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임정마을 벅수

광주시 남구 임암길 183 인근

임정마을벅수


임정마을에는 벅수 2기가 있는데, 마을앞 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있다. 임정마을 앞에는 행림마을과 포충사 사이로 국도1호선이 관통하고 있고 이 길을 통해 대촌동 주민들도 시내 출입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는 광주시내와 대촌동간의 길은 주로 벅수가 서있는 이 마을의 뒷길을 주로 이용했고, 이 때문에 임정마을은 속칭 ‘들머리’라는 별칭으로도 불려왔다.
대촌 쪽에서 보면 좌측에 할멈벅수, 우측에 영감벅수가 서있다. 영감벅수가 서있는 곳은 마을쪽으로 남쪽에 해당된다. 벅수의 크기는 높이 300cm로 전면에 ‘天下大將軍’이란 글귀가 양각되어 있고 소나무의 뿌리를 이용하여 머리를 장식한 봉두난발형이다. 할멈벅수는 가죽나무 기둥 속을 이용하여 제작했는데 크기는 295.5cm로 전면에 ‘地下女將軍’이라고 양각되어 있으며, 벅수의 머리부분은 이 벅수의 여성성을 상징하기 위해 민머리형으로 되어 있다.
이 벅수들은 1990년대 중반에 만들어 세웠던 것이 부식되자 2001년 3월 3일 추진위원회(번영회)가 주관하여 다시 제작하여 세웠다. 제작자는 이 마을 사람들로전정명(남, 65세, 번영회장), 김용연(남, 64세), 이재수(남, 54세), 전권섭(남, 43세) 씨 등이다.
할멈벅수 앞에는 설명판을 설치해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있는데, 벅수를 세우게 된 동기를 풍수지리적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 마을의 지형은 오공복지(蜈蚣伏地), 즉 지네가 수풀 속에 엎드리고 있는 형국이다. 지네의 상극은 닭이고 닭이 비치면 마을에 큰 재앙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닭의 방향(酉方)인 서쪽에 나무를 심어 숲을 가꾸고 장승을 세워 기를 다스림으로써 마을의 살과액을 막고자 하였다고 한다.
실제로 장승이 서 있는 서쪽에는 방풍림(防風林)을 겸한 비보림(裨補林)으로 소나무와 팽나무 수십 그루가 서있다.
1990년대 초에 세워진 장승의 영감벅수는 불에 탄 흔적이 있으며, 눈의 한 부분과 이마가 결실되었다. 턱과 코 부위는 수염을 조각하고, 입은 이빨이 서로 엇물리게 조각하여 야무진 인상을 주도록 표현하였으나 눈은 비례를 알맞게 치켜 올려 무서움이 덜하게 되어 있다. 맞은편의 목장승도 동일인의 작품으로 보이며 재료에 비해 코를 유난히 크게 조각하였으며 이빨도 서로 엇물리게 표현하였다.
조사 당시만 해도 이 마을에서는 매년 장승제를 지냈으며, 이 곳 장승의 기능 역시 이정표, 마을간의 경계 표시 이외에 마을의 재액을 막아주는 수호의 기능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임정마을의 벅수제는 매년 모시는데 마을민의 질병방지와 농사의 풍년 등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원래는 현재 임정슈퍼마켓 옆에 당산나무 2그루(귀목나무, 버드나무)가 있어서 당산제를 지내고 벅수제도 함께 지냈으나 당산나무가 고사한 이후로 당산제는 지내지 않고, 지네명당의 거센 기운을 누르기 위해 벅수제만을 독립적으로 지내고 있다.
벅수제도 1970년대초에 젊은 사람들이 ‘미신타파’라는 명목으로 땅에 묻어버려 몇 해 못 모시다가 마을의 단결을 도모하기 위하여 1987년 벅수를 다시 세우면서 부활되었다. 당산제를 지내던 과거에는 정월 보름날 저녁에 지내다
가, 1987년 이후 음력 2월 1일 지냈다. 1993년에는 정월 15일 낮에 모셨는데 최근에는 다시 음력 2월 1일 낮 11~12시에 지내고 있다.
정월 초순에 제관, 축관, 화주 등 제관을 선정하고, 돈이나 쌀로 호구전을 걷어 경비를 마련한다. 근래에는 마을사람들이 벅수에 걸려 있는 금줄에 돈을 끼워 놓고 각자의 소원을 비는데 이 희사금으로 제비를 충당한다. 제물은 두 벌을 준비하는데 돼지머리, 떡(백설기), 북어, 삼실과, 삼채, 막걸리, 탕, 초와 향 등이다.
제의 시간이 가까워지면 벅수 주변과 마을 앞길에서 굿을 쳐서 제의 시작을 알리는데, 이 무렵 화주댁에서 제물을 가지고 나와 진설한다. 제는 영감벅수에서 먼저하고 할멈벅수로 제상을 옮겨서 모시는데 약 30분 정도 진행된다. 제관의 복장은 평상복을 깨끗이 세탁하여 입는다.
제의 절차는 유교식으로 설상 - 초헌 - 독축 - 아헌 - 종헌 - 일동재배 - 소지- 헌식의 순서이다. 이 마을에서 특이한 것은 여성이 종헌관으로서 제의에 참여하며 잔을 올리고 소지를 담당한다는 것이다. 또한 제를 모실 때 벅수에 감아놓은 금줄에 마을사람들이 돈을 끼워 희사하는데, 이 돈을 ‘복돈’이라고 한다. 헌식은 제물을 약간씩 덜어 짚을 놓고 벅수 부근에 놓아두고 명태는 벅수의 금줄에 묶어 놓는다.
옛날에는 제를 지낼 때 마을 앞을 지나지 못했으며 혹 지날 때는 통행세를 내야만 했다고 한다. 제가 끝나면 술과 음식을 동네사람들이 나누어 먹고 놀며 공동샘에 가서 굿을 친다. 옛날에는 샘굿에 이어 마당밟이를 하고 공동샘을 기준으로 우데미와 아랫데미로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