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조태기를 광주 목사로 삼다 - 영조 3년

이비와 병비의 관원 현황과 계 및 관직 제수 내용 - 영조 3년 정미(1727) 8월 25일(무신) 맑음      


정사가 있었다.
이비(吏批)에, 판서 오명항(吳命恒)은 나왔고, 참판 정제두(鄭齊斗)는 지방에 있고, 참의 조문명(趙文命)은 패초에 나오지 않았고, 행 도승지 김동필은 나왔다.
이비가 아뢰기를,
“좌의정 조태억이 이미 체차되었으니 치처해야 할 바입니다만 본조(本曹)에는 상당하는 자리가 없으니 규례대로 송서(送西)하도록 하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또 아뢰기를,
“방금 동부(東部)의 첩정(牒呈)을 보니, ‘주부 이시휘(李時輝)가 신병이 매우 중하여 직임을 살필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개차(改差)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한다고 전교하였다.
또 아뢰기를,
“경상 좌도 경차관(慶尙左道敬差官) 이정응(李挺膺)의 정장(呈狀)에 ‘노모의 올해 나이가 칠십인데 이질 증세까지 겹쳐 현재 시름시름 앓고 있으니, 이런 정리로는 결코 천리 영외(嶺外)로 곁을 떠나 있을 수 없습니다. 속히 입계(入啓)하여 처치해 주시기 바랍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부모의 병이 이와 같이 위중하니, 억지로 멀리 부임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개차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한다고 전교하였다.
조태기(趙泰耆)를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최창민(崔昌敏)을 능주 목사(綾州牧使)로, 윤혜교(尹惠敎)를 홍주 목사(洪州牧使)로, 민기(閔圻)를 남평 현감(南平縣監)으로, 조덕린(趙德鄰)을 사간으로, 강현(姜鋧)을 예문관 제학으로, 이세주(李世柱)를 서천 군수(舒川郡守)로, 이정빈(李廷彬)을 태안 군수(泰安郡守)로, 이경백(李景白)을 비인 현감(庇仁縣監)으로, 이두삼(李斗三)을 결성 현감(結城縣監)으로, 김익겸(金益謙)을 남포 현감(藍浦縣監)으로, 양성시(梁聖時)를 화순 현감(和順縣監)으로, 조상강(趙尙綱)을 임실 현감(任實縣監)으로, 유업기(兪業基)를 동복 현감(同福縣監)으로, 이한좌(李漢佐)를 창평 현령(昌平縣令)으로, 신벽(申璧)을 구례 현감(求禮縣監)으로, 이동필(李東弼)을 곡성 현감(谷城縣監)으로, 유득장(柳得章)을 예조 좌랑으로, 신치운(申致雲)을 부교리로, 임수적(任守迪)을 병조 좌랑으로, 이정수(李廷秀)를 동부 주부(東部主簿)로 삼았다. 이일서(李日瑞)를 학유(學諭)에 단부하였다. 연천 현감(漣川縣監) 권성징(權聖徵)과 과천 현감(果川縣監) 유우기(兪宇基)를 서로 바꾸었다.
병비(兵批)에, 행 판서 심수현(沈壽賢)은 병이고, 참판 이익한(李翊漢)은 병이고, 참의 서명연(徐命淵)은 말미를 받아 지방에 있고, 참지 김계환(金啓煥)은 나왔고, 좌부승지 조최수는 나왔다.
병비가 아뢰기를,
“방금 수문장청(守門將廳)의 첩보(牒報)를 받아 보니, ‘수문장 최태항(崔太恒)이 본청(本廳)의 허참례(許參禮) 때에 가부(可否)를 묻는 절차에서 연이어 세 번 통과하지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최태항을 전례대로 태거(汰去)하고, 그의 천주(薦主)인 수문장 정진복(鄭震復) 또한 파직하여 잘못 천거한 죄를 징계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윤허한다고 전교하였다.
또 아뢰기를,
“의정부 좌의정 조태억을 송서하도록 명을 내리셨습니다. 품계대로 치처해야 할 바입니다만 영중추부사 한 자리를 다른 대신이 현재 맡고 있으니, 전례대로 좌목(座目)에 따라 판중추부사에 하비(下批)하겠습니다. 감히 아룁니다.”
하니, 알았다고 전교하였다.
병비가 조태억을 판중추부사로 삼았다. 양정호(梁廷虎)ㆍ정필령(鄭必寧)을 부호군에, 이저(李著)를 부사직에, 성덕윤(成德潤)을 부사과에 단부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