노자형盧自亨 등이 계승 강마講磨하여 후일 광주향약이 시행되어 우리나라 향약의 효시가 되었다.
따라서 부용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이 시행된 역사성을 갖는 장소로서 매우 유서 깊은 곳이다. 1412년(태종 12)에 국가의 조곡租穀을 육수陸輸에서 조운漕運으로 하는 문제에 대해 상소하여 해상 운송 제도를 시행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다시 전라도수군절제사全羅道水軍節制使에 임명되었고, 1413년(태종 13)에 경상우도慶尙右道에 수군을 나누어 좌도도절제사左道都節制使가 되었으나, 부임 여부와 퇴임 시기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이 기간에 고향에 돌아와 있었는데, 1418년(태종 18)에 황해도도관찰사黃海道都觀察使를 제수 받고 부임한 후 병으로 사임하고 고향에 내려와 같은 해 4월 향년 60세로 타계하였다.
조선왕조실록 공의 졸기卒記에 사람됨이 매우 겸손하였으며, 청렴하고 언행이 무거웠으며, 왜구토벌倭寇討伐에 공이 많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가정대부형조참판嘉靖大夫刑曹參判에 증직贈職되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