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류평-서산류씨송암선생휘평묘갈명

광주시 광산구


瑞山柳氏松庵先生諱玶墓碣銘은 남학교수 이재순 짓다.

유평(柳玶, 1577∼1645)은 1577년 광주시 광산구 본덕동 창교에서 태어났다. 자는 화보(和甫)이고 호는 송암(松庵)이며, 서산인(瑞山人)으로 을사명신(乙巳名臣)인 광주 호가정 주인 설강(雪江) 유사(柳泗)의 손자이며,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의 외손이다. 재주가 뛰어나고 체구가 건장하였으며, 용력이 남달라 충장공(忠壯公) 김덕령(金德齡)과 이름이 나란히 하였다. 사계 김장생 문하에서 수업을 받았으며 거인장덕(鋸人長德)이라며 칭하였다.
그는 정유재란 때에는 선생을 따라서 황주(黃州)와 봉산(鳳山) 사이에서 피난하여 3년 동안 머물다가 돌아왔다. 선생이 일찍이 효우(孝友)가 독실하다고 허여 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헐뜯는 말을 하는 사람이 없었다.
1624년(인조 2) 갑자식년사마시(甲子式年司馬試)에 진사 3등으로 합격하여 광해군 때에는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났다는 말을 듣고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마침내 과거 공부를 폐한 채 학문을 강마하였는데, 이때 그의 스승 김장생은 이 편지를 보내어 장려하면서 ‘그대의 높은 의기는 하늘에까지 닿았다.’고 하였다.

장원봉 줄기를 따라 북쪽으로 약4km 제4수원지 아래쪽에 펼쳐지는 협곡에 분토마을이 자리잡고 있는데 그 뒷산에 고려말의 용장 정지장군을 모신 경렬사가 있다. 이곳은 처음에는 경렬공만을 모셨다가 후에 설강 유사, 송설정 고중영, 구성 전상의, 송암 유평, 충무공 정충신, 고중영의 아들 구암 고경조, 시은 유성익 등 7인을 더 모셔 팔현사라고도 부른다.

『송암유고(松庵遺稿)』는 유평(柳玶)의 시문집으로 1929년 유평의 후손 유영보(柳永甫), 병로(秉魯) 등의 노력으로 5권 1책의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서문은 송증헌(宋曾憲)이 작성하였다. 유평이 사계김장생(沙溪金長生)의 문인으로 난을 당하여서 충효를 다한 인물이며, 그의 용기와 지략은 호남에서 김덕령과 쌍벽을 이룬다고 칭송하고 후손들이 문집을 간행하려고 서문을 부탁한 경위를 적고 있다.
권1은 시이다. 오언절구 29제 36수, 칠언절구 63제 98수, 오언사율 21제 25수, 칠언사율 30제 32수, 오언배율 8제 8수가 시체(詩體) 별로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유평 자신이 일상생활 속에 마주치는 사물이나 경치, 예기치 않게 찾아오는 병(病), 춘하추동의 계절의 변화, 친구들을 방문하거나 헤어질 때 일어나는 감흥, 밤늦게까지 독서하면서 일어나는 느낌, 친구들이나 후손들에게 당부하는 말, 의병을 일으키던 때의 감회, 친구나 문인들의 죽음을 애도한 만사(輓詞) 등 다양한 소재의 시가 작성되었다. 특히 1632년 가을 지은 창화시는 임담(林墰)이 동복현의 수령으로 있었던 때 임탄(林坦), 임토위(林土韋), 임담(林墰), 고전민(高傳敏) 등 저자의 친구들이 동복의 협선루(狹仙樓)를 찾아가 함께 술을 마시면서 시를 짓고 즐겁게 노니는 모습을 잘 묘사하였다. 시를 주고 받은 인물로는 기의헌(奇義憲), 나응숙(羅應淑), 정홍명(鄭弘溟), 오희도(吳希道), 송제민(宋濟民), 권필(權鞸), 원두표(元斗表) 등 인조 연간의 서인출신의 중앙 정계 및 호남에서 활약한 정치가 및 학자들이다.
권2는 격문(檄文), 상량문(上樑文), 서문(序文) 등 3장의 짧은 내용으로 되어 있다. 격문은 1636년 병자호란 때 유평이 광주 절양루(折楊樓)에 모의청(募義廳)을 설치하였을 때 지은 격문과 1637년 태인에서 다시 지은 두 개의 격문으로 되어 있다. 광주에서 지은 격문은 선비는 충효를 다해야 하는데 임금의 교서가 내려와서 열읍(列邑)에 알리니 한 마음으로 일어서서 의병과 군량을 모아 국가를 구하는 대의를 다하고 공명을 세우라는 글이다. 태인에서 지은 격문은 와전된 소식으로 의병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사실대로 내용을 알려주어 군정(軍情)을 안정시키게 해 달라고 요구한 글인데, 내용상 격문보다는 관청에 올린 글에 가깝다. 상량문은 유평이 사는 마을의 정자를 지을 때 지은 상량문으로 종족이나 이웃 간에 화목하고 강학하는 바탕이 될 수 있도록 축원하는 내용이다. 서문은 유평 자신이 모은 시문집의 자서(自序)로서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었고 중년에 잦은 병으로 학문에 힘쓰지 못해 자신의 글이 보잘 것이 없으나 일에 따라 자신의 회포를 서술한 약간의 글을 모아 「송암한사(松庵閒事)」라고 한다는 글이다.
부록은 두 권으로 되어 있는데, 권1은 유평의 일생을 연대별로 요약한 「행록략(行錄畧)」과 박종(朴琮)이 지은 만장(挽章), 유청의 현손 유련보(柳璉甫)의 부탁으로 1700년에 오대경(吳大經)이 찬한 행장(行狀), 유청의 9대손 유찬근(柳贊根)과 상근(庠根)의 부탁으로 1869년(고종9)에 이재순(李載純)이 찬한 묘갈명(墓碣銘), 1872년 외손의 후예인 박이휴(朴頤休)가 찬한 묘지명(墓誌銘)이 있다.
권2는 전주향교에 보낸 통문과 전라감사에게 유평의 증직을 청원하는 세통의 상서로 되어 있다. 전주향교에 보낸 통문은 1762년(영조38) 9월 광주와 나주, 장성, 화순 일대의 유생들이 연명으로 통보한 것이며, 전라감사에게 청원하는 첫 번째 상서는 1762년 9월 나주와 광주, 화순 일대의 유생 375인이 연명으로 청원한 것이고, 두 번째 상서는 1762년 10월에 전주, 고부, 부안 일대의 유생 140인이 연명으로 청원한 것이고, 세 번째 상서는 1763년 2월에 광주와 나주, 전주, 남평 일대의 유생 393인이 증직을 청원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전라감사는 각각 ‘사실을 더 수집하라.’ ‘영문에서 참작해 보겠다.’ ‘행적이 뛰어나니 당연히 그렇게 해야겠다.’는 제사(題辭)를 차례로 내렸다.
권3은「제가잡지(諸家雜誌)」이다. 제가잡지에는 『여지승람(輿地勝覽)』,『정묘양호거의록(丁卯兩湖擧義錄)』,『사계전서(沙溪全書)』에서 유평 관련 기사를 뽑아서 수록한 것이다.
권미에는 1929년 유평의 충효를 기리는 양계묵(梁啓黙)의 발문과 유평의 문집 편찬 과정을 서술한 유평의 11세손 유병로(柳秉魯)의 발문이 있다. 유병로는 백부 송파공(松坡公)이 유평의 시문을 책으로 간행하기 위해서 1권으로 모아두었는데, 책을 간행하기 위해 종제 병순(秉洵)과 함께 문중에 건의하였고, 이어 족숙 영택(永澤)이 보관한 초고(草稿) 1책을 더 합하여 문집을 간행하게 되었으며, 문집 간행 과정은 족조오 영오(永五)가 간행을 감독하였다고 서술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