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봉강재

청주한씨 봉강재鳳岡齋는 광주시 광산구 서봉동에 있다. 호남대에서 영광쪽으로 조금 가다보면 오른쪽으로 서봉마을 들어가는 곳에 봉강재 입구 석비가 보인다.

봉강재는 청주 한씨 제학공 한사기(提學公 韓謝奇, 1257~ 1314)의 재실이다.  건물은 정면4칸, 측면1칸의 한식기와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고당 김규태(顧堂 金奎泰 1902~1966)가 건물 기둥의 주련을 써 그가 활동했던 시기로 보아 그리 오래되지 않은 건물로 보인다.

한사기는 고려 후기의 문신(文臣)이다. 아버지는 문혜공(文惠公) (: 初諱 璟)이요, 조정대부행예빈경(朝正大夫 行禮賓卿)에 금자 광록대부 수사공 좌복야(金紫 光綠大夫 守司空 左僕射)에 추증된 광윤(光胤)의 손자이다. 고려사약전(高麗史略傳)에 있는 유사(遺史 : 史蹟)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고려사(高麗史)에 간략히 적었으되 충열왕(忠烈王) 원년(1275)6새로 禿魯花(두루아치 : 즉 중국어로 인질을 말함)를 선정하는데 3계급을 특진발령한 관직을 주어서 보내기로 하였다. 도교서령(都校署令)에 임명된 한사기(韓謝奇)는 강()의 아들이요, 추밀 이분희(樞密 李汾禧)의 사위니, 나이 20 미만으로 품계(品階)를 초월(超越)해서 八品에 배명(拜命)하게 되었다.

충렬왕 53에 대방공 철(帶方公 澈)을 파견(派遣)하여 두루아치를 인솔하고 원나라에 들어가게 하니 김방경(金方慶)의 아들 흔()과 원전(元傳)의 아들 정()과 박항(朴恒)의 아들 원타()와 허공(許珙)의 아들 평()과 홍자번(洪子藩)의 아들 순()과 한강(韓康)의 아들 사기(謝奇)와 설공검(薛公儉)의 아들 지충(之沖)과 이존비(李尊庇)의 아들 우()와 김주정(金周鼎)의 아들 돌() 등으로서 문벌 좋은 집 자제(子弟)25인이라 모두 3등급을 월등(越等)하여 관직을 주어서 보냈다.

문혜공 본전(文惠公 本傳)에 간략히 적었으되 아들 사기(謝奇)는 벼슬이 간의대부(諫議大夫)에 이르렀고 아들 악()과 영()이 있다. 처음에 사기가 두루아치로 선발되어 가족을 인솔하고 원나라에 들어가니 영()은 어려서부터 황도(皇都)인 장안(長安)에서 성장하게 되었고 인종황제(仁宗皇帝)에게 사사(仕事)하여 벼슬이 하남로총관(河南路摠管)에 이르렀다. ()이 이렇게 영달(榮達)함으로써 아버지 사기에게 한림직학사 고양현후(翰林直學士 高陽縣侯)로 사직하였다.

홍규열전(洪奎列傳)에 간략하게 적었으되 충열왕이 양가(良家)의 예쁜 여자를 선발하여 원나라의 황제에게 바치려고 하는데 추밀부사 홍규(樞密副使 洪奎)의 딸도 마침 선발되어 대열 속에 있었다. ()가 한사기(韓謝奇)에게 이르되 나는 내 딸의 머리를 깍아서 이번 選出하도록 할까 하는데 어떠할지요하니, 사기(謝奇)가 그러면 그 화()가 귀공(貴公)에게 미칠까 두려우니 그렇게 하지 말라고 만류하였으나 규()가 듣지 아니하였다 한다.

가정 이곡(稼亭 李穀)이 지은 정혜공 영(正惠公 泳))의 행장(行狀)에는 아버지 사기(謝奇)는 본국(本國)에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하여 벼슬이 조정대부우사의대부지제고(朝靖大夫右司議大夫知制誥)에 이르렀다. ()의 영달(榮達)하여 한림직학사아중대부경차도위(翰林直學士亞中大夫經車都尉)로 여러 차례 증직(贈職)을 받았다. 고양후(高陽侯)에 추봉(追封)되었으니 어머니 채씨(蔡氏)와 정씨(鄭氏)는 모두 고양군부인(高陽郡夫人)으로 추봉되었다.

鄭氏所生이다. 처음에 本國에서 세도(勢道)집 자제들 중에서 질자(質子 : 인질)를 뽑아 보내는데 의 부친이 역시 선출된 인질 중에 있었으므로 드디어 가권(家眷)을 인솔(引率)하여 왔다고 하였다. 공의 묘소(墓所)는 임진왜란(壬辰倭亂) 후에 실호(失護 : 잃어버림)되었다가 다시찾았다고 한다. 특징(特徵)은 고려장의(高麗葬儀) 표본(標本)으로 四角 長方形의 석장(石杖) 호석(護石)의 분묘(墳墓)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