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임실(任實)의 추관(推官)을 체차(遞差)할 것은 순영에 보고하다-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 - 光州牧使

○영조(英祖) / 영조(英祖) 39년(1763) 8월 25일

임실(任實)의 추관(推官)을 체차(遞差)해 줄 것을 순영(巡營)에 보고하다


첩보(牒報)하는 일. 부사(府使)가 위에 70세의 편모(偏母)가 있는데, 너무나 많이 노쇠하여 숨이 오락가락한데다 평소에 담병(痰病)이 있어서 편안한 날이 항상 적었습니다. 그런데 근래에 또 독한 학질(瘧疾)까지 얻어서 오래도록 떠나지 않다가 기학(氣瘧)으로 변하여 날마다 통증이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 별증(別症)이 층층이 겹쳐서 발생하므로 다방면으로 약이(藥餌)를 써보았으나 조금도 효과가 없습니다. 부사가 형제가 없어서 혼자 밤낮으로 간호하면서 애가 타 눈물을 흘리며 어쩔 줄을 모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임실현(任實縣)의 살옥(殺獄 살인 사건에 대한 옥사) 죄인(罪人) 오(吳)를 수추(囚推 가두어 놓고 심문함)할 때 중간에 부사가 동추관(同推官)으로 차출되어 거행한 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이달 하순이면 부사가 동추관으로 수일간 나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 인정과 도리를 돌아보면 잠시도 편모의 곁을 떠날 수가 없습니다. 그런가 하면 가정(加定)한 동추관 진안 현감(鎭安縣監)도 경성을 향해 이미 떠났으므로 다른 사람에게 이관하여 거행할 방도가 없습니다. 그래서 감히 이렇게 우매함을 무릅쓰고 효도로 다스리는 사또(使道)께 우러러 보고하오니, 위의 정경을 특별히 굽어살피시어 부사의 동추관 임무를 속히 체차하고 연고가 없는 다른 읍재(邑宰)로 정하여 수추(囚推)할 때 궐원(闕員)이 발생하는 환난이 없도록 해 주셨으면 합니다.

제사(題辭)

어머니의 병환이 더욱더 위중하여 사세상 곁을 떠나기 어렵다고 하니, 추관(推官)을 임시로 운봉(雲峰) 영장(營將)으로 정하라는 뜻으로 배관(背關 하급 관아에서 보낸 첩보(牒報)의 뒷면에 쓴 관문(關文))하였음.

[주-D001] 영장(營將) : 

진영장(鎭營將). 조선 후기 인조(仁祖) 때 설치된 정3품직으로 각 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겸병사(兼兵使)인 감사(監司) 포함)에 소속되어 지방 군대를 지휘ㆍ감독하였다. 진영장은 전임 무관을 파견하거나 도내(道內) 수령 가운데서 겸직하였는데, 조선 말기에는 8도 46인의 전체 진영장에서 33인이 겸영장(兼營將)이었다. 각 도의 진영(鎭營)은 원칙적으로 전ㆍ후ㆍ중ㆍ좌ㆍ우(前後中左右)의 5영(營)을 설치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별중영(別中營)ㆍ별전영(別前營) 등을 더 두었다. 현종(顯宗) 때부터는 진영장이 토포사(討捕使)를 겸하여 도적을 잡도록 하였다. 전라도의 경우 전영은 순천(順天)에, 좌영은 운봉(雲峯)에, 중영은 전주(全州)에, 우영은 나주(羅州)에, 후영은 여산(礪山)에 설치하였음.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