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송파 김해김공 유인 밀양박씨 효열비

광주시 남구 진월동(노대동) 노대마을

1914년

노대마을 앞에 송파 김경두(松坡 金炅斗)의 처 밀양 박씨의 효열(孝烈)을 기념하는 비가 있다.

효덕동 노대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으며, 비문의 내용은 송파 김경두와 그의 부인 밀양박씨의 효행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비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직 효(孝)와 열(烈)은 삼강(三綱) 가운데 첫번째요 두 효자와 열녀(烈女)가 한 가문에서 배출하고 부부(夫婦)가 겸하였다는 것은 옛날부터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일이다. 풍속을 바로 세우는데 일조(一助)가 되도록 하는 것이 마땅할진데 지금까지 효열사례가 어둠에 묻혀 있으니 어찌 이 세상에 개탄스러울 일이 아니겠는가,
김공(金公)의 이름은 영두(霙斗)요 자는 중집(中集)이며 아호는 송파(松波)로 가락국 수로왕의 후손이다. 절효선생(節孝先生)은 그 가문의 중조(中祖)요, 탁영선생(濯纓先生)은 덕업과 문장이 뛰어난 분으로 공의 9세조(九世祖) 되는 분이다.
증참의(贈參議)이신 현상(顯祥)과 증한성판윤이신 재선(再善)과 증사복시정필 등 세 분은 공의 고조, 증조와 조부되는 분들이요 아버지의 이름은 창섭(昌燮)이고 어머니 광산이씨의 아버지는 광식(光植)이다. 벼슬이 통정대부이신 창익(昌益)과 숙부인 밀양박씨는 생가집 부모님이다.
1812년 3월 10일에 태어난 공은 어려서부터 재주가 총명하여 일찍이 학문을 이루었다. 효심으로 부모님을 봉양하였고 양아들로 들어와 양부모 섬기기를 생가 부모님을 섬기듯 하여 병석에 눕자 늘 간호하였고 양부모님의 똥맛도 보았으며 자신의 손가락 피를 흘려 환을 지어 먹게 할 때 반드시 먼저 맛을 보았다. 초상을 만나서는 간장 등 채소를 먹지 않고 곡성이 끊기지 않았으며 움막에서 3년 복을 마쳤다. 그 뒤에도 성묘를 하고 사당에 절을 하며 자신을 닦아 가정을 바르게 하였다.
부인 밀양박씨의 아버지 이름은 세정(世貞)이니 문헌공(文獻公)이신 영균(永均)의 후손이다. 1811년에 태어난 부인은 친정에 있을 때에도 효녀로 알려졌으며 출가하여서는 효성으로 시부모를 섬겼고 예의로 남편을 섬겼다. 남편께서 기이한 병마를 만나자 치료하는데 약을 쓰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결국 남편이 일어나지 못하고 죽으니 그 뒤를 따라 가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샘물에 몸을 던지려 하기도 했고 혹은 목을 매려 하기도 했으나 그때마다 가족들의 구원이 있었다.
부인은 남편의 시신을 거두는 일과 장례 치를 일을 몸소 준비하여 가족들에게 믿음을 주었으며 얼굴에 슬픈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시어머니까지도 자기를 잘 봉양해 줄 것을 믿고 부인의 태도 감시가 조금 풀어졌다. 장례를 마친지 7일 뒤에 조용히 침실에 들어가 남편의 옷을 둘러쓰고 남편의 허리띠로 목을 메었다. 뒤늦게야 가족들이 깜짝 놀랬으나 구원할 길이 없었으니, 즉 1840년 5월 15일이며 나이는 겨우 30이요, 노대실 남쪽 석림등에 오좌(午坐)로 남편과 함께 장사하였다.
딸 하나를 생산했는데 성장하여 황추인(黃秋仁)에게 시집갔으며 조카 용순(容淳)도 뒤를 이었고 마을 또는 군민 도(道) 유림 등이 서로 교대하여 그 부인의 효열을 천거하였다. 아~ 요즈음 관리들 가운데 글공부를 하여 의리(義理)를 안다고 하는 대신(大臣)이라는 것들이 임금을 속이고 나라를 팔아먹었다. 여자들은 규방에서 성장하였기에 옛날부터 여인들의 절행(節行)이 간혹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제 부인의 효열을 표출(表出)하기 위해 모든 가족이 힘을 합해 비석을 세우려고 상기(相基)를 나에게 보내어 비문을 요청하였다. 그의 요청을 거역하지 않았다.
기우만(寄宇萬) 엮음, 1914년 9월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