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회재로

회재로는 전남 나주시 남평읍에서 지석천을 건너 서창방면 좌측 도로에서 바로 시작해 광주광역시 남구 독립로까지 이어진 15.534km 연장의 꽤 긴 도로다. 또 광주에서 나주로 가는 또 하나의 통로이기도 하다.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옛 광이리에서 1번지를 시작하는 회재로를 따라 달리다 보면 먼저 하얗게 무리지어 늘어선 비닐하우스 군락이 눈에 들어온다. 이어 이 길은 충렬공 고경명(忠烈公 高敬命)을 모시고 있는 포충사로 가는 포충길과 고싸움놀이테마파크, 부용정칠석동은행나무로 갈 수 있는 다른 길들과 만난다.
광주 시내에서의 회재로는 바로 이 칠석동에서부터 프라도호텔 위 사거리까지 연결되는 12.98km다.
한적한 국도의 풍경을 담고 있는 이 길을 따라 조금 더 가다보면 용두동 지석묘로 가는 길이 나오고, 연산군이 예뻐했던 후궁의 아버지 우부리를 잡아 장살(杖殺. 죄지은 자를 때려죽이는 사형방법)시킨 조선 중기 문인이며 의인이었던 박상의 호를 따 붙인 눌재로도 나온다.
정감있는 시골풍경은 회재 박광옥이 직접 만들었다는 개산제까지 이어진다. 개산제는 원래 450여년전 회재가 1568년 그의 나이 43세 때 당시 광주 선도면 개산(蓋山), 현재 매월동 회산(懷山)에서 살면서 매월과 벽진마을 주민들의 물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 개산 남쪽의 물을 끌어들여 농사를 짓기 위해 방죽을 막아 개산방죽(介山防築)이라 이름한데서 유래하고 있다.
그런데 1943년 일제강점기 때 보완공사를 하면서 아무런 영문없이 갑자기 전평제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쓰이는 전명제 또는 전평호수의 이름을 개산제 또는 개산호수로 바꾸어야 할 듯 싶다.

회재는 이 방죽에 인공섬을 만들어 수월당을 짓고 기대승(奇大升)·박순(朴淳)·이이(李珥)·노사신(盧思愼) 등과 교유했다. 회재로는 바로 이 조선 중기의 문신인 회재 박광옥을 기리기 위해 그의 호를 따서 지난 2009년 행정안전부 장관이 고시했다.
회재는 1526년(중종 21)에 광주에서 태어나 1593년(선조 26)에 광주에서 생을 마감한 문신이다. 본관은 충청북도 음성(陰城)이다. 1546년(명종 1)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광주 선도면(船道面)에 집을 지어 개산송당(蓋山松堂)이라 이름하고 문하생들과 함께 성리학을 연구하고 향약을 실천했다.
1568년(선조 1) 학행으로 천거되어 내시교관(內侍敎官)에 임명되었다. 1574년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종부시주부가 되었다. 1578년 전라도·충청도의 도사를 거쳐 1579년 예조정랑, 1580년 지평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신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있으면서 고경명(高敬命)·김천일(金千鎰)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고향의 의병도청(義兵都廳)에서 군대의 장비와 양식을 조달했다. 당시 전라감사 이광(李洸)의 무능을 탄핵했으며, 새로 감사에 부임한 권율(權慄)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웠다. 의병 활동의 공로로 다시 관직에 올라 나주목사로 재임하다 운명했다.
1602년(선조 35) 서창 벽진동(碧津洞)에 세워진 의열사(義烈祠)에 제향되었으며, 뒤에 벽진서원으로 고쳐졌다. 운봉(雲峰)의 용암서원(龍巖書院)에도 제향되었다.
개산제에서 회재로는 다시 서부농수산물도매시장, 시청자미디어센터, 서구 신흥개발지역인 풍암1지구, 풍암저수지, 풍암생활체육공원, 풍암2지구 등을 옆에 끼고 지나면서 서우로, 풍금로, 월드컵 서로, 월드컵 동로 등과 만난다.
회재로가 끼고 있는 이들 풍암저수지와 풍암생활체육공원은 이 지역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서 기능을 톡톡히 하고 있다.
원광대 한방병원을 조금 더 지나면 2015년 광주하계U대회 양궁경기가 펼쳐지는 신축 국제양궁장이 나오고, 이 길은 회서로, 군분로와 만나고 헤어지면서 백운광장 고가도로가 시작하는 대남대로를 지나 프라도호텔 위 사거리에서 독립로를 만나면서 끝이 난다.


*수정 2023.11.12. '나주 선도면'을 '광주 선도면'으로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