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문옥- 노당선생실기서 露堂先生實記序

김문옥 효당문집 曉堂文集 권7

露堂先生實記序


天下之理未有無漸 而盛道之將興也 必有大人君子

自任以斯道之重者 倡之作之扶之植之 如導泉而出之山

如養苗而去其稗 然後其盛有不期致而至者 我邦數百年儒他盛

矣苟其源之何自而始 則漸於麗季諸賢有不可誣 盖當麗氏佞佛事神之日

學士大夫不知有吾聖人之學之可尊 而有露堂秋文憲先生

以晦軒安文成之徒 繼文成而敎迪人才 丕興儒學 以漸祛麗氏之陋

而啟韓五百載文治之運 至今竆巷私塾 童幼而挾冊者

無不誦先生所著之心鑑 殆若以是爲小學之階

然讀其書不知其人者 世皆是也 嗚乎 建聖廟刱學校 以闢榛荒

以惠無窮 固安文成之功爲大 而至若三都監五庫七管十二之徒諸生

爲設科條以敎之 俾皆服仁羲之說 習詩書之訓 去佛而就儒

捨邪歧而趨康莊者 顧不繇於先生化導之力歟而 其功如此 其效又如此

顧上不獲配食於兩廡 下不得尸祝於人人 枉先生何憾哉 自知慕先生者

言不能不慨然尒 嗚乎 今之時又非麗季 祇尙竺敎比也 風雨晦盲

百喙爭鳴 昔之儒化 其彬然者索然 燦然者窣然

於是而思先生倡道興學之苦政如坐大廈傾覆之下 想昔日匠心獨運

構千萬間以遺來世者 其規模營度如彼其壯 而今乃岌 焉不支寧下爲之

寒心哉 遠孫鏞禧與其族人 旣爲先生立祠黃山 又圖刊其實記 屬文鈺序之

文鈺幼讀心鑑 見其無所引書目者 往往 而有不知爲誰氏語也

今知爲先生自下語 金條玉科亦何必多乎哉 附以叙述諸作

反鄉省士林之議躋聖廡文字 當時事雖未諧 百世下公議亦可以見矣


노당(露堂) 추적(秋適)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추계추씨(秋溪秋氏)의 입향시조이다. 충렬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안동서기(安東書記직사관(直史館)을 거쳐 좌사간(左司諫)에 올랐다. 1298(충렬왕 24) 환관 황석량(黃石良)이 권세를 이용, 자신의 고향인 합덕부곡(合德部曲: 지금의 충남 당진시 합덕읍)을 현()으로 승격시키려고 할 때, 그 서명을 거부하자 황석량의 참소로 순마소(巡馬所)에 투옥되었다.

뒤에 풀려나와 시랑으로서 북계 용주(龍州)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충렬왕 말년 안향(安珦)에 의하여 발탁되어 이성(李晟최원충(崔元冲) 등과 함께 7품 이하의 관리, 혹은 생원들에 대한 유학교육을 담당하였으며, 한문교양서인 명심보감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민부상서(民部尙書예문관제학에 이르러 치사(致仕)하였다.


露堂先生實記序文

천하(天下)의 이치가 차츰차츰 나아가지 않을 수 없고 성대한 도()가 장차 흥하게 되면 반드시 대인군자(大人君子)가 나타나서 스스로 사도(斯道)의 중책을 자임하고 일으켜 시작하고 도와서 세우게 되나니, 마치 샘물을 인도하여 산곡을 벗어나게 하고 싹을 기르면서 잡초를 제거함과 같다. 그렇게 한 다음이라야 그 성대함이 극치에 이룸을 기대하지 않고도 이르게 되듯이 우리나라 수백년 유도(儒道)의 교화도 성대해 왔었다.

진실로 그 근원이 어디에서부터 왔는지를 거슬러보면 고려(高麗)말기 제현(諸賢)들에 의해 점차 이어져 왔음을 부인할 수가 없을 것이다. 대개 고려조 불교(佛敎)가 성하고 신()을 숭상하던 시기에 있어서 학식이 있는 선비들도 우리의 성학(聖學: 儒道)이 존귀함을 알지 못하던 차에 문헌공(文憲公) 추노당(秋露堂)선생은 회헌(晦軒) 안문성공(安文成公 이름은 )의 제자로서 문성공의 뒤를 이어 인재(人才)를 교육하고 유학(儒學)을 크게 진흥케 되니 고려조의 폐습은 점점 사라지고 우리나라 오백년(五百秊) 문치(文治)의 대운이 열리게 된 것이다.

지금도 궁벽한 시골서당 어디를 가나 어린 아동들이 책을 끼고 다니며 선생이 쓴 명심보감을 외우지 않은 이가 없게 된 것은 어쩌면 이로 인해 소학(小學)의 공부를 닦기 위한 경로를 밟는 것 같다. 그러나 그 책을 읽으면서도 그 저자가 누구인지 모르고 있으며 세상이 모두가 다 그러하니 참 서글픈 일이라 하겠다.

향교를 짓고 학교를 창설하여 황무지를 개척하고 무궁한 혜택을 남기게 된 것은 진실로 안문성공의 위대한 공로였고, 삼도감(三都監) 오고(五庫)와 칠관십이도(七管十二徒) 제생(諸生)의 무리 같은 자에 이르기까지 조목별로 법령을 설립하여 가르치고 하여금 모두 인의의 가르침에 복종하며 시서(詩書)의 가르침을 익히게 하고 불도(佛道)를 떠나 유도(儒道)로 나아가게 하며, 올바르지 못한 외길을 버리고 육방(六方)으로 널리 통하는 길을 따르게 하였던 것은 돌아보건대 선생의 교화와 인도의 힘에 의함이 아니었겠는가?

그 공열이 이와 같고 그 효력도 또 이와 같았으나 돌이켜 보건대 먼저 양무(성균관 문묘나 향교의 대성전)에 배향(配享)되지 못하고 다음으로 축문을 맡은 사람들이나 선생을 스스로 추모할 줄 아는 자가 능히 개연(慨然)하며 탄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 지금 이 시기는 또 고려의 말기가 아니므로 단지 불교와 비교할 때가 아니다. 비바람 몰아치듯 세상이 어지럽고 캄캄하여 모두가 요란함에 지난날 유교의 교화도 그토록 빛나고 찬란하던 것이 흩어져 없어지고 찬연한 그 교화가 이에 졸연히 쇠해지니 당시 선생께서 창도하고 학풍을 일으켰던 고심을 생각하면, 정히 기울어져 가는 큰 집 아래 앉아서 지난날 목수장이가 생각나고 혼자서 운반하여 천만 칸을 지어 가지고 후세에 남겨주는 것 같이 그 규모와 설계가 그처럼 웅장했건만 높은 그 자체를 지탱하지 못하고 쓰러져 간다면 어찌 한심하지 않으랴!

후손 용희(鏞禧)는 그 일가들과 더불어 이미 선생을 위해 황추산 아래 사당을 짓고 또 그 실기(實記)를 인출할 것을 계획하면서 나 문옥(文鈺)에게 서문을 부탁하였다. 나 문옥도 어려서 명심보감을 읽었지만 그 인용한 서목(書目)을 볼 수가 없어서 가끔 어느 분이 쓴 글인 줄 알 수가 없었다.

이제 와서 알고 보니 선생께서 자손을 위해 전할 말이 있었으니 금과옥조(金科玉條)같은 귀중한 문구가 어찌 많음이 필요하랴! 서술한 모든 저서와 향중에서 유림들이 발의하여 성무(문묘나 대성전)에 올린 문자를 부록으로 하였으며, 당시의 사실은 비록 분명하지 않으나 백세(百世) 후에 공론이 있게 되면 또한 가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기해(1959) 4월의 상순 후학 광산(光山) 김문옥(金文鈺)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