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광주 이한지에게 보낸 글〔光州李罕之〕 - 계원필경집 제12권

광주 이한지에게 보낸 글〔光州李罕之〕 - 계원필경집 제12권/위곡(委曲)  :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


이한지(李罕之) 님에게 알립니다. 성간(成覵)이 말하기를 “그도 장부요, 나도 장부이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공을 이루고 절조를 세우는 것은 옛사람만 그런 것이 아니요, 순리(順理)에 따라 충성을 바치는 것은 바로 오늘날에도 해당된다고 할 것입니다.
최근에 칙서(勅書)와 수조(手詔)를 받들건대, 대중의 마음을 격려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아울러 왕 영공(王令公)을 도통(都統)에 제수하고 서문 군용(西門軍容)을 도감(都監)에 임명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것은 바로 번진(藩鎭)이 공을 세우지 못하고 조정의 계책이 다하였으므로 마침내 대임(大任)을 노유(老儒)에게 맡긴 것인데, 비록 전해진 소문이 믿을 것은 못 된다고 하더라도, 필시 일을 이루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나는 거년에 날랜 군사를 일제히 거느리고 가서 흉악한 무리를 소탕하려 하다가, 곧바로 조서(詔書)를 받들고는 회해(淮海)를 안정시키기에 이르렀습니다. 조서에 “짐을 위해 오월(吳越)의 지역을 보전하여, 짐이 동남쪽을 돌아보는 걱정이 없게 하라.”라고 하였으므로, 마침내 군대를 되돌렸으니, 이는 감히 명령을 어길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물의(物議)를 자세히 살피고 군기(軍期)를 참작해야만 할 것입니다. 관중(關中)에 도끼를 쥐고 휘두르는 무리가 있는데도, 곤외(閫外)에 창을 베고 자는 의지가 없으니, 누가 힘을 다할 수가 있겠습니까. 실로 가슴 아픈 일입니다. 내가 만약 행하지 않는다면 대중이 장차 어디로 가겠습니까. 이제 곧장 변로(汴路)를 따라 바로 동관(潼關)으로 들어가서 봉성(鳳城)을 수복하고 난가(鑾駕)를 맞이함으로써, 길이 만대(萬代)에 유전(流傳)되게 하고 끝내 사방(四方)을 숙정(肅靜)하려고 합니다.

그대는 이미 지방 장관의 신분으로 오랫동안 용기를 배양해 왔으니, 반드시 정예 군사를 뽑아 흉악한 반적(叛賊)을 기필코 섬멸하려고 할 것입니다. 지금 칙서와 수조를 기록하여 그대에게 부쳐 드립니다. 성상의 뜻을 받들어 반드시 충성을 힘써야 할 것이니, 바로 정벌(征伐)을 결행하여 함께 부귀를 도모했으면 합니다. 이 기회를 놓치면 안 될 것이니, 그대는 힘쓰기 바랍니다. 그래서 이렇게 알리는 바이니, 속히 회보(回報)해 주면 좋겠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주-D001] 성간(成覵)이 …… 하였습니다 : 
춘추 시대 제 경공(齊景公)에게 성간이 “그도 장부요, 나도 장부이다. 그러니 내가 그를 두려워할 것이 뭐가 있겠는가.〔彼丈夫也 我丈夫也 吾何畏彼哉〕”라고 말한 내용이 《맹자》 〈등문공 상(滕文公上)〉에 나온다.
[주-D002] 왕 영공(王令公) : 
왕탁(王鐸)을 가리킨다. 당 의종(唐懿宗) 함통(咸通) 7년(866)에 호부 시랑(戶部侍郞)으로 탁지(度支)를 주관하다가 예부 상서(禮部尙書)로 자리를 옮겼으며, 희종(僖宗) 건부(乾符) 6년(879)에 형남 절도사(荊南節度使)와 남면행영초토도통(南面行營招討都統)이 되었고, 희종을 따라 서촉(西蜀)에 들어간 뒤, 중화(中和) 2년(882)에 중서령(中書令)이 되고 제도행영도통(諸道行營都統)이 되었다. 서유구(徐有榘)의 〈교인 계원필경집 서문〔校印桂苑筆耕集序〕〉에 그에 대한 간략한 언급이 나온다.
[주-D003] 서문 군용(西門軍容) : 
서문사공(西門思恭)을 가리킨다. 일찍이 추밀사(樞密使)와 봉상감군(鳳翔監軍) 및 우신책관군용사(右神策觀軍容使)를 지내고, 중화(中和) 2년에 제도행영도감(諸道行營都監)이 되었다.
[주-D004] 창을 …… 의지 : 
기필코 적을 섬멸하려는 굳은 의지를 뜻한다. 동진(東晉)의 유곤(劉琨)이 친구인 조적(祖逖)과 함께 북벌(北伐)을 하여 중원을 회복할 뜻을 지니고 있었는데, 조적이 먼저 기용(起用)되었다는 말을 듣자 “내가 창을 머리에 베고 누워 아침을 기다리면서 항상 오랑캐를 섬멸할 날만을 기다려 왔는데, 항상 마음에 걸린 것은 나의 벗 조적이 나보다 먼저 채찍을 잡고 중원으로 치달리지 않을까 하는 점이었다.〔吾枕戈待旦 志梟逆虜 常恐祖生先吾箸鞭耳〕”라고 말했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62 劉琨列傳》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