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만귀정/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호(1984. 2. 29.)

서구 동하길 10(세하동)

만귀정晩歸亭은 흥성 장씨의 선조인 효우당孝友堂 장창우張昌雨(17041774)가 학문을 가르쳤던 옛 터에 후손들이 그의 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일제강점기 정자이다. 원래 건물은 소실됐으나 1934년에 다시 중건됐고, 1945년에 고쳐지었다. 앞면 2, 옆면 2칸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팔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시문과 만귀정을 포함한 현판 23개가 걸려 있다.

만귀정은 큰 연못에 세운 정자로 다리를 사이에 두고 습향각襲香閣과 묵암정사墨庵精舍가 한 줄로 늘어서 있다. 중건상량문을 비롯해 중건기, 중수기, 만귀정원운晩歸亭原韻과 만귀팔경 등의 시문현판이 걸렸다.

그 중의 이곳 풍광을 이야기하는 효우당 장창의 시문 한편을 읖어본다

만귀8

瑞石明月(무등산에는 밝은 달이 떠 있고)

龍江漁火(황룡강에는 어부들의 불빛이 있네)

馬山淸風(백마산에는 맑은 바람 산들거리며)

樂浦農船(낙포 농장에는 농사를 위한 배가 오간다)

漁燈暮雲(어부들의 등불에 저녁 구름 피어나고)

松汀夜雪(송정에는 흰눈이 밤을 밝히며)

錦城落照(나주 금성산에는 아름다운 저녁 노을)

野外長江(들 밖에는 길고 긴 강물이 흐르네)

만귀의 유래는 효우당이 자신의 늙은 인생을 자연과 더불어 보내겠다는 영귀詠歸의 뜻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1934년 고광선이 쓴 중건기에는 그 이름을 만귀라 한 것은 만년에 이곳에서 노닐며 한가히 풍류를 즐긴다고 밝히고 있어 만귀의 정확한 어원을 짐작할 수 있다.

1750년경 극락강이 바라 보이는 곳에 초당이 있었다.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나 아쉽게도 소실됐다. 이것이 만귀정의 시초였다. 옛터에 후손들이 그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1934년에 연못(4600)을 파고 인공적으로 동산을 만들어 중건했다. 고광선이 만귀정 중건기를 작성한데 이어 같은 해 이병수李炳壽가 상량문을 기록했다. 중수기는 1945년에 후손인 묵암默庵 장안섭張安燮이 기술했다.

특히 자연경관이 뛰어난 경내의 만귀정시사창립기념비晩歸亭詩社創立記念碑를 통해 당대 시인 묵객들이 방문해 시를 짓는 등 풍류와 한시 활동이 전개됐음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박장주를 중심으로 만귀정시회晩歸亭詩會라는 선비들의 모임 장소로도 활용된 곳이다.

습향각은 1940년 장창우의 7세손인 묵암 장안섭이 연못 중앙에 사방 1칸으로 지은 정자로 연꽃향기가 엄습해 온다는 뜻을 담고 있다. 마당에는 왕버들 나무가 우거져 있다.

가장 안쪽에 있는 묵암정사는 사방 한 칸의 팔작지붕으로, 송정읍장을 지냈던 장안섭의 덕행을 기려 1960년 광산군민과 친척, 친지들이 성금을 모아 건립했다.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건너가는 다리 옆에 한 쪽은 취석醉石, 다른 쪽에는 성석醒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석재가 놓여 있다. 이 글의 의미는 들어갈 때는 술에 취하더라도 나올 때는 술에 깨어 나오라는 것이다. 이곳 습향각의 의미에 따르면 들억달 때는 연꽃 향기에 취하고 나올 때는 연꽃 향기에서 깨어 나오라는 의미가 더 맞다고 하겠다.

만귀정에서 습향각으로 들어가는 목교에는 큰 나무가 길을 가로막고 있어 허리를 숙여 통과해야 했다. 2020년 가을 광주 서구청에서 만귀정 환경정비사업을 하면서 세 개의 정자를 가로 지르는 두 개의 나무 다리를 석조로 새로 만들었다. 정자의 운치와 어울리지 않아 다소 안타까움이 있다.

(벚꽃)과 여름(창포꽃), 가을(상사화), 겨울(설경) 등 사계절과 조화가 잘 이뤄져 서구 8경 중 한곳으로 꼽힌다. 작지만 아름다운 풍경 때문에 신성일 윤정희 허장강 등 한때 스크린을 호령했던 스타들이 총출동했던 영화 꽃상여탈선 춘향전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인동장씨 문중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으며 전 조선대 교수인 시인 김종金鍾(1948~ )은 만귀정을 이렇게 노래했다.

그대 기다리는가
세상의 불빛 모아
호수가 손수 등불 걸어둔 자리
늦은 밤 귀가하는 주인을 반색하며
낭랑한 목소리로 글 읽는 물소리를.

그대 듣는가
손잡고 얼굴만 바라봐도
꽃대궐 차려놓고 환하게 웃는 집
집 하나를 악기처럼 껴안고 연주하면
햇빛 푸른 등지느라미로 떠다니는 노래를.

그대 보는가
눈동자 맑은 연못의 몸
구름 탄 하늘이 꽃을 달고 내려와
허공의 갑사댕기 꼬리 사이로
우리 사랑 쏟아지게 날아오르는 꽃그늘을.

Tag #습향각# 묵암정사# 장창우# 장안섭# 김종#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