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213건)

광주가 올여름 유난히 뜨거운 이유
광주 사람들은 올 여름 예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뜨거운’ 시간을 보냈다. 내년 여름도 올해보다 더 뜨거울 것이라고 한다. 연일 40도에 가까웠던 폭염이라면 내년에는 한두달쯤 어디론가 탈출하고 싶다는 게 지역민들의 꿈이 될 정도다.이렇게 뜨거운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상기후일 수도 있고 지나친 도시화로 인해
태풍 부는 날이 온다
태풍이 부는 날  더 큰 태풍을 생각한다. 경제 태풍이다. 신문을 보면 세상이 곧 망할 것 같은 느낌이다. 자영업을 폐업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느니,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다느니. 옛날에도 그랬다. 사람 사는 세상은 살아가는 그 시대마다 과제가 있어 힘들게 마련이다. 사람은 누구나 시대와 환경이 부과한 엄중한
눌재 박상朴祥(1474~1530)
박상朴祥(1474~1530)은 진사 박지흥의 차남이며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하던 조선 중종 때의 관료로 사림 운동에 전력한 학자이자 정치가였으며 호남 사림의 대부이다. 본관이 충주이며 자는 창세昌世, 호는 눌재訥齋이다. 눌재는 1474(성종5년)년에 광주 방하동 본가에서 성균관 진사였던 부친 지흥과 모친 계성서씨 사이에
김윤식-광석대
神仙好高曠  신선(神仙)은 높고 탁 트인 곳을 좋아해 天築自然臺  하늘이 자연스런 대(臺)를 쌓아주셨네恐浼遊人跡  유람하는 이들의 자취로 더럽혀질까 두려워 林風掃屐苔  숲 바람이 이끼에 찍힌 나막신 자국 쓸어버렸네高挹天皇袂  천황(天皇)의 옷소매 높이 잡고 搔頭謝俗塵  머리 긁적이
달, 지구 생명의 열쇠
초승달이 달 가까이 반짝이는 별 하나를 거느리고 서쪽 하늘에 걸려 있다. 하늘 여기 저기 더 훑어본다. 달에서 멀리 떨어진 하늘에 작은 별 하나가 바늘자국만하게 보인다. 약한 별빛이다. 자세히 바라보노라니 그 옆에도 또 별이 보인다. 별들이 하나씩 둘씩 계속 눈에 들어온다.숨은그림찾기라도 하듯 별들을 더 찾아본다
홍명원- 하모당기(何暮堂記)
堂以何暮名何 識實也 蓋自有州而有衙 衙徙而基廢且百年 燒于兵燹 寓于民廬 而後斯堂作 非暮也耶 歷賢守宰八九輩 倉廨門樓鄕射之所靡不具 而斯堂獨後焉 非暮而何 嗟夫 荊榛灌莽 滿目蕭然 而一朝突兀 望之翬飛 則父老歎其何暮 窪庭局簷 累肩疊蹠 而廊廡縵廻 步驟安閑 則吏胥歎其何暮 濕寢雨立 男女勃谿 而庖房庫廏各得其所 則
송인수-次光州喜慶樓韻
湖南形勝說光城 호남의 명승지로 광주를 말하나高棟層軒眼忽明 높은 들보 층진 마루 눈이 번쩍 뜨이네涼灑衣裳圍粉黛 말쑥한 의상 입은 기녀들 둘러있고風飄律呂沸簫笙 바람에 나부끼는 노랫가락 피리에서 들리네罩汕西澗供鮮鯽 서쪽 시냇가에 그물쳐서 신선한 붕어회 만들고採掇東籬泛落英 동쪽 울타리에서 국화꽃 따다가
뜨거운 여름 날릴 광주 소극장 연극축제 28일까지
광주의 연극인들이 한여름 무더위를 날릴 연극들을 모아 소극장 연극축제를 마련했다. 연극 부흥을 꿈꾸는 소극단들이 모여 기발한 아이디어들이 가득한 작품들로 탄탄하게 구성한 연극을 무료로 선보인다.제21회 광주소극장연극축제는 오는 28일까지 한국연극협회 광주지회(협회장 정순기)가 주최·주관하는 행사로 광주의
정인서 문화비평9. 광주시립미술관 전시를 묻는다
다다익선(多多益善)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잘 아시겠지만 많을수록 좋다, 많을수록 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말이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좋은 것이 많으면 나쁘진 않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좋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회음후는 한고조 유방의 장군 한신이
문틈, 진홍가슴새의 선택
*사진 박종길(다음 백과)진홍가슴새는 철새다. 겨울이 오면 따뜻한 곳으로 날아간다. 우리에겐 흔히 개똥지빠귀로 알려진 새다. 전설에 이 새는 예수의 이마에 박힌 가시들을 부리로 하나씩 빼내다가 이마에서 흘리는 피에 젖어 가슴이 붉어졌다고 한다. 진홍가슴새(robin redbreast)로 불리는 연유다. 겨울이 오면 진홍가슴
정인서 문화비평5. 전통시장+문화예술 가능할까
전통시장에 예술을 접목해서 운영하는 게 바람직한 것일까. 결론부터 말한다면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선출직이건 아니건 간에 행정관료나 정치인들은 막연하게 일부 여론이나 민원성 압박 때문에 ‘전통시장을 살려야 한다’는 가시적 행동을 보인다. 하지만 내심으로는 분명 “이제 한계에 이르렀다”고 자임하고 있을 게다.중
정인서 문화비평 3, 문화도시 광주, 길을 묻고 답을 구했는가
문화도시 광주, 길을 묻고 답을 구하는 자리가 있었다. 이번이 네 번째 행사다. 지난해 7월 두 차례 가진 이후 12월에 세 번째 행사를 치렀다. 그 내용에 기대가 컸다. 우선 광주지역 청년문화활동가인 정두용 대표와 광주시의 박향 문화관광체육실장이 발표하는 자리이니 요즘 트렌드인 청년예술인 문제와 민선7기의 광주시
정인서 문화비평1, 100년을 내다보는 지방정부는 없나!
100년을 내다볼 수 없을까. 매번 선거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새로운 시장이나 도지사 등 지방정부 대표들은 전임자의 정책을 흐트러버리거나 도시의 비전까지도 바꾸는 일들을 한다. 이 때문에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고 만다.가까운 이웃 일본 요코하마는 60년대 말과 70년대 초에 만든 도시정책이 수차례 시장과 의회가 바
양림동 호남순교자 추모공간
광주시 남구 제중로 77 호남신학대2011년전남북 지역에서 기독교인이라는 이유로 1791년 전북 금산군 윤지중 권상연을 비롯하여 순교한 850여명의 명단을 새긴 추모공간이다.
푸른연극마을, '부용산' 20-21일 두 차례 공연
극단 푸른연극마을의 음악극 ‘부용산’이 6월 20일(수)과 21일(목) 저녁 7시 30분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두 차례 공연한다. 푸른연극마을의 연극 ‘부용산’은 박기동의 시 ‘부용산’에 작곡가 안성현이 노래로 만든 것을 음악적 요소와 몸짓으로 재해석하여 음악극으로 만들었다. 푸른연극마을은 2018년 빛고을시민문화관 공연
조언수-창녕조씨삼강정려각
 광주시 광산구 용진로 219(북산동 450)1887년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창녕조씨삼강정려각(昌寧曺氏三綱旌閭閣)은 창녕조씨 일가 4대의 충, 효, 열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동한 조언수의 충, 그의 손자 조순악과 증손자 조후건의 효, 며느리 문화유씨
관찰사이공근호선정비
광주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15 (광주공원內)1903년이 관찰사이공근호선정비(觀察使李公根澔善政碑)는이근호(李根澔, 1861~1923)의 의 비이다. 이근호 선정비는 그가 전남 5대 관찰사(1902년∼1903년) 재직 시절에 선정을 베풀었다는 이유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근호는 조선 말기의 무신이자 일제강점기의 조선 귀족
베르너 삿세, 독일 작가의 한국 수묵화전
한국 사람보다 더 수묵화를 사랑하고 그림을 그리는 서양사람이 있다면 어떤가요.많은 작가들이 유화로 대변되는 서양미술에 천착하고 있을 때 한국을 사랑하고 한국미술의 매력에 빠진 뒤 한국의 수묵화 작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한국을 사랑한 독일인, 베르너 삿세”展이 6월1일부터 24일까지 하정웅미술관에서 열리고 있
박선정 전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 별세
박선정 전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 전 광주광역시 시의원이 5월 30일 별세했다. 향년 61세.박선정 전 처장은 전남대 사회학과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1980년 4월 전남대 인문사회 대 학생회장으로 당선, 민주화운동의 대열 속에 있다가 5월 17일 밤 예비검속된 후 구속되었다. 학교에서 제적당하고 1982년부터 문화운동
무더운 여름 소극장 찾아 일찌감치 식힐 듯
올여름 무더위 일찌감치 소극장을 찾아 시원하게 날려볼 기회를 갖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소극장에서 펼쳐지는 공포 연극은 웬만한 강심장이라도 평정심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극이 바로 코앞에서 전개되는데다, 바로 옆 사람의 호흡까지 고스란히 전달돼 긴장감이 배가 된다. 충장아트홀에서는 오는 8월까지 ‘무더위 극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