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2
게시물 검색 폼
  • 서구 마을 컨셉(BI)과 의미
    광주광역시 서구 마을 컨셉(BI)과 의미
    2023-07-18 | NO.2
  • 서구의 동(주민센터) 유래와 연혁
    광천동 광천동의 유래와 연혁광천동은 일제 때의 광천정光川町을 1947년부터 고쳐 부른 이름이다. 엣날에는 광주천가에 새로 방죽을 쌓았다고 해서 새방천 혹은 신방천이라 부르기도 했다. 조선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광천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軍盆面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현 광천동 지역인 군분면의 내동리.송정리.신방리.쌍촌리와 황계면黃界面의 대자리 각 일부는 내방리가 되어 광주군 극락면 관할에 들어간다.1935년 광주읍이 33정에서 41정으로 구역이 확장되자, 극락면이었던 내방리 일부가 광주읍에 편입, 광천정이 된다. 다시 읍이 부府로 승격된 1935년 이후에는 광주부 관할 광천정이었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 일제의 잔영을 없애기 위한 잠정적 조치로 법적 수속을 밟지 않은 채 광천동을 취락동就樂洞이라 고친 후 1947년 오늘날 행정동명과 같은 광천동이 된다.1948년 600호를 기준으로 36개 동회제를 운영할 때 광천동은 광천동회였다. 1952년 36개 동회제를 없애고 28개 운영동으로 통폐합하면서 광천동회는 다시 광천동이 된다. 1955년 광주 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 극락면이 광주시에 편입되면서 내방동 가운데 신방리新防里가 광천동 관할로 들어온다.1961년 8개 출장소제를 실시할 때 광천동은 서부출장소 관할이었다가 1973년 구제區制가 실시되면서 광천동은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한 서구에 속했다. 2000년 유덕동 일부 지역이 광천동에 편입된 후 광천동은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한 채 오늘에 이른다. 광천동 주민센터는 서구 광천2길 9(광천동)에 위치하고 있다.광천동의 특징광천동은 동쪽으로 북구 임동, 서쪽으로 유덕동, 남쪽으로 화정1동.농성1동, 북쪽으로 북구 동운동과 각각 접해 있다. 광천동의 면적은 1.18㎢이다. 광천동은 광주천과 극락천의 퇴적물이 쌓여서 이루어진 자연제방 지형에 홍수방지를 위한 인공제방이 축조되면서 본격적인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광주의 관문인 유 스퀘어 종합버스터미널과 대형유통업체인 신세계백화점, 효광초등학교가 자리 잡고 있어 교통.상업.교육이 이상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광산구 하남과 80m의 광로가 개설되어 있어 성장가능성이 어느 지역보다 높으며, 주민들 또한 변화된 주변 환경에 발맞춰 진취적이고 역동적이다. 일부 지역에 노후 불량주택이 밀집되어 있지만 재개발과 환경을 개선시키면 보다 살기 좋은 도심 내 주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것으로 본다. 금호1,2동 금호1,2동의 유래와 연혁금호동은 금부리金府里에서 ‘금金’자, 만호리晩湖里에서 ‘호湖’자를 따 붙여진 이름이다. 금호동은 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호구총수』에 따르면 마재, 금부, 만호, 망월, 심곡마을로 구성되어 광주목 서면 관할이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보면 금호동이 속했던 서창동은 광주군 당부면의 운리리.북촌리.금부리.신기리.마륵리.풍암리.만호리.벽진리.심곡리.망월리와 방하동면의 중촌리.송정리.대촌리.창촌리.사동리.마현리.신용리.구용리.원촌리.난산리.발산리.봉학리.내동리.구기리.신촌리.학동리, 선도면의 동하리.마산리.회산리.세동리.동산리.개산리.월산리.화개리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당부면 심곡리.만호리.금부리.망월리는 금호리金湖里가 되어 광주군 서창면 관할에 들어간다.1935년 광주읍이 부로 승격 독립하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 서창동은 광산군 서창면 지역이었다. 1957년 광주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에 속했던 서창면 8개리가 광주시에 편입하여 각각 세하동.벽진동.매월동.마륵동.금호동.풍암동.용두동.서창동이 되었다.1957년 122개 동을 51개 동으로 축소하고 4개 출장소를 운영할 때 세하동.벽진동.마륵동은 서호동瑞湖洞의 법정동, 금호동.매월동.풍암동은 방하동芳荷洞의 법정동, 서창동.용두동은 신호동新湖洞의 법정동으로 통합되어 서창출장소 관할이었다.1988년 광산군과 송정시를 광주직할시에 편입시켜 광산구를 신설하자, 광산군 서창면은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직할시 광산구 관할에 속한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되면서 광산구였던 서창출장소가 서구 서창동으로 관할구를 옮겼으며, 2001년 서창동은 다시 서창동과 금호풍암동으로 분동된다. 그리고 2003년 금호풍암동은 금호동과 풍암동으로, 2005년 금호동은 다시 금호 1동과 금호 2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금호1,2동의 특징금호1동 주민센터는 서구 운천로 31번 길 17(금호동)에 있고 CBS방송국과 금호우체국, 1924년 건립된 병천사와 금호중학교, 금부초, 만호초등학교 등이 있다. 금호1동의 면적은 1.86㎢이다.금호2동의 주민센터는 서구 풍금로 135(금호동)에 위치하고 있다. 금호2동에는 서구문화센터, 빛고을국악전수관, 서구문화원,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문화 관련 기관이 위치하고 있고, 광주중학교와 화개초.마재초등학교가 있다. 특히 금호 2동에는 서창농업협동조합(본소), 서창농업협동조합(마재지점), 풍암마재우체국, 광주은행(마재지점), 중소기업은행(금호지점), 국민은행(금호동지점), 우리은행(금호동지점), 신한은행 (금호동지점), 교보증권(서광주지점) 등 금융관련 기관이 밀집되어 있다. 금호 2동의 면적은 1.19㎢이다.농성1,2동 농성1,2동의 유래와 연혁돌고개 남서쪽에 보성군수 정화가 막았다고 전해지는 보성보寶城洑가 있었다. 보가 막아진 뒤로는 이 지역의 농토가 수리안전답으로 변해 농사가 잘되었다. 그래서 지명을 농사의 ‘농農’자를 따고 보성보의 ‘성城’자를 따서 농성農城이라 했다.조선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농성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軍盆面에 속했고, 이곳에는 연예동延禮洞이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농성동은 광주군 군분면 연예리와 신흥리 지역으로 나타난다. 당시 이 두 지역에 여녀리.당산거리.큰시암거리.아래더미.자투리.새터 마을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합 당시 군분면의 연예리와 신흥리 각 일부는 신예리가 되어 광주군 극락면의 관할에 속했다. 1935년 광주읍의 구역 확장으로 극락면 신예리가 광주읍에 편입하여 농성정이 되고, 광주읍이 부(府)로 승격된 이후에는 광주부 관할 농성정이었다.광복 이듬해인 1946년 일제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잠정적 조치로 법적 수속을 밟지 않은 채 농성정을 권농동權農洞이라 고쳤다가, 1947년 오늘날의 행정동명과 같은 농성동이 된다. 1948년 600호를 기준으로 한 36개 동회제를 운영할 당시에는 농성동회가 되었고, 1952년 동회제를 없애고 28개 운영동으로 통폐합 할 때 다시 농성동으로 바뀐다.1961년 8개 출장소제를 실시할 때 농성동은 남부출장소 관할이었다. 1973년 구제區制를 실시하면서 농성동은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한 서구에 속했다. 1983년 농성동은 농성1동과 농성2동으로 나뉜다.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한 1986년 농성1동.농성2동은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직할시 서구 관할이 된다. 1995년, 농성 1동에 광천동 일부 지역을 편입시켜 행정동 간의 경계를 조정한 후 농성1동.농성2동은 행정구역의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농성1,2동의 특징농성1동의 주민센터는 서구 상무대로 1189번길 23(농성동)에 있고 농성1동은 옛 서부경찰서 뒤 제봉산祭峯山(91m)에서 북쪽으로 내린 능선의 서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동 이름에 ‘농農’자가 들어간 것과 관련지을 수 있는 전라남도 농촌진흥원이 1992년 나주시 산포면으로 옮겨가기 전까지 농성1동 250번지에 있었다. 이밖에도 농성동에는 서구청을 비롯하여 한국전력 서광주지점, 광주상공회의소, 농수산통계사무소, 전라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조달청, 농성우체국, 농성파출소 등 각종 관공서가 들어서 있어 서부 방면의 부도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농성1동의 면적은 0.768㎢이다.농성2동의 주민센터는 서구 화정로 314(농성동)에 위치하고 있다. 농성2동은 경열로와 대남로에 인접된 남구와의 경계지역으로 일반상가와 단독주택 집단 주거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산층 및 일반기업체 임직원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이다. 농성동은 동쪽으로는 양동, 서쪽으로는 화정동, 남쪽으로는 남구 월산동, 북쪽으로는 광천동과 각각 접해 있다. 농성2동의 면적은 0.64㎢이다.동천동2011년 북구 동림동(12개통), 운암 1동(3개통)을 서구로 편입시켜 동천동으로 개소하였다. 서구의 18개 행정동 중 막내 동이다. 광주천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광주천의 동쪽 즉 ‘동천東川’을 동명으로 삼았다. 주민센터는 서구 유림로 98번길 8(동천동)에 위치하고 있다. 동천동은 도시와 농촌의 특성을 함께 지닌 도.농 복합지역으로, 택지지구 개발로 동천주공아파트를 비롯하여 휴먼시아, 호반 베르디움, 우미린 아파트 등이 들어서면서 광주의 신흥 주거중심 지역을 형성하고 있다. 광림.빛고을초등학교와 대자중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하남대로, 빛고을로,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지점에 있어 교통의 요충지이다.동천동의 면적은 1.17㎢이다.상무1,2동상무1,2동의 유래와 연혁상무동尙武洞이란 이름은 1995년 장성군으로 옮겨가기 전까지 상무 택지개발 지구에 있었던 육군전투병과 학교(상무대)에서 비롯되었다. 관할 법정동인 쌍촌동은 예전 이곳에 크고 오래된 버드나무 두 그루가 있어 쌍유촌雙柳村이라 불렀던 데서, 치평동은 노치리老雉里에서 ‘치雉’자와 평촌리平村里에서 ‘평平’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상무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에 속했고, 당시 이곳에는 쌍유촌.택동.노치촌이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상무동은 광주군 군분면 택동리.유촌리.노치리.내동리.계수리.효사리 지역으로 나타난다.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황계면 죽림리, 내정면 하촌리, 군분면 택동리.내동리.쌍촌리.효사리.노치리 각 일부는 쌍촌리가 되고, 군분면 계수리.노치리, 내정면 하촌리.평촌리, 덕산면 서작리, 우산면 동작리, 당부면 마륵리 각 일부는 치평리가 되어 광주군 극락면 관할에 들어간다. 1935년 광주읍이 부로 승격 독립하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 상무동은 광산군 극락면 관할 쌍촌리.치평리 지역이었다.1955년 광주시역을 확장하면서 광산군에 속했던 극락면 쌍촌리와 치평리가 광주시에 편입되어 광주시 쌍촌동과 치평동이 되었고, 유림출장소 관할이었다. 1957년 122개 동을 51개동으로 축소함에 따라 쌍촌동.치평동은 현재의 행정동인 상무동의 관할 법정동이 된다. 이때 상무동은 쌍촌동.치평동.내방동.화정동의 4개동의 행정을 맡았다. 1973년 구제區制를 실시될 때 상무동은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한 서구에 속했다. 1979년 상무동은 쌍촌동(치평동.쌍촌동)과 화내동(화정동.내방동)으로 분동되면서, 상무동이란 이름은 없어진다. 1993년 광산구 금호동 일부 지역을 쌍촌동에 편입하여 자치구간의 경계를 조정한 후 쌍촌동을 상무1동과 상무2동으로 나눈다.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1995년 상무1동.상무2동은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한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상무1,2동의 특징상무동은 동쪽으로는 화정동, 서쪽으로는 유덕동.광산구 우산동, 남쪽으로는 서창동, 북쪽으로는 유덕동과 각각 접해 있다. 상무동은 일제 강점기 이후 광주.전남지역의 중추적인 군 주둔지였다. 상무동 일대는 1910년 한일병합 전후 무렵부터 일본 해군 항공대 소속 「요카렌」 훈련비행대가 주둔하면서 군사시설지구가 되었다. 그 뒤 일본 육군 병원이 그 부근(현 국군통합병원 자리)에 들어섰고, 전라남북도를 위수지역으로 한 광주사관구光州師管區 휘하의 여러 부대가 이 지역에 주둔했다.광복이 된 뒤로는 1946년 창설된 제4연대가 주둔했고,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월 6일 육군 장교의 전투 기술 연마를 목적으로 군 교육기관이 들어서게 된다. 최초의 명칭은 광주비행장 상무대라 했으며, 상무대란 이름이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1952년 1월 7일 보병.포병.통신학교 개교식장에서였다. 당시 상무대 현판 글씨를 이승만 대통령이 직접 써 주었을 정도로 이곳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컸다.그러나 1980년 초 광주시가 확대되자 군부대로써의 입조조건이 좋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무대의 이전이 결정되었고, 1995년 장성군 삼계면과 삼서면 일대로 옮겨가게 된다. 상무대가 자리 잡은 이래 보병.기갑.포병.통신.항공학교 등의 각 병과를 거쳐 간 육군 장교는 60만이 넘는다.상무1동 주민센터는 서구 월드컵4강로 197번길 20(쌍촌동)에 있고 상무1동은 시청과 인근 택지개발지구로 진입하는 주요 교차로, 지하철이 관통하는 교통의 요충지다. 서광.유촌초등학교, 동명중, 상일중, 상무고와 광주.전남 최초의 자율형 공립고인 상일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5.18기념 문화 센터, 광주학생문화회관, 5.18기념공원이 있어 민주인권과 교육문화 활동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상무1동의 심볼 마크는 소외된 계층과 더불어 살아가는 지역공동체의 의미를 담아 사랑을 의미하는 하트 모양을 엄마가 아기를 안는 듯한 형태로 정형화 하였다. 주황색은 밝은 태양으로 교육을 의미하고, 초록색은 쾌적하고 살기 좋은 마을을 의미하며, 군청색은 사랑으로 가득한 상무1동의 주민을 상징한다. 상무1동의 면적은 1.36㎢이다. 상무2동 주민센터는 서구 화정로 85번길 17(쌍촌동)에 위치하고 있다. 상무2동은 쌍촌종합사회복지, 시영복지관과 인근의 향림사 등 사회복지시설이 많다. 운천호수가 있어 시민들의 주요 힐링 장소가 되고 있으며, 상무로, 월드컵4강로, 화정로, 운천로 등 주요 간선도로 접경지역으로 상무신도심과 연계한 광주의 중심축으로의 발전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무초등학교, 금호초등학교, 상무중학교, 치평중학교, 효광중학교 등이 있다. 상무 2동의 면적은 1.87㎢이다.서창동 서창동의 유래와 연혁서창동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때 세곡을 수납하는 창고인 서창西倉이 있었던 데서 비롯했다. 관할 법정동인 세하동細荷洞은 세동에서 ‘세細’자, 동하에서 ‘하荷’자를 땄다. 마륵동馬勒洞은 ‘말구레’라 부른데서, 벽진동碧津洞은 고려 때 이곳에 있었던 벽진 부곡에서, 매월동梅月洞은 개감산蓋甘山에 매화나무가 많았던 데서, 용두동龍頭洞은 용의 머리 형국에서 유래되었다.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서창동 지역은 광주목 서면의 방하동리.사동촌.이문촌.발산촌.창촌.신촌.신룡.두태촌.가음내.선도리.세동.개산.지촌.동산동.하촌.당부리.풍암.운리동.신기.심곡.금부촌.북촌.벽진.원촌.평촌.천변촌.망월촌 등이었다.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서창동은 광주군 당부면의 운리리.북촌리.금부리.신기리.마륵리.풍암리.만호리.벽진리.심곡리.망월리와, 방하동면의 중촌리.송정리.대촌리.창촌리.사동리.마현리.신용리.구용리.원촌리.난산리.발산리.봉학리.내동리.구기리.신촌리.학동리, 선도면의 동하리.마산리.회산리.세동리.동산리.개산리.월산리.화개리 지역이었다.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선도면 세동리.동하리, 방하동면 창촌리 각 일부는 세하리細荷里, 선도면 마산리.월산리.당부면 벽진리는 벽진리碧津里, 선도면 개산리.동산리.회산리.화개리.당부면 운이리.방하동면 사동리 각 일부는 매월리梅月里, 당부면 신기리.북촌리.마륵리.우산면 동작리.내정면 평촌리.하촌리 각 일부는 마륵리馬勒里, 당부면 심곡리.만호리.금부리.망월리는 금호리金湖里, 당부면 풍암리.운이리.선도면 화개리 각 일부는 풍암리楓巖里, 방하동면 대촌리.구기리.송정리.동각면 복호리.유림리.고내상면 수성리 각 일부는 송대리松大里, 방하동면 마현리.구용리.신용리.내동리.봉학리.학동리.신촌리.난산리.계남면 농막리 각 일부는 용두리龍頭里, 방하동면 원촌리.중촌리.발산리.난산리.창촌리.사동리.선도면 세동리.고내상면 수성리 각 일부는 서창리西倉里가 되어 광주군 서창면 관할에 들어간다.1935년 광주읍이 부로 승격하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 서창동은 광산군 서창면 지역이었다. 1957년 광주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에 속했던 서창면 8개리가 광주시에 편입하여 각각 세하동.벽진동.매월동.마륵동.금호동.풍암동.용두동.서창동이 되었다. 이때 송대리는 편입에서 제외시켜 광산군 동곡면으로 관할을 넘겼다.1957년 122개 동을 51개 동으로 축소하고 4개 출장소를 운영할 때 세하동.벽진동.마륵동은 서호동瑞湖洞의 법정동, 금호동.매월동.풍암동은 방하동芳荷洞의 법정동, 서창동.용두동은 신호동新湖洞의 법정동으로 통합되어 서창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8년 광산군과 송정시를 광주직할시에 편입시켜 광산구를 신설하자, 광산군 서창면은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직할시 광산구 관할에 속한다. 같은 해 광산군에서 편입한 9개면은 동명洞名 대신 서창출장소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함에 따라 광산구 서창출장소는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속했다. 1995년 광산구였던 서창출장소가 서구 서창동으로 관할구를 옮겼으며, 2001년 서창동은 다시 서창동과 금호.풍암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서창동의 특징서창동 주민센터는 서구 눌재로 412(세하동)에 위치하고 있다. 서창동은 세하동.용두동.서창동.벽진동.마륵동.매월동의 6개 법정동을 거느린 도.농 혼합지역이다. 북쪽으로는 상무동, 남쪽으로는 남구 대촌동, 동쪽으로는 남구 주월동.화정동, 서쪽으로는 광산구 신흥동과 각각 접해 있다. 화방산(213미터).금당산(290미터).송학산(208미터).백마산(159미터)이 솟아 있으며, 그 사이로 구릉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황룡강과 극락강이 합류되는 남서쪽에는 서석 평야의 넓은 들이 펼쳐져 있어 쌀농사 뿐 아니라 매론.방울토마토 등의 원예 농업으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서창동에는 장창우가 건립한 만귀정(시 문화재자료 제5호)이 있다.서광주역세권, 매월동 제2농수산물도매시장, 자동차매매상가 등 유통단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공군탄약고 등 군사보호지역 및 그린벨트 지정 개발제한구역도 많다. 서창동의 면적은 19.69㎢이다.양동, 양3동 양동,양3동의 유래와 연혁양동은 일제 때 불렸던 이름인 천정泉町 2구를 양동良洞으로 고쳐 부른 이름이다. 어질 ‘양良’자를 쓴 것은 여러 직종의 드센 사람들이 모여 사는 장터라는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여겨진다. 일제 때의 이름 천정은 이곳에 큰 샘이 있어 ‘샘물’이라 불렀던 데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양동 지역은 광주목 공수방면에 속했고, 이곳 산기슭에 덕림촌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양동지역인 공수방면 덕림리, 도천면 백운리, 군분면 연예리 지역이 광주군 효천면 관할의 교사리校社里가 된다. 당시 이 지역에는 석현石峴(돌고개), 못등, 샘 마을이 있었다.1923년 광주면의 구역이 확장됨에 따라 효천면 교사리는 광주면 관할의 교사리가 된다. 1931년 광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자 광주읍 천정이 되고, 다시 광주읍이 부府로 승격된 1935년에는 광주부 관할 천정이었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 일제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잠정적 조치로 법적 수속을 밟지 않은 채 천정을 천정1구.천정2구로 나누고, 천정1구를 유동, 천정2구를 양동良洞이라 고치게 되면서 양동이라는 동 이름이 시작된다. 1947년 정町을 가街와 동洞으로 통일하자, 유동과 양동은 오늘날의 행정 동명인 양동으로 통합된다.1948년 600호를 기준으로 36개 동회제를 운영할 때에는 양동이 다시 둘로 나뉘어 양동1구동회.양동2구동회가 되었고, 1949년 광주부를 광주시라 고쳐 부른 지방자치제 실시 때는 광주시 양동1구동회, 양동2구동회라 했다. 1952년 36개 동회제를 없애고 28개 운영동으로 통폐합할 때 양동1구동회.양동2구동회는 양동1구.양동2구로 바뀐다.1961년 8개 출장소제를 실시할 때 양동 1구.양동 2구는 남부출장소 관할이었다가, 1970년 양동1구는 양동1구와 양동 3구로 나뉜다. 1973년 양동1구.양동2구.양동3구의 명칭을 양1동.양2동.양3동이라 고치고, 구제를 실시하면서 양1동.양2동.양3동은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한 서구에 속한다. 지방자치제가 부활된 1995년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 양1동.양2동.양3동이 되었다가, 1999년 양1동과 양2동이 통합되어 양동으로 이름이 바뀐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양동,양3동의 특징양동 주민센터는 서구 천변 좌로 222번길 3-2(양동)에 있다. 양동을 상징하는 것은 양동시장이다. 1940년 양동 5번지에 새 터를 잡아 1,800여 평, 634개 점포를 갖춰 설립인가를 받았다. 1972년에는 복개상가까지 마련되어 더욱 장세가 커져 현재 광주.전남 최대의 상설시장이 되었다. 옛 한일극장 주변 천변로에는 400여개의 기계공구 상가들이 모여 있으며, 1997년 서구 천변좌로 268번지에는 호남 최대의 금호생명 빌딩이 준공되어 많은 업체가 입주해 있다. 지금의 양동 금호맨션 자리에는 1926년 설립된 전남제사주식회사가 있었다. 농협중앙회(양동지점), 광주은행(서부지점), 온누리 새마을금고, 삼애신용협동조합, 양동 신용협동조합, 우리 신용협동조합, 양동 새마을금고, 광주새마을금고, KDB생명(주) 등 시장 상인들이 주로 이용하는 협동조합이나 새마을금고가 집중 위치하고 있다. 양동의 면적은 0.54㎢이다.양3동 주민센터는 서구 상무대로 1223번길 16(양동)에 위치하고 있다. 양3동은 서구의 동쪽 관문이다. 단독 주택이 밀집되어 있으며, 주거환경 개선사업으로 양동 휴먼시아 아파트가 들어선 후 그린파크, 전방사원, 동산아파트, 초원파크아파트 등이 들어서면서 새로운 신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양동의 동쪽으로는 광주천을 경계로 북구 누문동.유동과, 서쪽으로는 농성1동.남구 월산1동.월산3동과, 남쪽으로는 남구 서2동.사구동과, 북쪽으로는 북구 임동과 각각 접해 있다. 양3동의 면적은 0.29㎢이다. 유덕동    유덕동의 유래와 연혁유덕동은 유촌柳村과 덕흥德興의 머리글자인 ‘유’와 ‘덕’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유촌은 마을에 버드나무가 많은데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유덕동 지역은 광주목 내정면과 덕산면에 속했고, 당시 이곳에는 평촌.동작.서작 마을이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유덕동은 광주군 내정면의 신촌리.평촌리.하촌리와 덕산면의 동작리.서작리 지역으로 나타난다.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덕산면의 동작리.서작리.황계면의 동배리.내정면의 신촌리.평촌리 각 일부 지역이 덕흥리, 내정면 신촌리.군분면 쌍촌리.황계면 죽림리.동배리.덕산면 동작리.서작리 각 일부 지역이 유촌리가 되어 광주군 극락면 관할이 되었다. 1935년 광주읍이 부(府)로 승격하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 유덕동은 광산군 극락면 관할의 덕흥리.유촌리 지역이었다. 1955년 광주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에 속했던 극락면 덕흥리.유촌리가 광주시에 편입하여 유림출장소 관할의 유촌동柳村洞과 덕흥동德興洞이 되었다. 1957년 122개 동이 51개 동으로 축소됨에 따라 유촌동.덕흥동은 현재의 행정 동명인 유덕동의 관할 법정동이 된다.그 뒤 1961년 8개 출장소제를 실시할 때 유덕동은 서부출장소 관할이었고, 1973년 구제區制를 실시할 때 남부.서부.지산출장소를 통합한 서구에 속했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하지만 유덕동은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1965년 유덕동 모습유덕동의 특징유덕동 주민세터는 서구 유덕로 24(유촌동)에 위치한다. 유덕동은 극락강과 광주천이 만나는 곳으로 홍수가 만들어 놓은 퇴적지인 자연제방 위에 마을이 들어섰다. 광주시로 편입되었지만 아직 농촌의 지역성을 갖고 있다. 10여 년 전까지도 이곳은 ‘미나리’ 주생산지였다. 극락강과 광주천이 합류하는 곳에 평촌마을이 있었으나, 지금은 마을 자체가 사라지고 없다. 현재 상무4지구 개발로 주공아파트 및 호반아파트, 동남아파트, 진성아파트, 삼우아파트, 주공1단지, 주공2단지, 호반아파트, 부건빛고을아파트, 중도다이아빌아파트 등이 들어서면서 도시와 농촌지역의 혼재로 행정 수요가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광주시의 관문이 되는 서해안고속도로, 무안국제공항과 연결되는 폭 80m의 무진대로 및 호남고속도로와 연결하는 폭 35m의 빛고을로에 인접해 있어 발전 잠재력이 높다.유촌.덕흥.치평.내방.쌍촌동을 법정동으로 거느린 유덕동은 동쪽은 광천동, 서쪽은 광산구 우산동, 남쪽은 상무동, 북쪽은 동촌동과 각각 접해 있다. 유덕초등학교와 극락초등학교, 유덕중학교, 세광학교 등이 있다. 유덕동의 면적은 5.49㎢이다. 풍암동 풍암동의 유래와 연혁풍암동 신암마을은 마을 뒷산 금당산의 가을 단풍이 아름다워 신암이라 했으며, 운리 마을은 마을 전체가 산으로 둘러싸여 마치 구름 속에 있는 것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 보면 풍암동이 속했던 서창동은 광주군 당부면의 운리리.북촌리.금부리.신기리.마륵리.풍암리.만호리.벽진리.심곡리.망월리와 방하동면의 중촌리.송정리.대촌리.창촌리.사동리.마현리.신용리.구용리.원촌리.난산리.발산리.봉학리.내동리.구기리.신촌리.학동리, 선도면의 동하리.마산리.회산리.세동리.동산리.개산리.월산리.화개리 지역이었다.1957년 광주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에 속했던 서창면 8개리가 광주시에 편입하여 각각 세하동.벽진동.매월동.마륵동.금호동.풍암동.용두동.서창동이 되었다. 이때 최초로 풍암동이 등장한다. 1957년 122개 동을 51개 동으로 축소하고 4개 출장소를 운영할 때 금호동.매월동.풍암동은 방하동의 법정동으로 통합되어 서창출장소 관할이었다. 1963년 광주시역이 축소될 때 서창출장소 관할이던 방하동은 다시 광산군으로 넘어가 광산군 서창면이 된다.1988년 광산군과 송정시를 광주직할시에 편입시켜 광산구를 신설하자, 광산군 서창면은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직할시 광산구 관할에 속했다.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광산구였던 서창출장소가 서구 서창동으로 관할구를 옮겼으며, 2001년 서창동은 다시 서창동과 금호풍암동으로 분동된다. 그리고 2003년 금호풍암동은 금호동과 풍암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풍암동의 특징풍암동 주민센터는 서구 풍암1로 27(풍암동)에 위치하고 있다. 풍암동의 남쪽에는 금당산(304m)이 있다. 4.6km에 달하는 등산로와 4개 코스의 순환 산책로가 개설되어 있고, 경관녹지가 조성되어 있어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고 있다. 동의 서쪽에는 중앙공원, 염주체육관, 월드컵경기장, 서구 국민체육센터, 생활체육공원, 생태학습 어린이도서관이 조성되어 있어 문화, 체육활동을 즐길 수 있다. 최근에는 풍암호수 일원이 정비되어 산책뿐만 아닌 분수쇼 및 음악회가 열리고 있어 서구 지역민의 힐링처가 되고 있다. 풍암동의 면적은 4.83㎢이다. 인구수가 많아 금당초.신암초.풍암초.운리초등학교와 풍암.운리중학교, 풍암고등학교 등 학교가 유독 많다.치평동치평동의 유래와 연혁동 이름 치평동治平洞은 자연 마을인 노치리와 평촌리에서 ‘치’와 ‘평’자를 따 이름 붙여진 동명이다. 조선 후기 이 지역은 광주군 군분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군분면 계수리.노치리, 내정면 하촌리.평촌리, 덕산면 서작리, 우산면 동작리, 당부면 마륵리의 일부가 합하여 극락면 치평리가 되었다.1955년 광주시역이 확장되면서 광산군에 속해 있던 극락면 쌍촌리와 치평리가 광주시에 편입되어 쌍촌동과 치평동이 되었고, 유림출장소의 관할이었다. 1979년 상무동이 쌍촌동(치평동.쌍촌동)과 화내동(화정동.내방동)으로 분동될 때 쌍촌동에 속하였다. 1986년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하자, 쌍촌동은 전라남도 행정구역에서 떨어져 나와 광주직할시 서구의 관할이 된다. 1993년 광산구 금호동 일부 지역이 쌍촌동에 편입된 후, 쌍촌동은 상무 1동과 상무 2동으로 나뉜다. 지방자치제가 부활한 1995년 이후 상무1동과 상무 2동은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하였다. 이후 쌍촌동.마륵동.유촌동을 포함하는 상무신도심이 개발되었고, 2003년 서구조례에 의해 상무 1동은 상무 1동과 치평동으로 분동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치평동의 특징치평동 주민센터는 서구 상무공원로 62(치평동)에 위치하고 있다. 2003년 상무1동에서 분동된 치평동은 젊디젊은 동이다. 그러나 오늘 치평동은 상무 신도심의 핵심으로 150만 광주의 행정.금융의 중심지가 되었다. 광주시청을 비롯하여 한국은행, KBS방송국, 대한지적공사, 여성발전센터, 광주.전남선관위, 가정법원, 서부경찰서, 호남지방통계청 등이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와 홀리데이 광주호텔, 라마다 플라자 광주호텔도 위치한다.광주시청 뒤로는 광주천과 맞닿아 있고 상무대교와 어등대교 사이는 영산강이 있어 주변 경관이 빼어나며, 5.18자유공원, 상무조각공원, 평화공원 등이 있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고층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고 운천초.치평초.계수초등학교와 전남중.고등학교가 있다. 면적은 3.27㎢이다. 화정1,2,3,4동화정1,2,3,4동의 유래와 연혁 화정동이란 이름은 1735년 건립된 하동정씨 사당으로 정희와 아들 정초, 손자 정수충 등을 모신 사우인 화담사花潭祠에서 ‘화花’자를 따고 마을 이름인 송정松亭의 ‘정亭’자 취해 붙여졌다. 송정이라 한 것은 마을에 소나무 정자가 있었던 데서 비롯되었다. 조선시대 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화정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에 속했으며, 이곳에 군분리.택동.송정촌.내동촌이 있었다. 1912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도 화정동은 광주군 군분면의 택동리.내동리.신흥리.중작리.신기리.송정리 지역으로 나타난다.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에는 군분면의 신흥리.중작리.신기리 각 일부 지역이 화정리花亭里가 되어 광주군 극락면 관할이 되었다. 1935년 광주읍이 부府로 승격하고,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이름을 바꿀 때 화정동은 광산군 극락면 관할의 화정리 지역이었다. 1955년 광주시역이 확장되자 광산군에 속했던 극락면 화정리는 광주시 유림출장소 관할의 화정동이었다가, 1957년 122동이 51개동으로 축소됨에 따라 본청 직할의 상무동으로 편입되었고, 1961년 8개 출장소제를 실시할 때 상무동은 서구 출장소 관할이었다. 1973년 구제區制가 실시되자 상무동은 서구에 속했다. 1979년 상무동을 쌍촌동雙村洞과 화내동花內洞으로 나누고 상무동이란 이름을 없앴으며, 1983년 화내동을 화정1동과 화정 2동으로 나누면서 또 화내동이란 이름도 없어진다. 1990년 화정2동은 화정2동과 화정3동으로 분동되고, 1994년 화정3동을 화정3동과 화정4동으로 또 분동된다. 1995년 지방자치제가 부활함에 따라 화정1동.화정2동.화정3동.화정4동은 행정구역 조정 없이 광주광역시 서구에 속한 이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화정1,2,3,4동의 특징화정동은 본디 논밭과 염주골로부터 북쪽으로 완만하게 뻗은 능선의 솔밭이었다. 1970년대부터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으로 신흥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었고, 화정4동은 풍암 택지 개발지구와 연계되고 있다. 화정동은 동쪽으로는 농성동.남구 월산4동, 서쪽으로는 상무동, 남쪽으로는 서창동, 북쪽으로는 광천동.유덕동과 각각 접해 있다. 화정1동 주민센터는 서구 내방로 338번길 11(화정동)에 있고, 화정1동은 광주광역시 주요 간선도로인 상무로와 죽봉로의 주요 간선도로에 인접하고 있으며, 금호전자랜드와 E마트 등이 위치하여 대형 상권이 혼재되어 있다. 단독주택 뿐 아닌 내방마을주공아파트를 비롯하여 삼익, 무등파크, 해태아파트 등이 건립되어 아파트가 밀집된 지역이 되었다. 면적은 1.20㎢이다.화정2동 주민센터는 서구 화문로 94(화정동)에 있고, 화정2동은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이, 자연녹지와 인공녹지가,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이 완벽하게 잘 어우러진 광주의 대표 주거지역일 뿐 아니라 광주광역시 교육청과 주월초등학교, 화정중학교, 광덕중.고등학교, 서석중.고등학교 등이 위치하고 있어, 광주 최고의 교육지역 중 하나다. 면적은 0.81㎢이다.화정3동 주민센터는 서구 월드컵4강로68번길 21(화정동)에 있고, 화정3동에는 광주중앙교회, 화정초등학교, 염주초등학교와 광주여고가 있다. 면적은 0.74㎢이다.화정4동 주민센터는 서구 염화로 83번길 3(화정동)에 위치하고 있다. 화정4동은 상가 및 음식점이 밀집된 도시지역으로 주변에 중앙공원 및 염주체육관과 월드컵 경기장이 있어 체육기반이 양호한 지역이다. 관내에는 광주광역시 청소년 수련원을 비롯,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과 기념탑이 있고, 최근 백일초등학교에서 이름을 바꾼 성진초등학교가 있다. 면적은 1.02㎢이다.
    2018-05-23 | NO.1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