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충주박씨찬성공휘지흥제각복원사적비忠州朴氏贊成公諱智興祭閣復元史蹟碑는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 안쪽의 추원재 바로 앞에 있다. 1989년에 세웠다. 눌재 박상의 봉산재를 지나 50여미터만 더 가면 있다. 회암懷庵 박지흥朴智興(1411~1488)의 재실은 오랜 세월이 흘러 훼손되어 다시 개축하려 했으나
광주시 서구 사동길 60 박상신도비에는 ‘문간박선생눌재신도비명文簡朴先生訥齋神道碑銘’이라 적혀 있다. 주州의 서쪽 30리 의 사동寺洞에 있는 비석으로 김병주金炳㴤)의 전서篆書 및 금곡錦谷 송래희宋來熙이 찬문撰文이 있다.박상신도비는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겸 성균관成均館 제주 祭酒를 지낸 경연관經筵官 송래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충주박씨하촌공제각건립비忠州朴氏荷村公祭閣建立碑는 1989년 하촌공 문중에서 건립했다. 눌재 박상의 큰형인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은 중국 송나라 삼소三蘇에 견주어 동국에 형제삼박兄弟三朴이 있다고 할 때 중심이 된 인물이다. 32세로 요절하였으나 수백년이 지나도록 재실이 없어 안타
광주시 서구 눌재로 258 서창치안센터 맞은편1769년농선대시주비農船大施主碑는 영산강과 황룡강이 어우러지는 서창교 일대에 1769년 강姜 아무개와 조曹 아무개가 농선을 기부해 주민들이 쉽게 강을 건널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칭송비로 알려져 있다. 서창동 서창치안센터 맞은편에 있다. 김희태는 이를 농선부시주비農船
서구 용두동 163-4애국지사 악포 김홍두 선생 공적비愛國志士樂浦金弘斗先生功績碑는 서창면 용두리 155, 학동마을에서 출생한 김홍두金弘斗(1879~1933)의 일제강점기 때 독립투쟁을 했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92년에 세웠다.이 비는 대형 거북이 모양을 기단으로 1992년 7월에 이기전李基田이 비문을 짓고 글씨를 썼다.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야은거사 김해김공 용훈 유적비명은 서창한옥문화관과 야은당 사이 주차장 한쪽에 있다. 야은野隱 김용훈金容燻(1876~1948)의 9대조가 삽봉 김세근 장군이다. 야은공의 덕행과 후학 양성을 위해 노력한 과정을 비문에 새겼다. 글은 김종金鍾 전 조선대 교수(시인)이 썼다.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임진왜란 의병장 삽봉 김세근 장군 훈적비勳積碑는 비문에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제 60세손으로 성장과정과 임진왜란에 참여하여 금산전투에서 순국하고 부인도 목숨을 끊은 내용이 담겨 있다. 2000년에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장 오성근吳晟根과 학산사보존회장 김종훈金鍾燻 등이 서창한옥문화관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추원재追遠齋는 절골마을에 들어온 충주박씨의 입향조 회암懷庵 박지흥朴智興(1411~1488)의 재실이다. 박지흥은 정지 장군의 손녀인 하동 정씨와 결혼 후 이곳으로 낙향했으나 2년 후 상을 당하여 개성 서씨와 재혼했다. 개성 서씨의 사이에서 세 아들이 있다.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 눌재訥
서구 사동길 118(서창동)서구 송학산 북쪽 기슭의 사동마을은 오래 전부터 절골마을로 불리었다. 회암 박지흥(1411~1488)과 자녀들이 살았던 초당 터다. 눌재 박상과 영의정을 한 사암 박순의 탯자리이다.조선시대 말까지 방하동芳荷洞에 있는 추모재追慕齋는 당시에 눌재 박상의 큰형인 하촌荷村 박정朴禎(1467~1498)
서구 서창동 세동마을광주향교의 『광주지』(1964)에는 서구 서창동 세동리 삽개봉揷盖峰 아래에 김해김씨金海金氏 문중의 충입재실忠立齋室로 첨지僉知 취헌翠軒 김명택金鳴澤을 기리는 이상재履霜齋가 있었다. 다른 자료에는 이곳이 일제의 침입에 대항한 항일운동을 했던 김원국金元國을 함께 제향하는 정면 3칸, 측면 2
- 두럭행복학습센터 엄마들의행복 건강발레프로그램광주 서구가 운영 중인 행복학습센터 프로그램이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서구는 5월부터 주민들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해 서구를 9개 권역으로 나눠 평생학습센터를 지정하고 매니저를 배치했다.거점기관으로 서구 평생학습관, 권역별행복학습센터로 서구농성
광주 서구가 운영 중인 행복학습센터 프로그램이 주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5월부터 주민들의 근거리 학습권 보장을 위해 서구를 9개 권역으로 나눠 평생학습센터를 지정하고 매니저를 배치했다.거점기관으로 서구 평생학습관, 권역별행복학습센터로 서구농성문화의집, 화삼골띠앗, 보나담작은도서관, 서창한옥문화관,
서구 사동길 93(서창동) 봉산재鳳山齋는 충주 박씨忠州朴氏의 재실로서 소촌동의 송호영당松湖影堂과 더불어 눌재訥齋 박상朴祥(1473-1530)의 재실이다. 2019년11월 1일 새로운 재실을 중건하고 기념식을 가졌다. 재실 앞에는 박상 선생의 행장비도 새로 세웠다.재실 안에는 박상 선생 영정과 광산 김충호金忠浩가 쓴 '봉산
서구 회재로 551(서창동)구산재龜山齋는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과 서창동주민센터 방향을 가르는 백마교차로에 있다. 백마산과 팔학산이 좌우에 있고 바래봉 동쪽 끝자락에 자리한다. 구산재는 구산龜山 김규환金奎煥(1769~?)으로 문중에서 세운 입비에 따르면 김해 가락국 수로왕의 66대손 삼현파이다.삼현은 사헌부,집의
광주시 서구 서창동 1서구 서창동 불암마을 외진 곳에 있는 학산사鶴山祠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의병장이었던 삽봉揷峯 김세근金世斤(1550∼1592)을 모시는 사우이다. 경내에는 학산사와 경의당景義堂, 창렬문, 학산사 묘정비 등이 세워져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22일에 춘향제를 지낸다. 사우는 정면 4칸의 측면 2칸으로 내
서구 용두학동 길 15(용두동)용두동 고인돌[支石墓]은 광주 소재 청동시대의 대표적 지석묘이다. 이곳의 고인돌군은 남북 방향으로 3줄이 배치돼 있는데 현재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것은 10기에 불과하다. 주위에 덮개돌을 지탱하는 받침돌이 여러 개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2∼3기 정도 더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북구 용봉동 1004-4 광주시립민속박물관 보관 중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 선생의 시문집의 목판각이다. 원래는 박상의 출생지인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의 송호영당에 영정과 함께 보관되어 있었으나 송호영당을 1728년에 광산구 소촌동으로 이전 건립하면서 옮겼다가 현재는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눌재집訥齋集』은
서구 서창동『신증동국여지승람』 제35권 전라도 광산현에는 극락원極樂院이라고 하고 주의 서쪽 30리에 있다고 적고 있다. 일대에는 앞으로는 영산강이 흐르고, 왼쪽에는 서창교 일대 야트막한 언덕을 끼고 조선 중엽까지 한양길 중 하나였다.극락원은 조선 중엽 이후에는 사라진 역으로 이후로도 오랫동안 이 일대에서는
서구 동하길 10 (세하동)서구 세하동, 마을 뒤에 백마산과 옥녀봉이 솟아있고 마을 앞에는 서창평야의 넓은 들고 그 가운데로 극락강이 흐르는 전형적인 농촌이다. 넓은 서창평야를 바라보며 오랫동안 마을 입구에 자리한 옛 정원형 정자가 있다. 마을 입구에 큰 연못이 있고 그 위로 다리를 사이에 두고 3개의 정자가 나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