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덕령과 누이의 재주 겨루기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김덕령에 관한 이야기.

김덕령(金德齡)[1567~1596] 장군이 큰 인물이 될 수 있었던 이유에 관한 이야기이다. 김덕령의 누이가 김덕령보다 힘과 재주가 좋았는데, 누이의 희생으로 김덕령이 깨우치고 큰 인물이 되었다는 김덕령에 관한 인물전설이다.

2000년 9월 27일 광주광역시 북구 두암동에 거부하는 주민 강복동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2000년에 광주민속박물관에서 간행한 『광주의 설화』에 수록되었다.

김덕령 장군은 힘이 세고 용맹하였다. 그런데 김덕령의 누이는 김덕령보다 힘도 세고 지혜가 남달랐다. 김덕령의 누이는 뛰어난 두 사람이 함께 있으면 조금 부족한 사람이 힘에 눌려서 큰 사람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김덕령의 누이는 힘과 재주로 본다면 자신이 낫지만, 여자는 출가외인이 되기 때문에 남자인 동생이 출세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김덕령의 누이는 김덕령에게 재주를 겨루자고 제안하였다. 김덕령에게는 말을 타고 무등산을 한 바퀴 돌아오라고 하고, 자신은 그동안에 도포 한 벌을 짓겠다고 하였다. 그래서 겨루기에서 진 사람이 이긴 사람을 위해 기꺼이 죽어서, 이긴 사람에게 나라를 위해 공을 세울 기회를 주자고 하였다. 김덕령은 누이를 감당할 재주가 없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작은 뜻도 못 펴고 누나에게 죽겠구나 하는 생각에 마음이 착잡해졌다.

그러나 어차피 죽게 될 것이라면 최선을 다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김덕령의 누이도 옷감과 반짇고리를 준비하고, 김덕령은 말을 타고 겨루기를 시작하였다. 겨루기가 시작되었고, 김덕령의 누이는 김덕령이 돌아오기 전에 이미 옷을 다 지었다. 김덕령의 누이는 이대로라면 자신이 살고 동생이 죽을 것이며, 또 자신도 젊은 나이에 죽기는 아까웠다. 마음의 갈등을 느끼고 있는 사이, 말방울 소리가 가까이 들리기 시작하였다. 순간 김덕령의 누이는 도포의 옷고름을 잡아떼었다. 김덕령이 집으로 들어와 누이를 보니, 김덕령의 누이는 아직 옷고름을 달지 못하였다며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였다. 그리고 그날 밤 노끈으로 목을 매어 죽고 말았다. 다음 날 누이의 죽음을 알게 된 김덕령은 통곡하다가 혹시나 하고 도포 자락을 살펴보니 일부러 옷고름을 뜯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김덕령은 자신을 살리기 위해 희생한 누이의 뜻을 받들어 밤낮없이 학문과 무술을 연마하여 나라를 위해 큰일을 하였다. 큰 인물이 나려면 옆에서 도와주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모티프 분석] 「김덕령과 누이의 재주 겨루기」의 주요 모티프는 ‘오누이의 힘내기’이다. 오누이가 서로의 목숨을 걸고 힘 대결을 하거나 재주 겨루기를 하는 이야기이다. 내기의 조건은 짧은 시간에 끝날 것, 남보다 힘이 셀 것, 먼 거리를 빨리 다녀올 것 등이다. 대체로 여자는 힘에 관한 재주, 남성은 거리에 대한 속성이 있다. 그런데 후대로 올수록 여자의 힘 속성이 약화되면서 옷 짓기, 밥 짓기 등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설화 유형에서는 누이의 힘이 동생의 힘보다 우월하다. 그럼에도 누이가 죽고 남동생이 대결에서 이긴다. 이는 공존할 수 없는 두 주체 사이에 일어나는 필연적인 갈등으로, 주체가 오누이로 설정된 것은 모권 사회에서 부권 사회로 교체된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광주의 설화』(광주민속박물관, 2000)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1-2(국립민속박물관, 2012)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