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고 장원(高壯元)이 경사(京師)에 조회하러 가는 것을 전송하다. - 잠곡유고 제1권

고 장원(高壯元)이 경사(京師)에 조회하러 가는 것을 전송하다. 계축년(1613) - 잠곡유고 제1권 : 잠곡(潛谷) 김육(金堉, 1580~1658)

서석산 높고 높아 만 길이나 되는데 / 瑞石之山高萬仞
천 봉우리 삐쭉삐쭉 하늘 속에 솟았어라 / 千峯束立天中央
솟구치어 맺혀져서 맑은 기운 다 모음에 / 扶輿磅礴淑氣窮
배인 정기 몇 차례나 나라 인재 배출했나 / 孕精幾作邦家光
발흥하여 태헌공 그 분께서 태어남에 / 勃興得我苔軒公
하늘 닿는 그 의기는 추상보다 더 하였네 / 摩天義氣凌秋霜
그 정충과 그 위절이 우주를 비춤에 / 精忠偉節照宇宙
남긴 풍모 흠앙하니 눈물 옷깃 적시어라 / 景仰餘韻猶沾裳
내 평생에 한 되는 건 공 모시지 못한 걸로 / 吾生恨不擧公輿
공의 유방 흠앙하여 자손 사귈 생각했네 / 思識子孫欽遺芳
풍진 세상 문 나서서 한 차례 경개해서 / 風塵出門一傾盖
어질고도 호걸찬 그댈 용케 보았네 / 何幸見此賢豪郞
집안 명성 안 떨구고 청전을 보전해서 / 家聲不墜保靑氈
나이 어려 과거장서 영명을 드날렸네 / 弱歲揚英翰墨場
이태 사이 연방 계방 장원 되고 발탁됨에 / 魁蓮擢桂兩年間
빛나는 그 명성이 팔도를 놀래켰네 / 赫赫聲名驚八方
큰 어진이 후손 필시 일어나게 되는 법 / 大賢之後必有興
머지않아 암랑에 오를 줄을 내 알겠네 / 分知不遠登巖廊
이조와 병조 관직 훌쩍 뛰어 올라감에 / 民曹騎省歘聯翩
밝은 임금 이미 벌써 강직한 맘 알아봤네 / 明主已識懷剛腸
천추절을 하례 가는 사신 가려 뽑음에 / 千秋賀節選擇使
만리 먼 연경 땅 가 황제 조알하게 됐네 / 萬里燕京朝玉皇
멀고도 먼 이국 산천 사모 타고 날아감에 / 山川召遞四牡飛
대장부라 꾸린 행장 쌍검만이 길다랗네 / 丈夫行裝雙劒長
갈석산과 의무려산 눈 안에 들어오고 / 醫閭碣石入眼中
난하와 요해 바다 파도는 망망하네 / 灤河遼海波茫茫
이제묘 앞에 서서 두 분 영령 조문하고 / 夷齊廟中弔英靈
화표주 가에서는 고향 하늘 바라보리 / 華表柱邊應望鄕
이정에는 느티나무 그늘 한창 짙은데 / 離亭正値槐陰合
역로에선 되레 매우 내릴까 봐 걱정이네 / 驛路還愁梅雨凉
인간 세상 만남 이별 운수 있는 법이니 / 人間離合亦有數
이번 이별 먼 헤어짐 슬퍼할 게 뭐 있겠나 / 此別何必悲參商
견문 넓고 기이함에 심기가 장해지리 / 奇聞大觀壯心氣
자장은 먼 유람에 명문장가 되었다오 / 子長遠遊能文章
일 마치고 돌아올 땐 한가한 틈 많으리니 / 竣事廻轅想多暇
시구 맑고 새로워서 남들 감당 못하리라 / 佳句淸新人莫當
중국 땅의 경물 모두 거두어서 돌아옴에 / 收拾中華景物歸
해노의 주머니가 가득 찬 것을 보리 / 佇看所富唯奚囊

[주-D001] 서석산(瑞石山) : 
광주(光州)에 있는 무등산(無等山)의 별칭이다.
[주-D002] 태헌공(苔軒公) : 
태헌은 고경명(高敬命)의 호이다.
[주-D003] 유방(遺芳) : 
선인(先人)이 남긴 성대한 덕과 아름다운 명예를 말한다.
[주-D004] 경개(傾蓋) : 
길을 가다가 서로 만나서 수레의 휘장을 기울이고서 잠시 이야기한다는 뜻으로, 잠깐 동안 서로 이야기한다는 뜻이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에, “공자가 담(郯)에 가서 정자(程子)를 길에서 만나서는 경개(傾蓋)하고서 종일토록 이야기하고는 서로 몹시 친해졌다.” 하였다.
[주-D005] 청전(靑氈)을 보전해서 : 
청전은 푸른색의 담요인데, 벼슬하는 집안에서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물건이란 말로, 대대로 벼슬자리를 잃지 않았다는 뜻이다. 《태평어람(太平御覽)》 제70권에, “왕자경(王子敬)이 재실(齋室) 안에 누워 있을 적에 도둑이 들어 물건을 훔쳤는데, 온 방 안의 물건을 다 훔치도록 자경은 누운 채로 가만히 있다가 도둑이 탑(榻) 위로 올라가서 훔칠 물건을 찾으려고 하자 왕자경이 소리를 치면서 말하기를, ‘석염(石染)과 청전(靑氈)은 우리 집안에 대대로 전해져 오는 물건이니 특별히 놔둘 수 없겠는가?’ 하였다. 이에 도둑이 물건을 놓아둔 채 도망쳤다.” 하였다. 청전구물(靑氈舊物).
[주-D006] 연방(蓮榜) 계방(桂榜) : 
연방은 조선 왕조 때 사마시(司馬試)인 생원과(生員科)와 진사과(進士科)에 합격한 사람의 이름을 적은 방목(榜目)이며, 계방은 대과(大科)에 급제한 사람을 적은 방목이다.
[주-D007] 암랑(巖廊) : 
높고 큰 낭무(廊廡)로, 조정(朝廷)을 가리킨다.
[주-D008] 사모(四牡) : 
네 마리의 수말이라는 뜻으로, 《시경》 소아(小雅)의 편명(篇名)이기도 한데, 왕명을 봉행하는 사신이 타고 가는 말을 뜻한다.
[주-D009] 화표주(華表柱) : 
무덤 앞에 있는 망주석으로, 요동 사람 정영위(丁令威)가 학이 되어 날아와서 앉았던 곳이다. 한 나라 때 요동 사람 정영위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되었다. 그 뒤에 학이 되어 요동에 돌아와 화표주에 앉아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새여, 새여, 정영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오늘에야 돌아왔네. 성곽은 의구한데 사람들이 아니로세. 어찌 신선 아니 배워 무덤이 총총하뇨.” 하였다. 《搜神後記》
[주-D010] 이정(離亭) : 
성에서 조금 멀리 떨어진 곳의 길 옆에 세워둔 정자로, 옛 사람들이 먼 길을 떠나는 사람들을 이곳에서 전송하였다.
[주-D011] 매우(梅雨) : 
매실이 누렇게 익는 계절인 초여름에 내리는 긴 장마비를 말한다.
[주-D012] 자장(子長)은 …… 되었다오 : 
자장은 《사기(史記)》를 지은 사마천(司馬遷)의 자이다. 사마천은 천성이 유람하기를 좋아하여 일찍이 남쪽으로 강수(江水), 회수(淮水)를 유람하고 회계(會稽)로 올라가서 우혈(禹穴)을 보고 구의산(九疑山)을 보았으며, 북쪽으로는 문수(汶水)와 사수(泗水)를 건너 제로(齊魯) 지방을 거쳐 양(梁)과 초(楚)지방까지 두루 유람하였다. 이때 얻은 산천에 대한 지식으로 인해 명문장가가 되었다고 한다. 《史記 卷一百三十 太史公自序》
[주-D013] 해노(奚奴)의 주머니 : 
해노는 수행하는 어린 종자(從者)를 가리키며, 주머니는 시고(詩稿)를 넣는 주머니를 말한다. 당(唐) 나라 이상은(李商隱)의 《이하소전(李賀小傳)》에, “이장길(李長吉)이 매일 아침 해가 뜨면 제공(諸公)들과 노닐면서 항상 어린 종자를 데리고 나귀를 타고 다녔는데, 어린 종자의 등에다가 오래 묵은 비단 주머니를 지고 따라다니게 하였다. 그리고는 우연히 좋은 시구를 얻으면 즉시 시구를 써서 그 주머니에 넣었다.” 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