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정화 군수와 보성보

보성보寶城洑는 옛날에 보성군수를 지냈던 정화鄭和 군수가 지금의 광주 화정동 일대에 만들어놓은 보를 말하지요. 서구 화정2동 광주은행 화정지점 옆 자리는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조그만 수문이 있었습니다.

이곳을 가로질러 보성보라 불리는 일종의 방죽이 있어 인근에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요. 허허벌판 농지였을 적에 보성보가 있었기에 큰 어려움 없이 이 일대 농사짓기를 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인근 농성동과 화정동 일대는 보성보의 덕을 많이 봤지요. 나중에는 농성보農城洑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는 것이 광주읍지에 나와 있어요. 그런데 광주 땅 안에 보성이라는 지명이 있어 세인들의 관심을 일으킬만 하지요.

정화 군수가 군수직을 마치고 광주로 이사와 사패지賜牌地(나라에서 내려주던 땅)를 받아 보성보를 만들었습니다.

"사연은 이렇지요. 보성 출신의 군수가 보를 만들었다 하여 보성보라는 이름이 자연스레 붙여졌고 지금에까지 이르게 됐지요. 어떻게 해서 보성군수가 광주에 보를 지었냐 하면 군수직을 마치고 사패지를 받아 광주로 이사 왔는데 농사를 지으려고 보니 물막이가 없어서 어려움을 겪게 되자 할아버지 때부터 배운 보를 만들었지요."

정화 군수는 조선 초기 벼슬길에 올랐다가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영향으로 음사蔭仕로 성종 때에 보성군수(1472~1477)로 특채되면서 처음 보성에 입향入鄕하게 되었습니다. 음사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특권신분층인 공신, 양반 등의 신분을 우대하고 유지하기 위해 친족, 처족 등의 음공에 따라 그 후손을 관리로 채용하는 제도로 음서蔭敍, 즉 과거에 의하지 않고 특별히 서용하는 제도입니다.

정화 군수는 보성군수로 발령이 나자 두 동생인 정직鄭稷 및 정세鄭稅와 같이 보성읍 구계동에 입향했습니다. 정화 군수는 재임 중 수많은 선정을 베풀었는데 교육의 중심지였던 향교를 현재의 장소로 이축했을 뿐만 아니라 용문지언龍門池堰과 도개제언道開堤堰을 축조해 인근 농지가 대대로 겪어온 가뭄을 해갈하는 데 큰 기여를 했고, 면화 재배를 시도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정화 군수는 부임 첫 해에 당시 대한大寒의 해가 겹쳐 지역농민들이 어려움을 겪자 육방관속六房官屬(이방 호방 예방 병방 형방 공방)의 민폐 근절을 비롯해 잘못된 관행과 제도의 개선, 주을정注乙井이라는 샘을 파고 둑()를 막고 제언을 축조했으며 군민을 진휼하는데 힘을 쏟았지요.

부임 이듬해에는 지역민들에게 감초 재배를 권장하고 왜구 침입을 막기 위해 병기 확충과 성채 및 오봉산성을 축조했으며, 3년째는 면화의 적지재배를 장려하고 쇠락한 향교를 중창해 학문을 진작시키는 등 지역의 경제와 학문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습니다.

정화 군수의 청백리라는 칭호는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아닌가 싶었어요.

"정 군수는 할아버지 때부터 청백리로 유명했지요. ‘성종실록에 따르면 정화 군수는 재임 중 엄격한 청백리로 군정을 처리하자 몇몇 군의 녹봉을 받는 관리들이 부수입이 줄어든 것에 앙심을 품었다고 해요. 그래서 아전 2명이 병권을 다루는 신표인 발병부發兵符를 절취, 은닉해두어 군사동원훈련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어요. 이 때문에 국가에서 군사훈련에 참가하지 않은 죄를 물어 의금부에서 곤욕을 치룬 적이 있었지요. 하지만 나중에 그 사실이 무고로 밝혀져 풀려나고 아전 2명은 벌을 받았다고 해요."

나중에 보성 군수를 지내다가 무고의 사실이 밝혀져 옥살이를 면한 뒤 벼슬에 뜻을 접고 나라로부터 광주 화정동 인근의 땅을 사패지로 받아 광주로 입향을 하게 됐습니다.

특히 정화 군수는 만 5년을 보성군수로 재직하면서 1477(성종 8) 2월에 임금께 아뢴 수령칠사守領七事를 실천했지요. 그 수령칠사란 농상성農桑盛, 호구증戶口增 , 학교흥學校興, 부역균賦役均, 사송간詞訟簡, 간활식奸猾息 등이었지요.

사패지로 받은 땅 가운데 일부는 농지로 쓸 만한 땅이 있으나 상당 부분 농지로 쓰기에는 물이 부족한 실정이었는데 정화 군수는 농사직설을 엮은 정초의 영향을 받아 어릴 때부터 효율적인 농사짓기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른들로부터 배운 방죽 만들기와 다리 만들기에 힘을 쏟았는데 그 노력으로 보성보와 보성다리라는 성과를 낸 것이죠.

보는 논밭에 물을 대기 위해 하천에 둑을 쌓아 만든 저수시설을 말하는데 전통적인 농업 국가였던 우리나라에서의 치수治水는 국가 주요정책의 하나였기 때문에 정화 군수의 치수야 말로 귀감이 되고도 남았죠.

보성보는 농성동과 화정동의 인근 야산이 있어 이를 설치하는 데 최적의 입지조건이었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를 가진 보성보는 도시개발과 도로망 확충 등에 따라 지금은 모두 복개가 되어 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게 돼 아쉬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정화 군수는 1434(세종 16) 경기도 장단長湍 출생으로,1449(세종 31) 16세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1466(세조 12) 33세에 원주 판관으로 있다가 1472(성종3) 39세 때에 성종의 특명으로 보성군수로 제수 받게 됐다. 정화 군수는 조선 초기 경사經史와 천문天文, 역산曆算 등에 통달한 대학자이자 일반 경종법耕種法에 대한 현존 문헌으로 가장 오래된 농서인 농사직설農事直說을 엮은 문경공文景公 정초鄭招의 종손이며, 성균관 대사성과 좌찬성을 지낸 문절공文節公 정수충鄭守忠의 아홉 아들 중 장자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