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충민사 / 忠愍祠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산133( 북구 무등로 1050)전상의(全尙毅)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우1985년 창건 1977년 장군의 묘소를 지방 문화재 기념물 제 32호로 지정1985년 충민사(忠愍祠)를 새로 건립하여 준공구모: 사당, 수의문, 정려각, 유물관향사인물: 전상의(全尙毅, 1575~1627) 본관-천안(天安)
진천사(지) / 眞泉祠(址)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는데 문숙공(文肅公) 박석명(朴錫命), 칠졸재(漆拙齋) 박창우(朴昌禹), 석촌(石村) 박충정(朴忠挺),시암(時庵) 박영림(朴榮林), 우헌(寓軒) 박상현(朴尙玄),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금암(黔岩) 박치도(朴致道),손재(遜齋) 박광일((朴光一), 소은(素隱) 박중회(朴重繪), 담락재(湛樂齋) 민사하(
지산재(구, 지산사) / 芝山齋(舊, 芝山祠)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715-1(남구 지산재길51)지산재(芝山齋)는 광주광역시 남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857~?)의 신주를 모신 지산사(芝山祠)의 강당이다.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의 유형문화재 제10호로 지정되었다. 경내에는 강당인 지산재와 내외삼문ㆍ영당이 있는데, 그 중 지산
절효사 / 節孝祠
광주광역시 북구 일곡동 567(일곡로 41번길 41-8)노준공(盧俊恭) 노희서(盧希瑞)를 배향하는 사우1398년(태조 7) 창건1398년(태조 7) 건립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1986년 복원규모 : 사우, 일신재(日新齋)향사인물 노준공(盧俊恭, 1340~1397) 본관-광산(光山)노희서(盧希瑞, 1558~1592)
장렬사 / 壯烈祠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 837-1번지(면앙로 170번길)장렬공(壯烈公) 김유신(金庾信),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망헌(望軒) 김광립(金光立)을 배향한 사우1849년 창건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연혁 1849년(헌종 15)에 김해김씨(金海金氏) 문중에서 광주 우산동에 건립, 김일손(金馹孫)·김광립(金光立)을 추가배향1
임계서원 / 臨溪書院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동 54(각화대로 87번길)김극일(金克一), 김일손(金馹孫), 김대유(金大有)을 배향한 서원1985년 창건1985년 7월 자계서원(紫溪書院)을 본따 호남에 거주하는 후손 들이 삼현선생(三賢先祖)의 신위를 모시고자 건립1986년 9월에 준공규모삼현사우(三賢祠宇)-제각 37.20 ㎡임계서원(臨溪書院)-강당 52.62
광주광역시, 캐릭터 당선작 이번에는 제대로 사용할까?
광주광역시의 새로운 관광캐릭터가 선정됐다.광주시는 지난 2월21일부터 3월1일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오매광주 캐릭터 공모 우수작 선호도 조사’에서 빛 광(光)자를 디자인 구상으로 하여 광주의 매력 다섯 가지를 오색으로 표현한 캐릭터가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에 선정된 B안은 모두 3363표를 얻어 오매광주
유애서원 / 遺愛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흑석동 260(용아로 460)이신의(李愼儀)를 배향한 서원1754년 창건연혁1754년(영조 30)에 이신의(李愼儀)의 학덕(學德)과 충절(忠節)을 추모하기 위하여 호남의 유림(儒林)들이 건립(建立)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 폐지령(廢止令)으로 훼철(毁撤)1901년(고종 38) 서적과 거문고 유품을 임시로 보관하
월봉서원 / 月峯書院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452(광곡길 133)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있는 조선 전기 기대승을 추모하기 위해 1578년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로 호남정신문화의 산실로 일컫고 있다. 기대승(奇大升), 박상(朴祥), 박순(朴淳),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등 조선 명신들을 배향하고 있다.1578년(선조 11)에 김계휘(金繼輝)를 중심
원산사(지) / 圓山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선거이(宣居怡)를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사원철페령으로 훼철향사인물: 선거이(宣居怡, 1545~1598) 본관-보성(寶城) 자-사신(思愼) 호-친친재(親親齋)
운암서원 / 雲岩書院
광주광역시 북구 화암동 235-(무등로 1040)운암서원(雲巖書院)은 원래 해광 선생이 자란 광주시 북구 운암동 자락 황계리에 세워졌으나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됐다가 1994년 지금의 광주시 북구 무등로(화암동)에 재건됐다. 사당에는 해광 선생과 사위 석주 권필, 아들 타의 영정과 신위가 있다. 서원
용진정사 / 湧珍精舍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동 산3-2(본량동서로 180-68)오준선(吳駿先)의 영정을 모신 사우1939년 창건사당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향사인물 : 오준선(吳駿先, 1851~1931) 호-후석(後石)기타사항: 광주광역시문화재자료 제7호(1985년 2월 25일)
용동사(지) / 龍洞祠(地)
용동사(지) / 龍洞祠(地)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기진(奇進) 기의헌(奇義獻) 임정용(林挺龍) 기언정(奇彦鼎)을 배향했던 사우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향사인물 기진(奇進, 1487~1555) 본관-행주(幸州) 자-자순(子順) 호-물재(勿齋)기의헌(奇義獻, 1587~1653) 본관-행주(幸州) 자-사직(士直)
신호사 / 辛湖祠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호동 신촌마을류상렬(柳庠烈)의 영정을 모시는 사우1967년 창건사당 : 정면 3칸, 측면 1칸, 팔작지붕류상렬(柳庠烈, 1880~1962) 본관-문화(文化) 자-관일(寬逸) 호-관암(寬庵)향사 일 : 매년 봄 
송호영당 / 松湖影堂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동(송정공원로 74)박상(朴祥) 박순(朴淳)을 배향하고 있는 사우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15인 1728년(영조 4) 창건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계묘(1903)년의 조령(朝令)에 의해 다시 복설(復設)되었다.    -광주읍지(1924)1992~1995년 사당, 담장, 진입계단
서강사 / 瑞岡祠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 28-1(효행4길 22)윤신달(尹莘達) 윤관(尹瓘) 윤언이(尹彦頤) 윤위(尹威) 윤돈(尹敦) 윤보(尹珤)를 모신 사우1968년 창건 사당 : 정면 3칸, 측면 1칸, 팔작지붕강당 : 정면 5칸, 측면 1칸, 팔작지붕서강사 창건기념비향사인물윤신달(尹莘達, 893~973) 본관-파평(坡平)윤관(尹瓘, ?~1111) 본관-파
봉산사 / 鳳山祠
광주광역시 서구 용두동 봉황산 구릉지대고광선(高光善)을 배향하는 사우1906년 창건1906년 지역유림과 제자들이 고광선을 기리고자 건립사당 :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봉산사 묘정비추모제 유허비상의문(솟을대문)엄이재(掩耳齋) : 정면 4칸, 측면 1칸, 팔작지붕향사인물: 고광선(高光善, 1855~1910) 본관-장흥(
복룡사(지) / 伏龍祠(址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314범세동(范世東) 범가용(范可容) 범천배(范天培) 범기생(范起生) 범기봉(范起鳳)을 배향했던 사우생룡동 314번지에 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는 복룡사유허비(伏龍祠遺墟碑)는 고려말 72현의 한 사람 문춘공 복애 범세동(范世東)을 주축으로 학봉(鶴峰) 범가용(范可容), 용계(龍溪) 범천배(
무광사 / 武光祠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 513이순신(李舜臣) 김덕령(金德齡) 김천일(金千鎰) 강항(姜沆) 정운(鄭運) 송희립(宋希立)을 배향하는 사우1958년 창건향사인물이순신(李舜臣, 1545~1598) 본관-덕수(德水) 자-여해(汝諧) 시호-충무(忠武)김덕령(金德齡, 1567~1596) 본관-광산(光山) 자-경수(景樹) 시호-충장(忠壯)김천일(金千鎰, 1537
매동사(지) / 梅洞祠(地)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동송천희(宋千喜)를 배향하는 사우1984년 창건향사인물 : 송천희(宋千喜, ?~1520) 본관-여산(礪山) 자-구부(懼夫)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