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노 이천(盧伊川)의 묘갈명

간이집 제2권 / 묘갈명(墓碣銘) 병서(幷序) ○ 음기(陰記)와 묘표(墓表)를 덧붙임


공의 휘는 개(塏)요, 자는 청중(淸仲)이다. 노씨는 광주(光州)에서 나와 고려의 저명한 성씨가 되었는데, 아조(我朝)에 들어와서는 우의정(右議政) 노숭(盧嵩)이 있었으니, 이분이 공에게 6대조가 된다.
증조인 노정(盧禎)은 부호군(副護軍)이고, 조부인 노자장(盧自璋)은 부사정(副司正)이고, 부친인 노한문(盧漢文)은 통정대부(通政大夫)로 광주 목사(廣州牧使)이다. 모친인 숙부인(淑夫人) 문화 유씨(文化柳氏)는 부사직(副司直) 유숙(柳淑)의 딸로서, 삼한 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유차달(柳車達)의 후예이다.
공은 가정(嘉靖) 갑신년(1524, 중종19)에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영특하다고 일컬어졌다. 18세에 시부(詩賦)로 향시(鄕試)에 응시한 적도 있었으나, 이윽고 자제(子弟)의 행실을 독실하게 닦는 데에 전념하였을 뿐 다시는 과거 공부에 힘쓰지 않았으므로, 끝내 그 방면에는 소득이 없었다.
음관으로 사산 감역(四山監役)에 보임(補任)되었는데, 상(喪)을 당해 그만두었다. 다시 수운 판관(水運判官)으로 근무하던 중 어떤 일에 관련되어 파직되었다가, 다시 전설사 별좌(典設司別坐)로 임명되었으며, 여기에서 인의(引儀)로 승진하면서 한성 참군(漢城參軍)을 겸임하였다.
그 뒤 얼마 있다가 이천 현감(伊川縣監)으로 나가게 되었는데, 병으로 부임을 하지 못한 채 죽으니, 이때가 만력(萬曆) 정해년(1587, 선조20)으로서 향년 64세였다. 이해 8월 갑신일에 파주(坡州) 두문리(斗文里)에 장사 지냈다.
공의 효성과 우애는 지극한 성품에서 발로된 것이었다. 부친을 잃은 뒤로 모부인(母夫人)만을 모시게 되면서는 비통해하고 두려워하는 심정이 더욱 간절하였으며, 형제 다섯 사람과 날마다 함께 모여 맛있는 음식으로 모부인을 기쁘게 해 드렸다. 그리고 상(喪)을 전후로 해서 몸이 극도로 상해서 거의 위태롭게 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으며, 종가(宗家)에 후사(後嗣)가 없는 상황에서 차서(次序)로 볼 때 공이 후사로 들어가는 것이 마땅하였으나 고사(固辭)하며 피하기도 하였다.
공은 어느 관직에 있거나 모두 충실하게 그 직책을 수행하였다. 공이 수운 판관에서 파직될 당시, 이졸(吏卒)들이 며칠 동안이나 수백 명씩 대성(臺省)에 몰려와 공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기도 하였으니, 이것이 하나의 증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고 보면 하늘이 어찌해서 공에게 베풀어 주는 것을 유독 인색하게 했는지 애석한 생각이 들기도 한다.
공의 부인인 거창 신씨(居昌愼氏)는 봉사(奉事) 신홍필(愼弘弼)의 딸이요, 우의정 신수근(愼守勤)의 손녀로, 모두 4남 3녀를 낳았다.
장남 노수의(盧守誼)는 종실(宗室)인 영가수(永嘉守) 모(某)의 딸에게 장가들어 아들 노희천(盧希天)을 낳았다. 그다음 노수심(盧守諶)은 만호(萬戶) 유삼(柳參)의 딸에게 장가들어, 이대영(李大榮)의 처가 된 딸과 아들 노희성(盧希聖)ㆍ노희현(盧希賢)을 낳았다. 그다음 노수눌(盧守訥)은 증 판서(贈判書) 김주(金澍)의 딸에게 장가들어 딸을 낳았으며 아들은 어리다. 그다음 노수밀(盧守謐)은 종실(宗室)인 영성영(靈城令) 모(某)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장녀는 신식(申湜)에게 출가하여 아들 신덕자(申德滋)를 낳았으며 그다음 아들과 딸 넷을 두었는데 모두 어리다. 그다음은 김익현(金翼賢)에게 출가하였다. 그다음은 한율(韓慄)에게 출가하여 아들 둘을 낳았는데 어리다.
노수심은 무과(武科) 출신으로 현감(縣監)을 지냈는데 먼저 죽었다. 신식은 문과(文科) 출신으로 장령(掌令)이다. 김익현은 문과 출신으로 도사(都事)이다. 한율은 겸사복(兼司僕)이다. 나머지는 관직이 없다.
나는 장령과 서로 알고 지내는 사이이기 때문에, 묘갈명을 지어 달라는 요청을 사양할 수가 없었다. 다음과 같이 명(銘)한다.


관원의 능력을 어찌 큰 관직에서만 볼 것인가 / 能視官不在大兮
가정의 행실을 보면 됐지 어찌 꼭 집 밖을 논하리요 / 行視家何必外兮
이러쿵저러쿵 공에 대해 비난이 있기도 하였다만 / 譏歸於時
이분이야 책임질 일 무엇이 있었던고 / 斯人何負兮
산 사람은 가신 이를 가슴 아파하는데 / 居者傷往
가신 이는 산 사람에 고개도 돌리지 않는구려 / 往不回首兮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