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금호 임형수(1514~1547)

금호錦湖 임형수林亨秀(1514~1547)는 병마절도사 임준林畯의 아들로 1514년 나주 송현동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평택이고 자는 사수(士遂), 호는 금호이다. 18세 때인 1532년(중종26) 진사과에 급제하고 1536년(중종30) 22세에 대과인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사국한림 시강원설서를 거쳐 홍문관 수찬으로 있었다.

1537년에 중종이 서울 서쪽 교외에 행차하여 농사일을 시찰하고 망원정에서 시 한 편을 짓게 했는데 병조판서 소세양이 1위를, 임형수가 2위를 하여 임형수는 사서삼경과 말 1필을 하사받을 정도로 문예가 뛰어났다.

그의 시는 허균의 '학산초담'이나 '성수시화'에 실릴 정도로 걸작이었다. 허균은 임형수의 호방한 시를 칭찬하면서 그가 원통하게 일찍 죽은 것을 아쉬워하고 있다. 생전에 호당(湖堂)에서 함께 공부하였던 이황(李滉)·김인후(金麟厚) 등과 친교를 맺고 학문과 덕행을 닦았다.

1538년 호당湖堂에서 사가독서하고 1539년 명나라 사신 원접사 종사관으로 있을 때 그 고상한 인품과 건아발속한 시재는 외국 사신들도 높이 평가하였다.

특히 1542년 임형수의 <유칠보산기(遊七寶山記)>는 3월 15일부터 21일까지의 비와 눈을 무릅쓴 산행 유람기이다. 칠보산은 함북팔경의 하나인데 그 이름에서 보듯 원래 일곱 개의 산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여섯 개의 산은 바다에 가라앉고 이 산만이 남았다는 전설이 있다.

1544년(중종39)에 검상이 되었을 때 중종의 국상을 당하여 대제학 성세창 등 10인과 함께 대행왕의 행장을 짓는데 참여하였다.1545년(인종1) 정3품 당상관인 부제학에 올랐으며 사인이 되어 어명으로 중종의 묘지문과 명나라에 보내는 치적 및 시호를 청하는 대행왕의 시책문을 지었다.

군기사정과 도감랑청으로서 왕릉의 묘역을 감독하였으며 그해 9월 제주목사로 부임하였다가 1년이 다 못되어 1546년(명종1) 명종이 즉위하자 을사사화가 일어나 제주목사로 쫓겨났다가 파직되어 귀향하였다.

1547년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영의정 이기 등의 정권농락을 비난하는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이 생기자 소윤 윤원형(尹元衡)에게 대윤 윤임(尹任)의 일파로 몰려 처음에는 소재 노수신, 미암 유희춘과 함께 절도안치하는 벌이 내려졌으나 벽서사건의 고발자인 부제학 정언각이 문정왕후에게 너무 가볍게 처벌한다는 상소가 있어 자택에서 사사되었다.

홍명희가 쓴 「임꺽정」에 의금부 금부도사가 가져온 사약을 임형수가 받는 장면은 유명하다. 퇴계 이황은 그를 '문무의 재능을 겸비한 호걸남아'라고 하였고 하서 김인후는 국가의 큰 인물이 원통하게 처형된 것을 슬퍼하여 시를 짓기도 하였다.

임형수는 34세로 임종 때 부모님께 하직인사를 드리고 장남 구가 당시 8세였는데 훈계하기를 '글을 안배우면 무식한 사람이 되니 글을 배우되 과거를 보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하였다.

선조 초에는 제일 먼저 을사사화의 억울한 옥사에 대한 원통함을 풀게 하고 구관직이 회복 되었으며 이조판서의 벼슬을 증직 받게 되었다. 사후에는 광산구 임곡동 등임사와 1702년(숙종 28) 나주의 송재서원(松齋書院)에 제향되었다. 정부인 하동정씨와의 사이에 2남 2녀를 두었으며 저서로는 『금호유고』가 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