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지어재(志於齋)

광산구 삼도동 도림마을

지어재(志於齋)는 조선 영조때 광산에 살던 동강처사 오대하吳大夏(1677∼1743)가 강학터로 지어 지냈던 곳이다. 지어(志於)는 논어 술이(述而)편에 “도에 뜻을 두고, 덕을 굳게 지키며, 인에 의지하고, 예의 세계에서 노닐어야 한다.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는 공자 말의 의미를 담고 있다.
나주목읍지(羅州牧邑誌)에 '在官門北三十里三加面吳大夏 詩 天將一理賦斯人'라고 전하고 있다. 삼가면(三加面), 도림면(道林面)은 삼도면 일원으로 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 해당한다.

원래 지어재는 이 마을에 살았던 동강처사 오대하(1677-1743, 오이익의 손자)가 건립했다. 주민들은 이곳을 보통 강당이라고 부른다. 여러 문인들이 모여 한학을 공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도림강당이라고도 불렸다. 고종 11년 오이익의 문집인 석문집(石門集)을 간행한 일이 있는데 이 문집의 간행처가 도림강당으로 돼 있어 이렇게 불렸다. 이후 노인들의 휴식처로 쓰이다 인근에 노인당이 들어서면서 사용처를 놓고 고심중이다.

오대하는 나주오씨(羅州吳氏)로  자는 관보(觀甫), 호는 동강(東岡),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1677년(숙종 3) 나주 도림리(道林里)의 집에서 붕석(朋錫)의 3남 중 막내로 태어났으나 8세 때 부친을 여의고 숙부를 아버지처럼 받들어 섬겼다.
일찍이 우암 송시열 문도인 그의 훈도 아래 날로 학문에 전념하여 16∼17세에 이르러서는 글에 막힘이 없었다. 1698년(숙종 24) 숙부의 아들 오대준吳大濬과 함께 농암農岩 김창협金昌協(1651∼1708) 선생을 찾아 수학하였는데 농암은 그의 자질을 높이 여겨 늘 글을 보내 문의文意를 토론케 하고 면학에 힘쓰도록 하였다.
1700년(숙종 26) 모친상을 당하고 그 후에도 학문을 폐하지 않고 학업에 뜻을 두었으나 때를 얻지 못하고 고향에 머물며 학문을 궁구하였다. 그러다가 1721년 이미 선거한 농암선생의 형인 김창집金昌集이 이이명李頤命 등과 함께 왕제 연기군延祁君을 받들어 세제弟)로 삼았으나 류봉휘柳鳳輝 등 소론파의 반대로 그 해 12월 거제에 유배되었다가 그 다음해 5월 사사賜死된 세화世禍가 발생하자 문을 걸어 잠그고 벼슬을 포기하고  동강東江이라 하고 시주詩酒로 세월을 보냈다.
그는 윤선尹善의 도강정(途中望見尹善道江亭想與君山會遊比亭捉魚作羹今其事跡歷歷如昨日而君山已作泉下人不勝悵然傷心馬上聊成小吟), 정읍 유상대( 與仲深同行至泰仁古縣內崔孤雲流觴曲水臺相酬唱), 화순 적벽(遊於福川赤壁賦絶句聞而次之) 등에서 시를 남겼다
그의 후손으로 1905년 을사늑약을 당하여 오적을 처단하자고 주창하고 의병에 참여하고 일제강점기 망국한 백성으로 분수 밖의 은사금을 거절한 지식인  오계수吳繼洙(1843∼1939)와 근대전환기에 광주 광산지역을 중심으로 성리학자로 활동하였던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1851∼1931) 등이 지어재에 들려 시(志於齋與梁汝慶(相賀)唱和, 志於齋與李享仲(鍾宅)小話)를 남겼다.
그들과 근친했던 구한말 항일의사요 의적이라고 불렀던 조선 말기의 의병장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1846~1916)이 들려 송사집 권1에 시(後石吳德行 駿善 以其叔祖東岡公志於齋原韻寄示 因命追和)를 남겼다.

吾道分明不遠人

遠人爲道道非眞

霽月光風離俗累

開花敷葉見天仁



孔壁藏書時習習

湯盤有水日新新

顧名百世指南在

信及何難志處臻


1958년 오대하의 6대손 오구선吳龜善과 7대손 오철수吳喆洙 등에 의해 편집·간행한 《동강유고東岡遺稿》2권2책이 있다. 권두에 송재성宋在晟의 서문, 권말에 오철수의 발문이 있다.


主人吳大夏詩
天將一理賦斯人 隨處道存箇箇眞 着意看來方識妙 及躬行去何成仁
磨礱不輟時時習 講討惟救日日新 居此堂能勉此義 終期尋向聖門臻

聖訓分明啓後人 布於方策語皆眞 一開卷使知道大 着心詩易體天仁
讀必精深功漸熟 悅如芻豢味方新 此道政爲講劘設 冀有良朋自遠臻

人若欲爲君子人 要先養得性情眞 天君泰後無形役 物慾消來有是仁
理拆絲毫明始盡 身遵規矩德方新 勉君弩力事斯語 希聖希賢自有臻

/호남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