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문화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알려드리는 다양한 전시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 전남의 문화예술계의 다양한 소식과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광주의 초상을 그린 지역사 전시회
“광주 역사인물의 얼굴을 보러 서구청으로 가볼까나”

사진이 없던 시절의 옛 역사인물의 초상을 후손들의 사진과 그림 작업으로 협업해 복원한 전시회가 열려 관심을 끈다.

이번 전시회에서 초상을 복원하는 방법의 하나로 후손들의 사진을 찍고 이를 합성 몽타주한 다음에 다시 그림 작업을 시도한 작품을 선보인다는 것이다.


광주 서구문화원이 광주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마련한 이번 전시는 1120일부터 24일까지 광주 서구청 1층 로비에서 광주, 그때의 인물을 만나다라는 주제로 열린다.

이번 전시는 광주의 역사인물 대부분이 전쟁, 관리소홀, 퇴락 등으로 초상화가 전해지지 않고 있어 이들을 기리고 기념하기 위한 뜻을 갖고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초상화는 기록상으로 가장 오래된 광주의 수령인 무진주도독 천훈과 경렴정 탁광무, 복애 범세동, 필문 이선제, 영사정 최형한, 사촌 김윤제, 송천 양응정, 의모당 장흥고씨, 양동시장 손영관 등 근대의 인물까지 모두 9명이다.

특히 기존의 회화적 방식의 초상화보다는 사진으로 여러 후손을 촬영 합성하여 재현하고 다시 그림으로 그리고, 스토리텔링 서술이 가능하도록 배경에 유적이나 유물 등에도 관심을 기울여 광주의 관광자원의 대상으로 삼았다.

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은 이 작업은 오늘의 광주를 형성하는 데 노력과 희생을 해온 인물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초상 인물의 역사적 성과나 이야기를 근간으로 했다면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소재지나 유물을 배경 화면으로 설정하는 등 인물 콘텐츠를 발굴하는 방식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또 정 원장은 이번 전시는 역사 인물을 배향할 때 위패만 놓기보다는 정신적인 연결고리로서 기초적인 복원 초상화를 만들자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이 작업은 정인서 서구문화원장이 기획했고, 광주지역 중견 사진작가인 리일천과 회화작가인 김병택, 최요안 등이 협업하여 인물상을 그려냈다.

사진은 윗줄 왼쪽부터 무진주도독 천훈경렴정 탁광무복애 범세동필문 이선제영사정 최형한이며아랫줄 왼쪽부터 사촌 김윤제송천 양응정의모당 장흥고씨양동시장 보부상 손영관이다.



*참고자료: 9인의 역사적인 광주 인물

 

천훈(天訓, ?~?)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아찬으로 무진주도독을 역임한 관리인 지방관이다.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그 땅에 무진주(武珍州)를 설치하였는데, 678(문무왕18) 4월 아찬(阿飡)의 관등으로 무진주의 장관인 도독(都督)에 임명되었다.

 

탁광무(卓光茂, 1330~1410)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겸부(謙夫), 호는 경렴정(景濂亭). 고려 후기인 1331(충혜왕1) 국자감시에 급제하였고, 벼슬이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이르렀으며, 문명이 높았다. 저서로는 경렴정집이 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범세동(范世東, 1342?~?)

본관은 금성(錦城), 자는 여명(汝明), 호는 복애(伏崖). 고려 후기인 1369(공민왕18) 문과에 급제하여 간의대부 등을 지냈다. 화동인물총기북부여기를 저술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광주의 복룡사(伏龍祠)에 배향되었다.

 

이선제(李先齊, 1390~1453)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가보(家父). 호는 필문(畢門). 조선 전기인 1419(세종1) 문과 급제하였으며, 예문관제학이 되었다. 1449고려사개찬을 감장(監掌)하고, 서북지방 군제(軍制) 정비, 어염세(魚鹽稅) 확보로 국가재정을 확보를 주장했다.

 

최형한(崔亨漢, 1460?~1504)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탁경(卓卿). 호는 영사정(永思亭). 조선 전기인 1483(성종14) 문과에 급제, 1498(연산군4) 사간원 헌납, 장령이 되었고, 1504년 갑자사화 때 궁궐 앞에서 연산군에 9일 동안 대죄(待罪)하다가 죽었다.

 

김윤제(金允悌, 1501~1572)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자는 공노(恭老), 호는 사촌(沙村). 1531(중종26) 문과에 급제, 나주목사 등 13개 고을의 지방관을 지냈다. 1561년 기대승의 주자문록(朱子文錄)을 인쇄 배포했고, 김덕령의 종조부이며 김성원과 정철 등의 스승이다.

 

양응정(梁應鼎, 1519~1581)

본관은 제주(濟州). 자는 공섭(公燮), 호는 송천(松川). 1552(명종7) 문과에 급제, 대사성에 이르렀다. 선조 때 8문장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효행으로 정문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송천집용성창수록이 있다.

 

의모당 장흥고씨(義母堂長興高氏, ?~1641)

본관은 장흥(長興), 고경명(1533~1592)의 손녀이며 고종후(1554~1593)의 딸이다. 양응정(1519~1581)4남 양산축(1571~1597)과 혼인했고 정유재란 때 유복자인 양만용(1598~1651)을 출산하였으며, 1636년 병자호란 때 아들을 의병장으로 내보냈다.

 

손영관(孫英琯, 1912~1962)

전남 광양 출신으로 17세 때 광주로 올라와 공수방과 부동방 오일장 시장에서 10여년동안 보부상으로 꾸준히 활동하여 의리의 마지막 보부상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953년 백마표 메리야스로 사업을 일구었고, 1962년 전남메리야스공업협동조합 초대 이사장이었다.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