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시장이 지난달 품격있는 문화도시 광주 실현을 위한 문화정책 추진방향을 밝힌 바 있다. 문화도시 광주의 미래를 견인하겠다는 의지의 발로였다.그런데 그 내용 중에 이러저런 외래어가 난무하는 것을 보고 의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센터나 프로그램, 스트레스, 디자인 등 우리말화된 외래어는 그렇다 할
“아직 청춘이지요. 지금의 인생이 행복하고 즐거워 다시 젊은 날로 돌아가고 싶지 않습니다.”지난 4년간 사투리, 시낭송 등 각종 상만
23개나 받은 70대 할머니가 있어 화제다. 주인공은 광주시 서구 금호동에 거주하는 나정임(72)씨. 연극, 시극, 시낭송 등 장르를
넘나들며 끼를 펼치고 있는 그는 최근 세종대왕 즉위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하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이용섭 광주시장의 최근 화두는 ‘일자리’ 문제이다. 우리나라 석학을 비롯하여 일자리 전문가로 일컫는 분들의 일자리 아이디어와 일자리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런데도 일자리 마련이 그리 쉬워 보이지 않는다. 특히 ‘청년’을 주제로 한 일자리 정책은 쏟아 부은
광주의 옛지도는 아름답다. 무등의 너른 품이 어깨를 펼쳐 안은 광주는 어떤 곳이었을까에 대한 답을 볼 수 있는 자리가 열렸다.광주 옛지도 발간위원회와 광주NGO센터는 11일 광주NGO센터 다목적홀에서 1872년 광주지도 복간 기념회를 가졌다. 1872년 전라감영의 이름 모를 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
이용섭 광주시장이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문제와 관련하여 ‘광주답게’하였으면 좋겠다고 말한 보도를 접한 일이 있다. 광주의 모든 행정과 건축, 시설을 설치할 때 ‘광주답게’하자는 의도는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만 ‘광주답게’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선행요건으로 ‘광주정신’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 화정4동에 위치한 방구경로당이 지역주민과 함께 문화․ 교양․취미활동 등을 공유하는 공동체 공간으로 탈바꿈했다.단순 쉼터 역할만 하던 경로당을 지역공동체 센터로 재정립하여 지역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소통과 문화의 공간으로 공유하는 방안의 하나로 마련됐다.방구경로당은 화정4동의 중심부
*사진 박종길(다음 백과)진홍가슴새는 철새다. 겨울이 오면 따뜻한 곳으로 날아간다. 우리에겐 흔히 개똥지빠귀로 알려진 새다. 전설에 이 새는 예수의 이마에 박힌 가시들을 부리로 하나씩 빼내다가 이마에서 흘리는 피에 젖어 가슴이 붉어졌다고 한다. 진홍가슴새(robin redbreast)로 불리는 연유다. 겨울이 오면 진홍가슴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 창립 10주년 기념음악회 '맑고 향기로운 노래이야기'가 오는 6일(금) 오후 7시30분 광주문예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생명평화를 애호하는 불교NGO단체인 광주전남불교환경연대(상임대표 시각스님)는 지난 2008년 4월 19일 창립한 이후 현재까지 10년 동안 불교환경운동, 불교 사회참여, 어린이청소년공
민선 7기 문화정책 방향 및 핵심 과제를 주제로 한 시민포럼이 6월 26일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에서 열린다.광주문화도시협의회(상임대표 박병주), 광주예총(회장 최규철), 상상실현네트워크(대표 정두용), 6·13지방선거문화정책연대 네 단체는 이번 포럼이 6·13지방선거에서 지역의 시민문화예술단체가 제안한 ‘문화
대인예술시장이 남북평화 등 화합의 염원을 담은 6월 ‘화이능취(和以能就)’를 주제로 한 야시장을 펼친다.‘화이능취(和以能就)’는 힘을 합치면 무슨 일이든 이룰 수 있다는 뜻으로 시장공동체 구성원 간 화합, 6월 항쟁, 남북문제 등 화합의 염원을 담아 6월의 별장프로그램을 진행한다.유별난 예술극장에서는 ‘Collabo 人 D
서구 상무민주로 61(쌍촌동)학생교육문화회관은 21세기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심신을 개발할 목적으로 놀이 및 문화.체육 공간이 마련된 복합교육문화시설이다. 청소년들은 이 공간에서 또래친구들과 더불어 여가를 선용하고, 정서를 함양하며, 심신을 단련함은 물론 새롭고 건전한 학생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개
서구 회재로 905 (금호동)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는 점차 미디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일반시민들에게 미디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미디어교육시설. 현대에 미디어의 이용은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시청자는 단순히 미디어를 수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 머무르지 않고 미디어의 기술을 이용해 생산과 소비를 담당하는 생비
대체로 사람들은 홀로 있는 것을 못 견뎌한다. 불안하거나 두려운 까닭인지도 모른다. 언제부턴가 개인보다는 공동체가 더 강조되면서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에 복무해야 한다고 믿는 시대가 되다보니 더욱 그러한 것 같다.홀로 있을 때에도 텔레비전을 보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홀로 있음을 벗어나려고 애를 쓴다. 사
광천동 광천동의 유래와 연혁광천동은 일제 때의 광천정光川町을 1947년부터 고쳐 부른 이름이다. 엣날에는 광주천가에 새로 방죽을 쌓았다고 해서 새방천 혹은 신방천이라 부르기도 했다. 조선후기 기록인 『여지도서』 및 『호구총수』에 따르면, 현 광천동 지역은 광주목 군분면軍盆面에 속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선사시대광주에 언제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출토된 유적, 유물을 통해 어느 정도 추정이 가능하다. 상무 신도심을 개발하면서 확인된 인근의 서구 치평동 구석기 유적은 12만5천년 전까지 올라갈 수 있는 삶의 흔적임이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구석기 문화는 뗀석기로 대표된다. 이 뗀석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