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개산제(전평호수)

서구 매월동 519-1

옛날에는 개산, 회산마을 사이로 하천이 흘렀다. 각시봉과 백마산에서 내려온 작은 물줄기가 개산을 지나 개산제로 모여 세하천으로 흘러갔는데 개금산의 작은 물줄기도 회산을 거쳐 개산제로 흘러들었고, 학산사 뒷산과 화방산花芳山 물도 매월제에 모여 개산제로 흘러들었다. 이곳 들판의 야트막한 산에서 흐르는 물이 모두 개산제로 흘러든 셈이다. 개산제의 물은 세하천을 거쳐 극락강으로 흘러간다.

개산제(전평호수)는 조선 중기 선조 때의 문신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1526~1593)1568(43)에 당시 광주 선도면 회산懷山마을에 살면서 매월과 벽진마을 주민들의 물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 개산 남쪽의 물을 끌어들여 방축을 만든 것이 시초였다. 원래 명칭은 개산방죽(1879, 1924년 광주읍지)이었다.

현재의 개산제(전평호수)는 개산방축을 1943년에 새롭게 조성한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서구 매월동을 비롯해 벽진동 지역의 농토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재해방지를 위해 축조됐다. 1980년대 들어서면서 농토가 크게 줄어들자 한때 방치됐지만 1999년 국토공원화 시범사업을 통해 수변공원으로 다시 조성됐다.

2005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약칭 공원녹지법)이 전부 개정되면서 저수지는 공원녹지의 범주로 포함됐고, 주제공원의 종류 중 수변공원이 신설됨으로써 공원녹지기본계획에 포함돼 있다. 2006년에 지정된 도시공원이다. 수변공원은 저수지 가운데 인공섬을 사이에 두고 호수를 가로지르는 목교가 설치됐다.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게 한데다 자연생태 탐방까지 가능해져 주민들의 힐링공간으로 자리잡고 있다. 개산제 면적은 46,992, 저수량은 10만 톤에 달하고 있다.

도심 속 작지 않은 규모를 자랑하는 개산제(전평호수)를 건너 만나는 공간이 수월당水月堂이다. 수월당은 저수지 서편 고목을 옆으로 하고 자리하고 있는데 회재 박광옥이 선비들과 나라를 걱정하면서 후학들을 가르쳤던 8각 정자였다. 세월이 흘러 퇴락한 정자를 서구가 복원했다. 이 정자에서 회재 박광옥이 기대승, 고경명과 고경순, 이일원, 이군현 등과 시회詩會를 열고 음풍농월을 즐겼다. 시회와 함께 성리학을 연구하는 장소로 이용됐다.

이곳은 마을 앞산인 백마산白馬山과 뒷산인 개금산蓋金山이 위치해 있어 산행을 즐길 수도 있다. 백마산은 단순히 도심에 놓인 하나의 산이 아니다. 조선시대에는 이 산 위에서 김세근 장군이 의병들을 모아 왜적에 대항하는 훈련을 했던 곳이다. 양진여.양상기 부자 의병장 묘소도 이곳에 자리해 있다.

이런 유서 깊은 역사적 자취가 서린 공간에 자리한 개산제(전평호수)에는 호수 가득한 연꽃과 빨간 빛깔이 더욱 아름답게 눈에 맺히는 배롱나무들, 그리고 모정과 정자가 설치돼 있어 옛 선현들이 구가했던 시회나 음풍농월 한 토막을 실현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매우 외진 곳은 아니지만 도심생활에 지친 시민들이 잠시 쉬었다 갈 수 있는 공간으로 손색이 없다. 옛 선비들처럼 1020분 정도 공원 한 바퀴를 돌면서 느림의 삶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개산제는 마을 앞 방죽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옛 이름을 찾아 역사적 가치를 복원하는 동시에 대동고등학교와 살레시오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는 만큼 각종 음식점과 커피숍, 그리고 빌라 등이 난맥상을 보이지 않도록 서구가 세심하게 신경을 써서 정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정 2023.11.12. '나주 선도면'을 '광주 선도면'으로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