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6건)

흥학관
흥학관은 일제 강점기 광주 청년학생들의 애국계몽 교육공간이자 독립운동 산실이었다. 그런데 일부 고령자를 제외하곤 흥학관의 존재를 아는 사람들이 드물다. 광주의 3·1운동과 학생독립운동의 근거지로 
최상현
일농(一聾) 최상현(崔相鉉, 1881~1945)은 광주 최부자로 알려진 최명구(1860~1924)의 장남이다. 일제강점기 때 언론에서는 최상현은 좋은 인물로, 때로는 악덕지주로 보도하기도 해 인물에 대한 평가는 전문 역사가들의 몫으로 남겨둔다.1924년 최명구가 세상을 떠나자 장남&n
광주학생독립운동 여학도상
광주시 동구 장동 전남여자고등학교2017년 1929년 11월 3일, 광주의 학생들은 일본의 만행에 저항하여 분연히 일어나 3.1만세운동의 불꽃을 다시 지폈다.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현 전남여자고등학교) 학생들도 소녀회와&nbs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자연과학고)
광주광역시 오치동 5 (능안로 30) 광주자연과학고1959년 6월 10일(1976년 9월 30일 현 위치 이건)이 비는 원래 1959년 6월 10일 개교 50주년을 맞아 그 당시 학교 자리인 광주시 북구 임동 92번지에 광주농업고등학교와 동창회가 함께 세웠으나, 1976년 9월 30일 광주시 북구 오치동으로 학교를 이전함에 따라 제14대 이대로
수피아여고 3.1운동 기념동상(1995)
광주시 남구 백서로 13(양림동), 수피아여자고등학교1995년 1910년 3월 10일 광주3.1만세운동에 앞장서서 만세를 부르다가 일본경찰에 끌려가 재판을 받고 옥고를 치른 광주수피아여학교 출신 박애순,이태옥,김양순,윤혈녀(윤형숙),김덕순,조옥희,이금봉,하영자,간화선,이라현,최수향,김만순,홍순애 등 23인의 업적을
문틈, 이 달콤한 고독
대체로 사람들은 홀로 있는 것을 못 견뎌한다. 불안하거나 두려운 까닭인지도 모른다. 언제부턴가 개인보다는 공동체가 더 강조되면서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에 복무해야 한다고 믿는 시대가 되다보니 더욱 그러한 것 같다.홀로 있을 때에도 텔레비전을 보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홀로 있음을 벗어나려고 애를 쓴다. 사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