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 목사로 부임하는 이경함 을 전송하는 절구시의 서문-어우집

광주 목사로 부임하는 이양원 경함(1553~1627) 을 전송하는 절구시의 서문〔送光州牧使李養源 慶涵 絶句序〕-어우집 제3권 / 서(序) : 어우(於于) 유몽인(柳夢寅, 1559~1623)


만력(萬曆) 32년(1604, 선조37) 봄에 이군(李君)이 광주(光州)로 부임하게 되어 나에게 이별을 고하였다. 나는 그의 손을 잡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옛날 사람들은 길을 떠날 때 전별의 선물을 주었습니다. 설(薛)나라 군주는 맹자(孟子)에게 금을 주었으니 제가 금을 드릴까요? 그렇지만 저는 금이 없습니다. 자산(子産)은 계찰(季札)에게 모시옷을 주었으니 제가 모시옷을 드릴까요? 그렇지만 저는 모시옷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채찍을 드려야겠네요. 옛날에 요조(繞朝)는 채찍을 전별의 선물로 주었는데, 채찍은 말을 달리게 하는 것이니 이별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이 아닙니다. 저는 채찍을 뺏고 싶은 심정인데 그러지 못하거늘 하물며 드릴 수 있겠습니까. 그렇다면 버들가지를 드려야겠네요.
옛날 사람은 송별할 때 버들가지를 꺾어 주었습니다. 그러나 버들가지는 실처럼 약하여 떠나는 사람을 묶어놓을 수도 없거늘 더구나 꺾어서 준다면 더욱 붙들어 매어놓을 수 없으니 어찌 드리겠습니까. 이것도 아니라면 물 한 잔 채워 권해야겠네요. 옛사람이 태수를 전송할 때 물 한 잔 채워주는 자가 있었습니다. 물맛은 심심하여 존귀한 빈객을 대접하기에 마땅하지 않으니 한 병의 맛 좋은 술을 가지고 한강(漢江) 가로 따라가 전송해야 마땅하겠습니다. 다만 이군(李君)은 백천(百川)을 들이마시는 주량이니 한 병의 술로는 대접할 수 없고 저 또한 병 때문에 집 밖을 나아가지 못하니 어찌 한강 가의 전별을 기대하겠습니까.

이군은 수십 년 사귄 친구이고 광주는 천 리밖에 떨어져 있으며 목사는 삼 년 동안 객으로 살아야 하니, 어찌 전별의 선물이 없을 수 있겠습니까. 전별의 선물로는 마땅히 시만한 것이 없는데, 시가 시답지 못하면 마음을 다 표현하지 못함을 어찌하겠습니까. 시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이니 마음이 귀하지 시가 귀한 것이 아닙니다. 시에는 본디 크고 작음이 있으니, 저는 우선 작은 시를 전별의 선물로 드립니다.”


광주에는 공문서가 언덕처럼 쌓였을 것인데 / 光山朱墨積如陵
어제는 아득한 구층의 은대에서 잠을 잤네 / 昨夢銀臺渺九層
그래도 종일토록 잠자는 장군보다 나으니 / 猶勝將軍盡日睡
세상의 힘들고 편안함은 능력에 달려있다네 / 世間勞逸能無能


[주-D001] 광주 …… 서문 : 
이 글은 1604년(선조37)에 광주 목사로 부임하는 이경함(李慶涵, 1553~1627)을 전송하며 쓴 시의 서문이다. 이경함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양원(養源), 호는 만사(晩沙)이다. 내직으로는 정언ㆍ지평ㆍ호조 참판ㆍ병조 참판 등을 역임하였고, 외직으로는 성주 목사ㆍ광주 목사ㆍ경상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고 사직하였는데, 인조반정 이후 한성부 우윤으로 총관(摠管)을 겸하였다.
[주-D002] 설(薛)나라 …… 주었으니 : 
맹자(孟子)가 제(齊)나라에서 금(金) 1백 일(鎰)을 주는 것은 받지 않다가, 송(宋)나라에서 70일(鎰)을 주는 것을 받고 설(薛)나라에서 50일을 주는 것을 받았다. 그의 제자 진진(陳臻)이 받는 것에 옳고 그름을 물으니, 맹자는 “제나라에서는 받을 일이 없어서 받지 않았고, 송나라에서는 노자로 주는 것이라 받았으며, 설나라에서는 그 때 내가 의외에 대비할 것이 있는 것을 알고서 병기(兵器)를 준비하라고 주기 때문에 받았으니, 받은 것이 모두 옳다.”라고 대답하였다. 《孟子 公孫丑下》
[주-D003] 자산(子産)은 …… 주었으니 : 
이별의 자리에서 각자 소중한 물건을 주고받는 것을 뜻한다. 춘추 시대 오(吳)나라 계찰(季札)이 일찍이 정(鄭)나라에 가서 대부(大夫) 자산(子産)을 만났을 때 마치 예전부터 잘 아는 사이처럼 여겨져서 자산에게 흰 비단띠[縞帶]를 선사하자, 자산은 계찰에게 모시옷[紵衣]을 선사하였다. 오나라에서는 흰 것을 귀중히 여기고, 정나라에서는 모시를 귀중히 여기기 때문에 각각 자기가 귀중히 여기는 물품을 서로 선사한 것이다. 《春秋左氏傳 襄公29年》
[주-D004] 요조(繞朝)는 …… 주었는데 : 
길 떠나는 사람을 전송하면서 의미 있는 한 마디 말을 해 주는 것을 뜻한다.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회(士會)가 진(秦)나라로 망명 가 있었는데, 진(晉)나라에서는 진(秦)나라에서 사회의 계책을 쓸까 두려워하였다. 이에 계책을 써서 사회를 진(晉)나라로 돌아오게 하였는데, 사회가 돌아올 때 진(秦)나라의 요조가 사회에게 채찍을 주면서 말하기를, “그대는 우리 진(秦)나라에 인물이 없다고 여기지 말라. 나는 진(晉)나라의 계책을 알고 있다.”라고 하였다. 《春秋左氏傳 文公13年》
[주-D005] 옛 …… 채워주는 : 
태수에게 물처럼 청렴한 정사를 펼치기를 당부하는 것이다. 후한 방삼(龐參)이 한양 태수(漢陽太守)로 부임하여 고사(高士)인 임당(任棠)의 집을 방문했을 때, 그가 아무 말 없이 염교의 큰 뿌리 하나와 물 한 사발을 문 앞에 놓고는 손자 아이를 품에 안고 엎드려 있자, 방삼이 한참 동안 그 의미를 생각하다가 ‘물처럼 청렴하고, 염교 뿌리를 뽑아 버리듯 힘 있는 자를 억누르고, 손자 아이처럼 약한 백성을 돌보아 주라는 뜻’임을 깨닫고는 돌아가서 그대로 실천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51 龐參列傳》
[주-D006] 백천(百川)을 들이마시는 : 
술을 고래처럼 들이마시는 것을 뜻한다.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에, “좌상은 날마다 주흥으로 만전을 허비하여, 술을 큰 고래가 백천을 들이마시듯 하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주-D007] 은대(銀臺) : 
승정원(承政院)을 가리킨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